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ignant neoplasm of liver CASE STUDY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alignant neoplasm of liver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및 병태생리(pathophysiology)
3. 증상(symptom)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

Ⅲ. 사례관리
1. 연구기간 및 방법
2. 사례연구
1) 일반정보
2) 건강상태 사정
3) 임상병리검사
4) 특수검사
5) 약물치료
3.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합병증을 확인하였다.
(심혈관계 부작용, 부정맥, 천공, 출혈, 복 통, 흉통, 맥박변화, 패혈증, 호흡억제)
- 검사 후 공기 주입으로 느낄 수 있는 변의나 통증 발생을 확인하였다.
- biliary obstruction 재발을 확인하기 위해 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 ERBD를 시행하고 발생 할 수 있는 부작용들을 관찰하여 이차적인 문제발생을 방지하고 obstruction 재발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간호
평가
- 대상자는 ERBD를 통해 Bile duct dilatation, ballooning 되었다.
- 대상자는 NRS(numeric rating scale) 통증사정척도 시행 시 2점이라고 말한다.
- 대상자는 진통제를 사용하면 통증이 적절하게 조절된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복부에서 느껴졌던 불편감이 감소되었다고 말한다.
간호
사정
주관적 자료
- “이거 먹는다고 뭐가 나아지냐”(2019-6-9)
객관적 자료
- ERCP 시술에 대한 불안감 호소(2019-27)
- 증상들이 호전되는 것 같지 않다고 함(2019-6-9)
- neuroendocrine tumor of liver, multiple LNs meta, T-colon cancer 진단 듣고 우울감, 불안함 호소(2019-6-11)
- (19-5-25)
간호진단
#3. 악성 종양의 재발 및 전이와 관련된 불안
간호
목표
일반적 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 불안하지 않다고 말한다.
- 대상자는 불안해하는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구체적 목표
- 대상자는 1주일 내에 스스로 질병에 대해 지식을 얻고자 하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진다.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Beck의 불안 사정 척도(BAI, Beck Anxiety Inventory) 시행 시 22점 이하라고 말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불안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불안에 대해 적절하게 중재해준다.
3. 대상자에게 관련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대상자를 지지해줄 수 있도록 보호자에게 교육을 제공한다.
간호
수행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불안한 상태을 지속적으로 사정하였다.
- Beck의 불안 사정 척도(BAI, Beck Anxiety Inventory)를 이용해 불안 정도를 사정하였다.
- 대상자와의 대화를 통해 질병에 관한 두려움을 직접 말로 표현하도록 하였 다.
- 대상자의 표현을 적극적으로 경청하 고 공감해주었다.
- 대상자의 불안 정도를 파악하여 중재가 필요한 상황을 적절하게 파악가능하며 대상자에게 직접 말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대상자의 생각을 알 수 있다.
2. 대상자의 불안에 대해 적절하게 중재해주었다.
- 대상자에게 침착하고 확신을 주는 접 근법을 사용하였다.
- 대상자에게 긍정적으로 생각하도록 권면하였다.
- 대상자가 불안한 생각에만 빠져있지 않도록 전환요법을 권면하였다.
(병원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에 참여 유 도)
- 불안 및 궁금증 발생 시 바로 질문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 대상자가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체위 로 있을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 다양한 활동을 유도하는 등 전환요법을 사용한 중재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 불안, 두려움을 불러일으키는 생각에 사로잡혀있지 않도록 한다.
3. 대상자에게 대상자와 관련된 질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 대상자에게 발생한 질병에 대한 지식 을 제공해주었다.
(시술, 검사 등을 시행하기 전)
-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모든 절차에 대 한 충분한 설명을 해주었다.
 (시술, 검사 등을 시행하기 전)
- 대상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불확실한 상태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킨다.
4. 대상자에게 보호자가 지지자 역할을 잘 수행해줄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였다.
- 보호자에게 대상자와 대화할 때 지지 적인 언어를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 대상자가 불안을 호소할 때 옆에 있 어 줄 수 있도록 권면하였다.
- 보호자가 대상자의 지지적인 존재가 될 수 있도록 교육하고 지속적으로 함께 있으므로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
간호
평가
1. 대상자의 불안 수준은 Beck의 불안 사정 척도(BAI, Beck Anxiety Inventory) 27점 에서 22점으로 감소했다.
2. 대상자는 대상자에게 제공한 중재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표현하였다.
3. 대상자는 자신과 관련 질환에 대한 정보를 설명할 수 있다.
4. 대상자는 보호자를 통해 정서적 지지를 얻었다고 말한다.
Ⅳ. 결론 및 제언
항암치료로 빠르게 퇴원하시는 분 말고 Supportive care를 받고 계시는 분으로 대상자를 잡아보라고 조언을 해주신 한 선생님 덕에 이 김OO님을 케이스 대상자로 선택했습니다. 사례연구를 위해 대상자 파악을 하고 OCS속 내용을 해석하느라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정말 어려운 분을 선택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다른 선생님들께서도 왜 이렇게 어려우신 분을 선택했냐고 하며 궁금한 것 있으면 물어보라고 도움을 주시는 선생님도 만났습니다.
이렇게 많은 질병을 한 번에 가지고 계시는 분들을 치료하고 간호해주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절실하게 깨달았습니다. 이러한 분들을 만나서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해서 정말 다양하고 확실하게 많은 내용들을 알아야하며 실수하지 않도록 신중을 가하고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며 대상자의 상황에 공감해주는 것 등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Ⅴ. 참고문헌
- 임상실습 지침서 - 성인간호학실습Ⅰ
- 성인간호학실습Ⅰ 간호기록지
- 성인간호학Ⅰ 여덟째판 수정판 수문사 김금순 외
- [네이버 지식백과] 간암 [liver cancer] (국가암정보센터 암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46476&cid=60406&categoryId=60406#TABLE_OF_CONTENT4
- [네이버 지식백과] 간암 [liver cance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69&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5
  • 가격2,3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24.04.21
  • 저작시기201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82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