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임리히법(Heimlich maneuver)
2. 심혈관계(심부전, 대동맥 질환) 증상 및 처치법
3. 다발성 외상 사정 및 응급처치
2. 심혈관계(심부전, 대동맥 질환) 증상 및 처치법
3. 다발성 외상 사정 및 응급처치
본문내용
후송
+ ★ 외출혈 처치 시 금기사항
다른 방법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처부위를 손으로 만지지 않기
출혈 멈추고 처치 끝나면 반드시 비누로 손 깨끗이 씻기
두개골 골절, 눈의 상처나 이물이 박혀있는 상처의 경우 직접 압박 X
상처에 붙은 피에 젖은 붕대 떼지 않기
아스피린 주지 않기 (출혈 위험)
물 주지 않기 (전신마취 가능성)
가정에서 쓰는 상처치료제 사용 X
④ 좌상(Strain)과 염좌(Sprain)
좌상: 근육이나 건, 힘줄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
염좌: 인대가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
● 사정
항목
좌상의 손상 정도
1도
경미, 약간의 부종과 통증 호소, 기능 손실은 거의 없는 상태
2도
상당수의 근육 섬유에서 부분 파열 발생, 날카로운 통증,
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
3도
근육, 건(힘줄)이 완전히 파열, 심한 통증과 부종, 멍,
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
항목
염좌의 손상 정도
1도
인대가 늘어나기만 하고 찢어지지 않은 경우, 관절과 기능은 정상,
약간의 부종과 통증, 관절운동범위(ROM)의 일부 감소를 보일 수 있는 상태
2도
인대가 부분적으로 찢어진 상태, 관절이 불안정하여 주변 인대에 영향,
기능의 상실 가능성 존재
3도
인대가 완전히 찢어진 상태, 고통스럽고 신체적 제한이 많은 상태,
관절의 불안정이 심하고 상당한 기능 상실 있음
● 응급처치
환자의 ABC 사정, 가장 불편한 부위가 어디인지 확인
좌상과 염좌 모두 얼음찜질 적용, 부목이나 고정장치를 통해 환부를지지
처방에 따라 진통제 투여
손상에 정도에 따른 치료방법 수행
☞ 1도의 좌상과 염좌: 휴식, 얼음찜질, 진통제 투여 후 활동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
☞ 2도의 좌상과 염좌: 휴식, 얼음찜질, 진통제, 환부 고정 후 부종과
통증의 완화 여부에 따라 환자의 활동 제한 가능,
필요 시 목발 사용, 목발에 대한 교육 필요
☞ 3도의 좌상과 염좌: 2도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 추후 수술 필요 가능성
추후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설명
건과 인대 등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 일정 확인 및 수술 준비 실시
■ 기타 응급
① 흉부외상
● 사정
기도폐색 증상 보이면 기관 내 삽관을 통하여 기도를 확보
인·후두 손상에 의한 출혈과 부종으로 기관 내 삽관 힘든 경우
외과적으로 기도 확보
- 다발성 늑골골절 시 환기부전이나 저산소혈증 확인
- 기흉은 흉강 내압의 상승 여부 확인
- 대량의 혈흉은 출혈성 쇼크에 대한 사정과 함께 배액 시행
- 심낭압전은 심낭 내 혈액이 얼마나 고였는지 확인 후 심낭 천자,
심막 창냄술(fenestr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 응급처치
흉부외상으로 인해 손상받은 장기에 맞게 시행
환자의 ABC 사정,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관찰
환자 기도 확보 위해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준비
호흡의 이상 소견 확인 위해 시진, 호흡음 청진 실시
순환 평가 위해 맥박, 말초 냉감, 저혈압, 빈맥 등의 증상 확인
처방에 따라 정맥로 확보
처방에 따라 X-ray, CT 촬영 등 필요한 검사 시행
필요 시 심낭 천자, 흉강 천자, 흉강 배액 진행
통증 완화 위해 진통제 투여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수술이 필요한 경우 관련 부서와 연락·조정하여 수술 준비 실시
② 복부외상
● 사정
다른 외상과 달리 표면에서 출혈이 보이지 않는 내출혈로 이어져 사망 가능
복강 내 출혈을 외상초음파(FAST)로 확인
복강 내 대량출혈은 거의 눈에 띄진 않지만 배꼽 주변이 청회색으로 변색,
의식 있는 환자는 복통과 오심 호소, 신체 검진 시 장음 소실, 복통과 함께
널빤지와 같은 복부강직 현상
● 응급처치 (출혈에 대한 처치, 손상된 장기 회복을 위한 수술 필요)
환자의 ABC 사정,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관찰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준비
호흡의 이상 소견 확인 위해 시진, 호흡음 청진 실시
출혈의 여부와 정도 확인
처방에 따라 정맥로 확보, 응급검사물 수집
처방에 따라 출혈 조절 위해 수혈 실시
처방에 따라 동맥혈가스분석(ABGA) 검사 실시
처방에 따라 X-ray, CT 촬영 등 필요한 검사 시행
지속적으로 출혈과 쇼크 증상 관찰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긴급 수술과 TAE가 필요한 경우 부서와 연락·조정하여 수술 준비 실시
● 복부손상 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창상은 소독된 마른 거즈로 덮기
출혈, 복강 내 장기의 노출이 있을 경우 감염과 탈수 방지 위해
상처부위 드레싱이 필요
노출된 장기는 밀어 넣으려 하지 말며 멸균 생리식염수에 몇 겹의 거즈를
적셔 덮고, 그 위에 멸균상태의 비닐이나 일회용 소독장갑 종이포의 안쪽면
등을 이용하여 그 위에 덮고 반창고로 부착
복부에 이물질이 박혀 있을 시 그대로 두고 두터운 드레싱으로 이물질을
고정시켜 테이프로 붙여주기
5번째 늑골 밑에 나타나는 모든 손상은 거의 복부손상이라고 간주
③ 골반골절 및 외상
불안정형 골반골절: 골반 고리의 전·후방에 전이가 동반된 골절
안정형 골반골절: 골반 고리에는 영향이 없는 골절, 골반 고리의 전방부만
골절이 된 경우
관골구 골절: 외부의 힘이 넙다리뼈(대퇴골)에 전해져 발생하는 외상
● 사정
대부분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도 통증이 지속되며 통증의 정도가 심함
걸을 때 통증이 더 악화
다른 기관의 손상 여부 확인
☞ 다른 기관 손상 시 혈뇨, 배뇨 곤란, 요실금, 출혈/ 출혈 조절 매우 중요● 응급처치 (출혈에 대한 처치, 손상된 장기 회복을 위한 수술 필요)
- 환자의 ABC 사정,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관찰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준비
골절의 유형과 손상된 기관 확인
출혈의 여부와 정도 확인
처방에 따라 정맥로 확보, 응급검사물 수집
처방에 따라 출혈 조절 위해 수혈 실시
처방에 따라 동맥혈가스분석(ABGA) 검사 실시
처방에 따라 X-ray, CT 촬영 등 필요한 검사 시행
지속적으로 출혈과 쇼크 증상 관찰
지혈을 위해 비관혈적 외고정 골반 고정 벨트 장착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긴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 부서와 연락·조정하여 수술 준비 실시
+ ★ 외출혈 처치 시 금기사항
다른 방법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처부위를 손으로 만지지 않기
출혈 멈추고 처치 끝나면 반드시 비누로 손 깨끗이 씻기
두개골 골절, 눈의 상처나 이물이 박혀있는 상처의 경우 직접 압박 X
상처에 붙은 피에 젖은 붕대 떼지 않기
아스피린 주지 않기 (출혈 위험)
물 주지 않기 (전신마취 가능성)
가정에서 쓰는 상처치료제 사용 X
④ 좌상(Strain)과 염좌(Sprain)
좌상: 근육이나 건, 힘줄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
염좌: 인대가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
● 사정
항목
좌상의 손상 정도
1도
경미, 약간의 부종과 통증 호소, 기능 손실은 거의 없는 상태
2도
상당수의 근육 섬유에서 부분 파열 발생, 날카로운 통증,
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
3도
근육, 건(힘줄)이 완전히 파열, 심한 통증과 부종, 멍,
활동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
항목
염좌의 손상 정도
1도
인대가 늘어나기만 하고 찢어지지 않은 경우, 관절과 기능은 정상,
약간의 부종과 통증, 관절운동범위(ROM)의 일부 감소를 보일 수 있는 상태
2도
인대가 부분적으로 찢어진 상태, 관절이 불안정하여 주변 인대에 영향,
기능의 상실 가능성 존재
3도
인대가 완전히 찢어진 상태, 고통스럽고 신체적 제한이 많은 상태,
관절의 불안정이 심하고 상당한 기능 상실 있음
● 응급처치
환자의 ABC 사정, 가장 불편한 부위가 어디인지 확인
좌상과 염좌 모두 얼음찜질 적용, 부목이나 고정장치를 통해 환부를지지
처방에 따라 진통제 투여
손상에 정도에 따른 치료방법 수행
☞ 1도의 좌상과 염좌: 휴식, 얼음찜질, 진통제 투여 후 활동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
☞ 2도의 좌상과 염좌: 휴식, 얼음찜질, 진통제, 환부 고정 후 부종과
통증의 완화 여부에 따라 환자의 활동 제한 가능,
필요 시 목발 사용, 목발에 대한 교육 필요
☞ 3도의 좌상과 염좌: 2도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 추후 수술 필요 가능성
추후의 관리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설명
건과 인대 등 수술이 필요한 경우 수술 일정 확인 및 수술 준비 실시
■ 기타 응급
① 흉부외상
● 사정
기도폐색 증상 보이면 기관 내 삽관을 통하여 기도를 확보
인·후두 손상에 의한 출혈과 부종으로 기관 내 삽관 힘든 경우
외과적으로 기도 확보
- 다발성 늑골골절 시 환기부전이나 저산소혈증 확인
- 기흉은 흉강 내압의 상승 여부 확인
- 대량의 혈흉은 출혈성 쇼크에 대한 사정과 함께 배액 시행
- 심낭압전은 심낭 내 혈액이 얼마나 고였는지 확인 후 심낭 천자,
심막 창냄술(fenestration)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 응급처치
흉부외상으로 인해 손상받은 장기에 맞게 시행
환자의 ABC 사정,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관찰
환자 기도 확보 위해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준비
호흡의 이상 소견 확인 위해 시진, 호흡음 청진 실시
순환 평가 위해 맥박, 말초 냉감, 저혈압, 빈맥 등의 증상 확인
처방에 따라 정맥로 확보
처방에 따라 X-ray, CT 촬영 등 필요한 검사 시행
필요 시 심낭 천자, 흉강 천자, 흉강 배액 진행
통증 완화 위해 진통제 투여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수술이 필요한 경우 관련 부서와 연락·조정하여 수술 준비 실시
② 복부외상
● 사정
다른 외상과 달리 표면에서 출혈이 보이지 않는 내출혈로 이어져 사망 가능
복강 내 출혈을 외상초음파(FAST)로 확인
복강 내 대량출혈은 거의 눈에 띄진 않지만 배꼽 주변이 청회색으로 변색,
의식 있는 환자는 복통과 오심 호소, 신체 검진 시 장음 소실, 복통과 함께
널빤지와 같은 복부강직 현상
● 응급처치 (출혈에 대한 처치, 손상된 장기 회복을 위한 수술 필요)
환자의 ABC 사정,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관찰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준비
호흡의 이상 소견 확인 위해 시진, 호흡음 청진 실시
출혈의 여부와 정도 확인
처방에 따라 정맥로 확보, 응급검사물 수집
처방에 따라 출혈 조절 위해 수혈 실시
처방에 따라 동맥혈가스분석(ABGA) 검사 실시
처방에 따라 X-ray, CT 촬영 등 필요한 검사 시행
지속적으로 출혈과 쇼크 증상 관찰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긴급 수술과 TAE가 필요한 경우 부서와 연락·조정하여 수술 준비 실시
● 복부손상 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창상은 소독된 마른 거즈로 덮기
출혈, 복강 내 장기의 노출이 있을 경우 감염과 탈수 방지 위해
상처부위 드레싱이 필요
노출된 장기는 밀어 넣으려 하지 말며 멸균 생리식염수에 몇 겹의 거즈를
적셔 덮고, 그 위에 멸균상태의 비닐이나 일회용 소독장갑 종이포의 안쪽면
등을 이용하여 그 위에 덮고 반창고로 부착
복부에 이물질이 박혀 있을 시 그대로 두고 두터운 드레싱으로 이물질을
고정시켜 테이프로 붙여주기
5번째 늑골 밑에 나타나는 모든 손상은 거의 복부손상이라고 간주
③ 골반골절 및 외상
불안정형 골반골절: 골반 고리의 전·후방에 전이가 동반된 골절
안정형 골반골절: 골반 고리에는 영향이 없는 골절, 골반 고리의 전방부만
골절이 된 경우
관골구 골절: 외부의 힘이 넙다리뼈(대퇴골)에 전해져 발생하는 외상
● 사정
대부분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도 통증이 지속되며 통증의 정도가 심함
걸을 때 통증이 더 악화
다른 기관의 손상 여부 확인
☞ 다른 기관 손상 시 혈뇨, 배뇨 곤란, 요실금, 출혈/ 출혈 조절 매우 중요● 응급처치 (출혈에 대한 처치, 손상된 장기 회복을 위한 수술 필요)
- 환자의 ABC 사정, 의식수준과 활력징후 관찰
환자의 기도 확보 위해 기관 내 삽관이 필요한 경우 신속하게 준비
골절의 유형과 손상된 기관 확인
출혈의 여부와 정도 확인
처방에 따라 정맥로 확보, 응급검사물 수집
처방에 따라 출혈 조절 위해 수혈 실시
처방에 따라 동맥혈가스분석(ABGA) 검사 실시
처방에 따라 X-ray, CT 촬영 등 필요한 검사 시행
지속적으로 출혈과 쇼크 증상 관찰
지혈을 위해 비관혈적 외고정 골반 고정 벨트 장착
유치도뇨관을 삽입하여 섭취량과 배설량 확인
긴급 수술이 필요한 경우 부서와 연락·조정하여 수술 준비 실시
추천자료
고혈압의 정의, 형태, 진단, 증상, 합병증
심혈관계질환(심장병, 심장질환)과 관상동맥질환, 심혈관계질환(심장병, 심장질환)과 급성심...
[심장][심실보조장치][대동맥순환보조펌프][순환기]심장과 경피적 관상동맥성형술, 심장과 심...
심장질환(심장병, 심혈관계질환) 부정맥질환, 관상동맥질환, 심장질환(심장병,심혈관계질환) ...
[질환(질병)][순환계질환]질환(질병)과 순환계질환, 근골격계질환, 질환(질병)과 심혈관계질...
[질환, 질병]질환(질병)과 골반염증성질환, 근골격계질환, 질환(질병)과 심혈관질환, 관상동...
외상(trauma) (외상 정의, 손상기전, 초기사정과 관리, 특수 손상의 사정과 관리, 다발성 외...
성인간호학) 대동맥판막질환 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대동맥류 aortic aneurysm
[간호학] 대동맥 판막질환 삼첨판막질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