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기말과제 동서양고전의이해 (맹자 다윈 플라톤)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대 기말과제 동서양고전의이해 (맹자 다윈 플라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가장 감명 깊게 읽은 동양의 고전(1~7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5장, 맹자, 맹자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2) 가장 감명 깊게 읽은 서양의 고전(8~15장) 한 편을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자신이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을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12장, 다윈, 종의기원
2) 이 고전을 감명 깊게 읽은 이유와 감상

3) 가장 비판적으로 읽은 고전(1~15장)을 한 편 선정하여 장과 지은이 및 고전의 제목을 밝히고, 왜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이유’를 서술하시오. (A4 1쪽 분량)
1) 선정 내용: 8장, 플라톤, 국가
2) 이 고전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볼 수밖에 없는지 서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가\'의 주요 내용
(1) 사회 계층
플라톤은 이상적인 국가를 철학자, 무사, 생산자로 구성된 세 개의 사회 계층으로 나누었다. 각 계층은 서로 다른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국가의 전체적인 조화를 위해 협력해야 한다.
(2) 정의(justice)
플라톤은 정의를 개인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했다. 또한, 그는 이상적인 정의가 개인의 정의가 아니라 국가의 정의임을 강조했다.
(3) 교육관
플라톤은 이상적인 국가를 위해서는 철학자를 양성하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철학자들이 국가의 지도자로서 현명하고 정의로운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믿었다.
(4) 여성에 대한 인식
플라톤은 남성과 여성의 차이가 그저 생물학적 성(性) 기능의 차이라면, 남자와 여자는 사회학적 기능으로 차별을 받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한 대신 시민권을 가진 남성에 한해 정치에 참여하고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여성도 그 능력에 의해 철인통치자가 될 수 있다고 했고 반대로 남성이라도 능력이 미흡하면 지도자가 되지 않아야 한다고 한 점을 볼 때 여성에 대한 성인식이 상당히 평등했다고 볼 수 있다.
2) \'국가\'에 대한 비판
\'국가\'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동시에 비판도 제기되었다. 주요 비판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도한 통일성으로 플라톤의 국가는 과도한 통일성을 추구하여, 국가의 소멸을 야기할 수 있으며, 국가의 자족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통일성이 국가의 다양성과 자율성을 침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둘째는 남녀평등을 기반으로 공동생활을 하면서 처자를 공유해야 한다고 주장한 점을 보면 처자공유의 논리적 오류로 플라톤은 처자공유를 주장하면서, \'모두 처자를 공유한다\'는 명제의 \'모두\'의 의미를 배분적 의미와 집합적 의미 두 가지를 함축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함으로써 논리적 오류를 범했다. 또한 처자공유로 인하여 아이들은 내 자식이라는 의식이 없기 때문에 덜 보살핌을 받을 것이다.
셋째는 재산공유의 부적절성으로 플라톤이 제안한 공동소유보다는, 소유는 사유로 하고, 사용은 공동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이런 방식은 소유에 대한 즐거움을 유지시켜주고, 동료들에게 재산에 대한 관대함을 베풀 수 있는 즐거움을 확보해준다. 더 나아가, 사회에 존재하는 여러 사회악들은 재산의 사유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못됨에 그 근원이 있는 것이다.
넷째, 비현실성으로 플라톤의 이상적인 국가는 현실 사회에서 구현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특히, 그의 사회 계층 구분과 교육 체계는 현실 사회의 다양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다섯째, 권위주의적 성향으로 플라톤의 국가는 철학자들이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하는 권위주의적 성향을 지닌다는 비판이 있다. 그는 개인의 자유보다는 국가의 질서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섯째, 평등주의 부족으로 플라톤은 사회 계층 간의 평등보다는 각 계층의 역할 수행에 더 초점을 맞춘다는 비판이 있다. 그는 사회 계층 간의 불평등을 정당화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은 플라톤의 『국가』의 공유 문제를 중심으로 수행된 비판으로, 플라톤의 『국가』 전체에 대한 비판으로 간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은 플라톤의 『국가』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은 이후의 정치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대 정치에서도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동서양고전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류종렬 등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5.11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0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