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는 내용에 포함하여 충실하게 정리하였습니다.
본문내용
명 존중과 관련된 지혜를 제공해 줄 수 있음
다.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과 그 의의
지인의 특징
자연의 도를 따름 -> 겸허한 자세로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며 만물을 평등하게 보면서 정신적 자유를 누림
지인의 현대적 의의
자연의 흐름을 따르고 만물을 차별하지 않는 지인의 태도는 현대의 시민에게 자연 및 다양성 존중과 관련된 지혜를 제공해 줄 수 있음
(3) 한국의 동양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가. 한국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한국 사상의 연원과 특징
한국 사상의 연원 : 건국 신화와 무속 신앙
건국 신화
고조선의 단군 신화, 고구려의 주몽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등
무속 신앙
주술사인 무(巫, 샤먼)을 통해 앞날을 예언하고, 복을 빌고, 병을 물리치며, 죽은 자의 영혼을 불러냄 -> 굿을 통해 풍성한 수확과 공동체의 안녕을 빌면서 현실에서 오는 불안과 공포를 이겨내고 삶에 대한 의지를 북돋우는 역할을 함
한국 사상의 특징
민본주의 정신
환웅이 인간 세상을 동경하고(탐구인세<貪求人世>), 곰과 호랑이가 인간 이 되기를 원함(원화위인<願化爲人>)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현세 지향적 가치관과 평화 애호정신
사회 정의와 도덕 중시- 환웅이 인간의 질병, 형벌과 선악의 문제 등 여 러 가지 일을 맡아 세상을 다스림
굿을 통해 풍성한 수확과 공동체의 안녕 기원
건국 신화 속의 신과 인간, 동물들의 평화로운 공존
화합과 조화의 정신
환웅과 웅녀의 만남과 단군의 탄생 : 천(天)지(地)인(人)의 화합과 조화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 의천과 지눌의 교선(敎禪) 일치 사상
근대 신흥 종교들의 유불도 조화 추구
자연 친화와 생명 존중 정신
하늘에 대한 공경(경천<敬天>)과 자연과 합일하려는 의지
신화 속 동물들은 생명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 존재
한국 사상의 현대적 의의
▣
물질 만능주의의 극복과 인간 존중 실현의 정신적 기반이 될 수 있음
▣
사회적 갈등이나 대립 극복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
우리 사회가 직면한 환경 문제 해결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2) 동양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가. 동양 사상의 연원과 특징
동양 사상의 연원 : 제자백가 사상과 초기 불교 등장
제자백가
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공자, 노자, 묵자, 한비자 등의 사상가들과 그들이 일으킨 유가, 도가, 법가 등의 사상들 -> 특히 유가와 도가가 후대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침
초기 불교
석가모니가 창시한 불교 사상 -> 연기설에 기반을 둔 자비의 윤리를 강조함
동양 사상의 특징
유기체적
세계관
세계를 분리된 부분들의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라 하나의 유기체처럼 통합된 전체로 여김
공존과 공생의 추구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중시하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공존하면서 더불어 살아갈 것을 강조함
도덕적 수양 중시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각 개인이 도덕적 수양에 힘쓸 것을 강조함
나. 동양 사상의 현대적 의의
▣
개인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현대 생태계 문제 해결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 실현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출제 예상 문제
1. (가), (나), (다) 사상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④ (EBS 출제 변경 문제)
(가) : 보살은 색(色), 성(性),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 머물러 마음을 일으키지 말고 머문 바 없는 그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보살이 일체 중생을 이익 되게 하려면 마땅 히 마음이 물질에 머무르지 말고 보시해야 한다.
(나) : 군자는 의(義)로써 바탕을 삼고 예(예)로써 행하며, 말을 겸손하게 하고 매사를 미덥 게 해낸다. 또한 군자는 몸을 의젓하게 가지면서도 지위의 높고 낮음을 다투지 않으 며 무리지어 지내면서도 편을 가르지 않는다.
(다) : 타고난 덕을 잘 품고 온화한 기색을 잘 길러 천하의 이치에 따르는 사람을 길러 천 하의 이치에 따르는 사람을 일러 진인(眞人)이라 한다. 진인은 눈으로는 눈에 비치 는 것을 그대로 보고, 귀로는 귀에 들리는 것을 그대로 듣고, 마음으로는 원래 타고 난 마음을 회복한다.
① (가) : 만물의 상호의존성을 자각하고 고정된 자아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이다.
② (나) : 존비친소를 구분하지 않는 사랑(兼愛)을 통해 보편적 인류애를 실천하는 사람이다.
③ (다) : 무지(無知), 무욕(無欲)의 덕으로 본성을 교화하여 정신적 자유를 누리는 사람이다.
④ (가), (나) : 자신에 대한 수양을 바탕으로 주어진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 이다.
⑤ (나), (다) : 시비를 분별하는 지혜를 바탕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상세 해설
※ 위의 자료에서 (가)는 보살을 이상적 인간으로 제시한 불교이고, (나)는 군자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한 유교, (다)는 진인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한 도가이다. ④의 경우, 보살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사람이며, 군자는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과 백성을 편안하게 해 주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보살과 군자 모두 자신에 대한 수양을 바탕으로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보았으므로 옳은 설명이다. ①의 경우, 불교의 연기설에 따르면, 모든 사물과 현상은 인과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나 역시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하며 고정된 자아가 존재할 수 없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②의 경우, 유교의 사랑은 존비친소(尊卑親疏)를 구분해서 실천하는 분별적 사랑이다. 모든 사람을 차별없이 사랑하는 겸애의 실천을 강조한 사상가는 묵자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③의 경우, 도가에서는 무지(無知), 무욕(無欲)인위적 규범이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본 것은 노자의 주장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⑤의 경우, 도가에서는 사물에 대한 분별적 지혜에서 벗어나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 이와달리 유교에서는 시비(是非)를 분별하는 지혜를 바탕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의 실천을 강조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정답은 ④이다.
다.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과 그 의의
지인의 특징
자연의 도를 따름 -> 겸허한 자세로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며 만물을 평등하게 보면서 정신적 자유를 누림
지인의 현대적 의의
자연의 흐름을 따르고 만물을 차별하지 않는 지인의 태도는 현대의 시민에게 자연 및 다양성 존중과 관련된 지혜를 제공해 줄 수 있음
(3) 한국의 동양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가. 한국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한국 사상의 연원과 특징
한국 사상의 연원 : 건국 신화와 무속 신앙
건국 신화
고조선의 단군 신화, 고구려의 주몽 신화, 신라의 박혁거세 신화 등
무속 신앙
주술사인 무(巫, 샤먼)을 통해 앞날을 예언하고, 복을 빌고, 병을 물리치며, 죽은 자의 영혼을 불러냄 -> 굿을 통해 풍성한 수확과 공동체의 안녕을 빌면서 현실에서 오는 불안과 공포를 이겨내고 삶에 대한 의지를 북돋우는 역할을 함
한국 사상의 특징
민본주의 정신
환웅이 인간 세상을 동경하고(탐구인세<貪求人世>), 곰과 호랑이가 인간 이 되기를 원함(원화위인<願化爲人>)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하려는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
현세 지향적 가치관과 평화 애호정신
사회 정의와 도덕 중시- 환웅이 인간의 질병, 형벌과 선악의 문제 등 여 러 가지 일을 맡아 세상을 다스림
굿을 통해 풍성한 수확과 공동체의 안녕 기원
건국 신화 속의 신과 인간, 동물들의 평화로운 공존
화합과 조화의 정신
환웅과 웅녀의 만남과 단군의 탄생 : 천(天)지(地)인(人)의 화합과 조화
원효의 화쟁(和諍) 사상, 의천과 지눌의 교선(敎禪) 일치 사상
근대 신흥 종교들의 유불도 조화 추구
자연 친화와 생명 존중 정신
하늘에 대한 공경(경천<敬天>)과 자연과 합일하려는 의지
신화 속 동물들은 생명 공동체의 한 구성원으로 존재
한국 사상의 현대적 의의
▣
물질 만능주의의 극복과 인간 존중 실현의 정신적 기반이 될 수 있음
▣
사회적 갈등이나 대립 극복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
우리 사회가 직면한 환경 문제 해결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2) 동양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가. 동양 사상의 연원과 특징
동양 사상의 연원 : 제자백가 사상과 초기 불교 등장
제자백가
춘추전국시대에 등장한 공자, 노자, 묵자, 한비자 등의 사상가들과 그들이 일으킨 유가, 도가, 법가 등의 사상들 -> 특히 유가와 도가가 후대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침
초기 불교
석가모니가 창시한 불교 사상 -> 연기설에 기반을 둔 자비의 윤리를 강조함
동양 사상의 특징
유기체적
세계관
세계를 분리된 부분들의 단순한 집합체가 아니라 하나의 유기체처럼 통합된 전체로 여김
공존과 공생의 추구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중시하고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이 공존하면서 더불어 살아갈 것을 강조함
도덕적 수양 중시
이상적인 인간과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각 개인이 도덕적 수양에 힘쓸 것을 강조함
나. 동양 사상의 현대적 의의
▣
개인주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현대 생태계 문제 해결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 실현의 사상적 기반이 될 수 있음
출제 예상 문제
1. (가), (나), (다) 사상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④ (EBS 출제 변경 문제)
(가) : 보살은 색(色), 성(性),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 머물러 마음을 일으키지 말고 머문 바 없는 그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보살이 일체 중생을 이익 되게 하려면 마땅 히 마음이 물질에 머무르지 말고 보시해야 한다.
(나) : 군자는 의(義)로써 바탕을 삼고 예(예)로써 행하며, 말을 겸손하게 하고 매사를 미덥 게 해낸다. 또한 군자는 몸을 의젓하게 가지면서도 지위의 높고 낮음을 다투지 않으 며 무리지어 지내면서도 편을 가르지 않는다.
(다) : 타고난 덕을 잘 품고 온화한 기색을 잘 길러 천하의 이치에 따르는 사람을 길러 천 하의 이치에 따르는 사람을 일러 진인(眞人)이라 한다. 진인은 눈으로는 눈에 비치 는 것을 그대로 보고, 귀로는 귀에 들리는 것을 그대로 듣고, 마음으로는 원래 타고 난 마음을 회복한다.
① (가) : 만물의 상호의존성을 자각하고 고정된 자아를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이다.
② (나) : 존비친소를 구분하지 않는 사랑(兼愛)을 통해 보편적 인류애를 실천하는 사람이다.
③ (다) : 무지(無知), 무욕(無欲)의 덕으로 본성을 교화하여 정신적 자유를 누리는 사람이다.
④ (가), (나) : 자신에 대한 수양을 바탕으로 주어진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애쓰는 사람 이다.
⑤ (나), (다) : 시비를 분별하는 지혜를 바탕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상세 해설
※ 위의 자료에서 (가)는 보살을 이상적 인간으로 제시한 불교이고, (나)는 군자를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한 유교, (다)는 진인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제시한 도가이다. ④의 경우, 보살은 위로는 진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사람이며, 군자는 자신을 수양하여 타인과 백성을 편안하게 해 주는 수기안인(修己安人)을 실천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보살과 군자 모두 자신에 대한 수양을 바탕으로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라고 보았으므로 옳은 설명이다. ①의 경우, 불교의 연기설에 따르면, 모든 사물과 현상은 인과 관계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나 역시 상호 의존적으로 존재하며 고정된 자아가 존재할 수 없으므로 틀린 설명이다. ②의 경우, 유교의 사랑은 존비친소(尊卑親疏)를 구분해서 실천하는 분별적 사랑이다. 모든 사람을 차별없이 사랑하는 겸애의 실천을 강조한 사상가는 묵자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③의 경우, 도가에서는 무지(無知), 무욕(無欲)인위적 규범이 사회 혼란의 원인이라고 본 것은 노자의 주장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⑤의 경우, 도가에서는 사물에 대한 분별적 지혜에서 벗어나 만물을 평등하게 바라볼 것을 강조한다. 이와달리 유교에서는 시비(是非)를 분별하는 지혜를 바탕으로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의 실천을 강조하므로 틀린 설명이다.
정답은 ④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