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본문내용
상에 대한 원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원인’, ‘구실·핑계로 삼아 원망하거나 나무라는 일’을 의미한다.
예) 우리가 실패한 것은 내가 뒤에서 제대로 도와주지 못한 ‘탓’이다.
⑤접수하다와 접수시키다
‘접수하다’는 “신청이나 신고 등을 구두나 문서로 받다“는 의미로서 신청이나 신고를 받는 입장을 나타낸다. ‘접수시키다’는 명사 ‘접수’에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시키다’가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창구에 가서 다른 사람이 서류를 받도록 하는 것은 ‘접수시키다’로 표현해야 한다.
예) 오늘부터 그 회사에서 입사 지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많은 지원자들이 그 회사에 입사지원서를 접수시키고 있다.
⑥‘역임하다’
‘역임하다’는‘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하나의 직위에 쓰는 것이 아니다.
예) 우리 삼촌은 능력이 뛰어나서 주요 관직을 두루‘역임했다’(역임하다)
⑦‘척하다’
‘척하다’의 의미는 앞의 말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를 거짓되고 그럴듯하게 꾸미는 말이다.
예) 명절에 고향 가는 것이 싫으면서도 좋은 ‘척하다’가 망신당했다.
⑧ 배석하다’
‘배석하다’단어의 의미에는‘함께’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배석하다’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쓰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 도지사는 오늘 관련 전문가를 ‘배석’하고 인터뷰에 응했다.
위 예문의 경우 ‘함께 배석했다’라고 하면 함께라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어서 어색하다.
⑨‘편견’
‘편견’은 한쪽으로 치우쳐 굳어버린 사고·견해의 의미로 ‘일방적’이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일반적인 편견’과 같은 표현은 중복된 의미가 된다.
예) 기성세대 중에는 많은 이들이 여전히 대중문화는 ‘깊이가 없는 문화’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⑩주의와 주위
‘주의’는 어떤 한곳이나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을 뜻하고, ‘주위’는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것. 또는 그 환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위가 산만하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주위가 주의와 발음이 유사하고, 한곳에 집중하지 못할 때 주변을 두리번거리거나 여기저기 기웃거리게 된다는 점과 연관시켜 비롯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예)그는 자폐증으로 어린 시절부터 주의가 산만한 편이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
4. 참고문헌
고성환, 이상진, 글쓰기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4.
예) 우리가 실패한 것은 내가 뒤에서 제대로 도와주지 못한 ‘탓’이다.
⑤접수하다와 접수시키다
‘접수하다’는 “신청이나 신고 등을 구두나 문서로 받다“는 의미로서 신청이나 신고를 받는 입장을 나타낸다. ‘접수시키다’는 명사 ‘접수’에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를 만드는 접미사 ‘시키다’가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창구에 가서 다른 사람이 서류를 받도록 하는 것은 ‘접수시키다’로 표현해야 한다.
예) 오늘부터 그 회사에서 입사 지원서를 접수하고 있다.
많은 지원자들이 그 회사에 입사지원서를 접수시키고 있다.
⑥‘역임하다’
‘역임하다’는‘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하나의 직위에 쓰는 것이 아니다.
예) 우리 삼촌은 능력이 뛰어나서 주요 관직을 두루‘역임했다’(역임하다)
⑦‘척하다’
‘척하다’의 의미는 앞의 말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를 거짓되고 그럴듯하게 꾸미는 말이다.
예) 명절에 고향 가는 것이 싫으면서도 좋은 ‘척하다’가 망신당했다.
⑧ 배석하다’
‘배석하다’단어의 의미에는‘함께’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배석하다’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쓰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 도지사는 오늘 관련 전문가를 ‘배석’하고 인터뷰에 응했다.
위 예문의 경우 ‘함께 배석했다’라고 하면 함께라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어서 어색하다.
⑨‘편견’
‘편견’은 한쪽으로 치우쳐 굳어버린 사고·견해의 의미로 ‘일방적’이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일반적인 편견’과 같은 표현은 중복된 의미가 된다.
예) 기성세대 중에는 많은 이들이 여전히 대중문화는 ‘깊이가 없는 문화’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⑩주의와 주위
‘주의’는 어떤 한곳이나 일에 관심을 집중하여 기울임을 뜻하고, ‘주위’는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것. 또는 그 환경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위가 산만하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 주위가 주의와 발음이 유사하고, 한곳에 집중하지 못할 때 주변을 두리번거리거나 여기저기 기웃거리게 된다는 점과 연관시켜 비롯된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예)그는 자폐증으로 어린 시절부터 주의가 산만한 편이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돌고 있다.
4. 참고문헌
고성환, 이상진, 글쓰기 강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4.
추천자료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3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
[글쓰기 2023년] 1.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 2. 다음 제시...
글쓰기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에 대해 설명,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