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육4 교육평가 A형 표준화검사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 포트폴리오 평가의 출현 배경 개념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교육4 교육평가 A형 표준화검사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 포트폴리오 평가의 출현 배경 개념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표준화 검사법 가운데 1가지를 선택하여 그것의 특징, 검시 실시 방법 등을 간단히 기술하시오.

2. 포트폴리오 평가의 출현 배경, 개념, 특징을 기술하고 초등학교와 유치원/어린이집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할 때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비교기술하고 이를 위한 교사역할을 설명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에 초등학교에서는 정형화된 평가 방법이 사용되며, 유치원/어린이집에서는 자유로운 평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유치원/어린이집은 모두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발전을 추적하며, 다양한 작품과 성과물을 수집하여 학생의 발전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같으므로, 교사는 학생에게 자기평가의 기회를 부여하고 서로 동반자로서 생각하는 과정을 자신들의 활동에 합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자발적이고 책임감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학생, 그리고 부모 사이에서 내 아이의 강점과 약점을 알게 되어 교사와 학부모, 학생과 학부모 사이의 동반자적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심윤희. (2013).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3), 329-353.
이에 포트폴리오 평가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포트폴리오를 적절하게 구성하도록 기준선을 제공 및 지원 해주고, 포트폴리오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학생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학습 과정을 개선 시킬 수 있도록 도우며, 적절한 개입을 통하여 학생들의 성장 과정을 도와야 한다.
이러한 교사의 역할을 통하여 유치원/어린이집과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학습향상 정도와 부족한 점을 찾아내어 교사는 학생들에게 가장 적합한 학습 지도 방법을 발견할 수 있게 되며, 교수과정과 평가과정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왜곡된 교육을 바로잡을 수 있고 올바른 성장을 보장해 줄 수 있으며, 교사와 부모는 교수와 학습, 성장 과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김경철. (1997). 유아교육 평가의 새로운 대안.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09-122.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생들을 이해하기 위해 포트폴리오 평가 수행을 위해 어떤 부분이 부족하고, 전문적으로 기록해야 하는지를 스스로 연구해야 하며, 작품 수집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나만의 전략도 개발하고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평가하고, 전문적인 지식에 의해 판단하여 학생들의 진보와 발달을 바라보면서 포트폴리오 평가가 주는 가치를 깨닫고, 부모와의 신뢰를 쌓는 것도 필요하다. 김경철, 김은정, 배예경. (2008). 유치원 포트폴리오 평가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27-348.
참고문헌
1) 교육평가_09_강의록
2)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K-WISC-III) 표준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3), 43-59.
3) 교육문화연구소_자료실_심리검사.
https://www.edulabkorea.com/reference/psychology.php?ptype=view&code=psychology&idx=409&category=#
4) 박영숙. (1993). 심리평가의 실제. 서울: 하나의학사
5)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 K-WPPSI 지침서.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6)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 한국형 유아지능검사의 표준화; 표준화연구(1). 한국심리학회지;발달. 9(1), 60-70
7) 박혜원, 이정미. (2002). 자폐 아동의 특성에 따른 K-WPPSI 수행 분석. 아동학회지, 23(4), 185-197
8) 서은란, 백용매. (2007). 한국판 웩슬러 지능검사(K-WAIS)의 단축형 유형에 따른 신뢰도와 타당도 비교. 상담학연구, 8(4), 1323-1337.
9) 윤소영. (2017).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울산
10) 임목옥, 오상우, 백영석. (2004). K-WISC-III를 이용한 ADHD 아동의 인지적 특성에 관한 연구. 원광의과학, 19(2), 271-280.
11) 교육평가_14_강의록
12) 교육평가_15_강의록
13) 김경철. (1997). 유아교육 평가의 새로운 대안. 열린유아교육연구, 2(2), 109-122.
14) 김경철, 김은정, 배예경. (2008). 유치원 포트폴리오 평가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경험. 열린유아교육연구, 13(5), 327-348.
15) 박인옥. (2009).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의 포트폴리오 활용 사례 연구. 사회과교육, 48(4), 91-112.
16) 심윤희. (2013). 포트폴리오 평가가 유아발달에 미치는 교육적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3(3), 329-353.
17) 한국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회. (1992). 제5차 유치원 교육과정 시안의 연구개발, 105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3.15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3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