목차
목 차
1.14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가 제시되고 있다 (비논증적 설득 제외). 이를 각각 거론한후, 각각에 속하는 하위 오류들의 명칭과 특징을 기술한다.
2. 13장을 공부한 후, ‘종교와 과학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종교와 과학의분리 가능성’이라는 문제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기술한다.
3. 12장을 공부한 후 찬반토론의 방법에 대해 핵심을 요약하여 기술한다.
4. 9장을 공부한 후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을 주제로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논술을 작성한다.
참고문헌
1.14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가 제시되고 있다 (비논증적 설득 제외). 이를 각각 거론한후, 각각에 속하는 하위 오류들의 명칭과 특징을 기술한다.
2. 13장을 공부한 후, ‘종교와 과학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종교와 과학의분리 가능성’이라는 문제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기술한다.
3. 12장을 공부한 후 찬반토론의 방법에 대해 핵심을 요약하여 기술한다.
4. 9장을 공부한 후 윤리적 소비의 필요성을 주제로 서론-본론-결론의 형식을 갖춘 논술을 작성한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이기려면 자발적으로 착취당하는 것까지 감수해야 한다.
일회용품 쓰레기로 인한 미세플라스틱의 문제는 이미 오랫동안 우리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플라스틱 제품이 부서지면서 발생하는데, 그 크기가 5mm미만으로 하수처리에서 걸러지지 않아 강과 바다로 그대로 흘러가면서 모든 해양생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해양생물과 같은 먹이사슬 관계에 있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에게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이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일회용품은 결국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화하고 결국은 우리에게 돌아오면서 우리의 생태계 및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이는 결국 모든 문제의 해결은 우리에게 달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미세플라스틱을 생성하는 것이 바로 우리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을 생성하는 일회용품은 결국 소비자의 편리를 위해 기업이 만들고 있는 것인데, 이러한 일회용품을 기피하는 윤리적 소비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게 된다면 결국 기업은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일회용품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윤리적 소비가 필요한 이유이다. 모든 소비자들이 친환경적인 소재를 선호하고 일회용품을 기피한다면 그 어떤 기업도 일회용품을 통한 소비문화를 이어가지 않을 것이다.
2) 환경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
우리 삶에서 환경을 위한 윤리적 소비 실천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우선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면, 배달음식을 주문하면서 일회용 수저 및 젓가락을 배달에서 제외시키는 것이다. 또한 마트에 장을 보면서 비닐봉투 대신 장바구니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커피 등의 음료를 테이크아웃 주문할 때에는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도록 하고, 빨대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아주 작은 실천으로 보이지만 모든 국민이 이러한 생활방식을 유지한다면 폐플라스틱의 양을 엄청나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동물의 가죽을 벗겨 그 털로 만든 옷, 모피를 입지 말자는 모피 반대 운동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모피 불매 운동 또한 윤리적 소비를 하자는 소비자 운동이기도 하다.
기업에서는 앞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플라스틱 일회용 제품을 대신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일회용기 및 생수병을 개발한다면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상당량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3. 결 론
우리가 윤리적 소비를 해야 하는 이유는, 윤리적 소비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환경을 보호하고, 인권을 보호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갖고 윤리적 생산을 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소비자가 외면하면 기업은 살아남을 수가 없지요. 결국 우리가 환경을 파괴하고, 동물을 학대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기업의 제품들을 소비해주지 않는다면 그런 기업들은 사라지고 윤리적으로 경영하는 기업들이 많이 늘어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해지는 합리적 소비의 차원을 넘어 사회와 동물 그리고 환경까지 생각하는 것이 바로 윤리적 소비이다.
바로 윤리적 소비 그것이 이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꼭 필요한 것을 우리 모두 너무 깊이 깨달고 있다. 바로 실천만이 우리 사회와 지구를 살리는 길이 라는 것을 말이다.
참고문헌
이정호. 박정하 외, 세상읽기와 논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김승희, 논리와 논술, 창지사. 2018
이소연,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2013
매일신문, 코로나 팬데믹 이후 쓰레기 팬데믹 올 것, 2021.
일회용품 쓰레기로 인한 미세플라스틱의 문제는 이미 오랫동안 우리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미세플라스틱은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플라스틱 제품이 부서지면서 발생하는데, 그 크기가 5mm미만으로 하수처리에서 걸러지지 않아 강과 바다로 그대로 흘러가면서 모든 해양생물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해양생물과 같은 먹이사슬 관계에 있는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명체에게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이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일회용품은 결국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화하고 결국은 우리에게 돌아오면서 우리의 생태계 및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이는 결국 모든 문제의 해결은 우리에게 달렸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미세플라스틱을 생성하는 것이 바로 우리 인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미세플라스틱을 생성하는 일회용품은 결국 소비자의 편리를 위해 기업이 만들고 있는 것인데, 이러한 일회용품을 기피하는 윤리적 소비가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게 된다면 결국 기업은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일회용품 생산을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윤리적 소비가 필요한 이유이다. 모든 소비자들이 친환경적인 소재를 선호하고 일회용품을 기피한다면 그 어떤 기업도 일회용품을 통한 소비문화를 이어가지 않을 것이다.
2) 환경을 살리는 윤리적 소비
우리 삶에서 환경을 위한 윤리적 소비 실천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우선 작은 일부터 시작한다면, 배달음식을 주문하면서 일회용 수저 및 젓가락을 배달에서 제외시키는 것이다. 또한 마트에 장을 보면서 비닐봉투 대신 장바구니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커피 등의 음료를 테이크아웃 주문할 때에는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도록 하고, 빨대는 되도록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아주 작은 실천으로 보이지만 모든 국민이 이러한 생활방식을 유지한다면 폐플라스틱의 양을 엄청나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동물의 가죽을 벗겨 그 털로 만든 옷, 모피를 입지 말자는 모피 반대 운동이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모피 불매 운동 또한 윤리적 소비를 하자는 소비자 운동이기도 하다.
기업에서는 앞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플라스틱 일회용 제품을 대신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는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일회용기 및 생수병을 개발한다면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상당량 줄여줄 수 있을 것이다.
3. 결 론
우리가 윤리적 소비를 해야 하는 이유는, 윤리적 소비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환경을 보호하고, 인권을 보호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갖고 윤리적 생산을 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소비자가 외면하면 기업은 살아남을 수가 없지요. 결국 우리가 환경을 파괴하고, 동물을 학대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기업의 제품들을 소비해주지 않는다면 그런 기업들은 사라지고 윤리적으로 경영하는 기업들이 많이 늘어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행해지는 합리적 소비의 차원을 넘어 사회와 동물 그리고 환경까지 생각하는 것이 바로 윤리적 소비이다.
바로 윤리적 소비 그것이 이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꼭 필요한 것을 우리 모두 너무 깊이 깨달고 있다. 바로 실천만이 우리 사회와 지구를 살리는 길이 라는 것을 말이다.
참고문헌
이정호. 박정하 외, 세상읽기와 논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20
김승희, 논리와 논술, 창지사. 2018
이소연,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2013
매일신문, 코로나 팬데믹 이후 쓰레기 팬데믹 올 것, 2021.
추천자료
[세상읽기와논술 2학년 공통] 1. 14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가 제시되고 있...
세상읽기와논술 기말 2021 세상읽기와논술 1.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 2. 종교와 과학의 ...
세상읽기와논술 기말] 1.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 각각에 속하는 하위 오류들의 명칭과 특...
[2021 세상읽기와논술][기말시험] 1.14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가 제시되고...
1. 13장을 공부한 후, 종교와 과학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종교와 과학의분리 가능성이...
방송대_21학년도1학기 기말시험)_세상읽기와논술(공통)
세상읽기와 논술 ) 종교와 과학의 양립 가능성이라는 문제와 종교와 과학의분리 가능성이라는...
2302해업)2105 세상읽기와논술 14장에서는 크게 세 가지 범주의 논리적 오류가 제시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