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켈란젤로와 르네상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켈란젤로와 르네상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부재를 구할 수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고안한 방법이 시공기간 동안 돔을 지지하기 위해 아래 공간을 모두 흙으로 채우자는 계획이 제안되기도 했다. 의심이 많은 사람들은 그를 미쳤다고 했지만 브루넬레스키는 성공을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 당시 예술적 가치가 높아지고 있던 때에 돔 안에는 하늘로 승천하는 예수님의 벽화장식이 있었고, 고명이 많이 뚤린 랜턴이 그위에 있었으며, 8개의 창문으로 빛이 들어와 밝고 쾌적했다.

┌*이중쉘구조 : 시공성, 경량화, 아름다운 외관을 위하여 내외로 마감을 다르게 하는 구조.
└*랜턴 : 돔의 부재들을 서로 고정시켜 밖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는 모잣돌의 역할을 한다.
(2) 전성기
종교적, 예술적 중심이었던 로마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고전주의적이고 복고주의적 성격이 기념성으로 성숙하는 단계이다.
* 템피에토 / 1502 / 도나토 브라만테
템피에토
그는 피에로 넬라 프란체스카, 만테냐와 함께 그림 공부를 하였고, 레오나르도와는 친구였다. 브라만테의 초기 건물로는 1502년에 당시 성베드로가 순교한 쟈니콜롬 언덕에 세워진 작은 예배당 ‘템피에토‘로 르네상스의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동심원으로 지어진 템피에토는 티볼리에 위치한 로마 베스타 신전의 영향을 받았다. 원기둥 형태의 성상 안치소를 둘러싸고 있는 페리스타일의 ‘도리스식 기둥’은 그리스의 전형에서 볼 수 있는 간결함과 완전한 대칭을 따르고 있으며 3단의 기단, 엄격한 도릭 기둥을 갖는 열주랑, 정확한 고전적 엔타블레처, 돔과 집중형 평면이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3) 후기
미켈란젤로의 건축에서 유래된 매너리즘적 경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캄피돌리오 광장 / 1539-1564 / 미켈린젤로 부오나로티
이탈리아인들에게 광장은 환담의 장소일 뿐만 아니라 종교행사, 국가의 공식행사, 축제, 시장 등 터 역할을 하고 있다. 13~14세기에 옥외의 대중설교가 일반화되면서 교회 앞 광장이 넓혀지고, 시민사회가 발달하면서 시청 앞 광장이 공식행사의 장이 조성되었다. 15~16세기의 르네상스 시대에는 광장에 조각상을 배치하는 등 계획적인 공간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시민의 시선이 모이는 곳, 소문의 근원지인 광장은 정치적인 상징의 역할을 하면서 아름다운 광장의 계획과 조각의 선택에 정치적인 목적이 작용하였고 그 목적에 따라 광장의 모습도 변하였다.
미켈란젤로는 이 지역을 새로운 로마의 상징으로 재건하라는 의뢰를 받았다. 그 지역은 고대 로마의 발상지로 전해지는 일곱 언덕 중에서 규모가 가장 작은 ‘카피톨리노 언덕’ 모퉁이에 있는 광장으로, 1547년에 조성되었다. 광장은 채움과 비움을 반복시켜 광장의 주변 전체를 조각하듯이 처리하였으며, 3개의 건물에 둘러싸여 있는데, 광장 정면으로 보이는 건물은 ‘세로나토리오 궁전’이고, 양쪽에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건물은 왼쪽이 ‘누오보 궁전’, 오른쪽이 ‘콘세르바토리 궁전’으로 광장과 건물은 형태의 독창성과 공간의 섬세한 균형배치로 인하여 뛰어난 건축과 어우러지는 광장이라 할 수 있다.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3.20
  • 저작시기202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46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