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간호과정사례보고서_급성췌장염,이상지질혈증,저나트륨혈증,담관역류성위염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 간호과정사례보고서_급성췌장염,이상지질혈증,저나트륨혈증,담관역류성위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과정사례보고서
(1) 간호력
(2) 질병론
(3) 대상자의 간호과정
(4)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5)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Ⅱ (EGD 등 특수검사)
(6) 대상자의 특수치료
(7) 약물치료
(8) 간호과정
A. 의미있는 자료분석을 통한 간호문제 도출
B. 간호문제 목록 (7개지만 3개만 무작위 공개하겠습니다.)

본문내용

ate 0.3mg/ml
성분명
flumazenil 0.1mg/ml
분류
해독제 (대상자의 경우 내시경 이후)
투여용량 및 방법
마취시 초회 권장 투여량으로 플루마제닐로서 0.2mg을 15초 이내에 정맥주사한다.
만일 초회 정맥주사 후 60초 이내에 적절한 정도로 의식이 회복되지 않으면 2회째 용량으로 0.1mg을 정맥주사하고 필요한 경우 60초 간격으로 0.1mg씩을 반복 정맥주사하되 총투여량이 1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투여되는 목적 및 간호
마취 상태에서 깨어나게 하기 위해 투여한다. 중추진정작용의 역전을 위해 투여한다.
부작용
투약 후 안면창백, 혈압저하, 호흡곤란, 구역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6. 제일염산페티딘
상품명
제일페티딘염산염주사액 0.5ml
성분명
pethidine hydrochloride
분류
마약성 진통제 (강한 진통 효과)
투여용량 및 방법
격렬한 통증의 완화, 진정, 진경의 목적으로는 염산 페치딘으로서 1회 35~50 mg을 피하 또는 근육주사하며 필요에 따라 3~4시간 마다 추가한다. 특히 긴급을 요할 때에는 서서히 정맥주사한다.
투여되는 목적 및 간호
대상자의 경우 격렬한 통증을 호소할 때마다 진통제 역할로 주사되었다.
1) 졸음, 어지러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 중인 환자는 자동차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이 약의 처방 시 구체적인 복용방법, 복용시 주의사항, 보관방법 등을 신중히 설명해야 하고, 투여목적 이외에의 사용 또는 타인에게의 양도를 하지 않게 지도하는 것과 동시에, 이 약을 소아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도록 지도한다. 이 약이 불필요해졌을 경우에는 병원 또는 약국에 반납하는 등의 처치에 대해 적절히 지도한다.
부작용
① 의존성 : 계속 복용으로 약물의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신중히 투여한다. 계속 복용 중 투여량을 급격히 감소시키거나 투여를 중지했을 때 하품, 재채기, 눈물흘림, 땀흘림, 구역, 구토, 설사, 복통, 동공 확대, 두통, 불면, 불안, 헛소리, 경련, 떨림, 전신의 근육과 관절의 통증, 호흡촉박, 심계항진 등의 금단증상이 나타나면 1일 투여량을 서서히 감량하면서 환자의 상태를 신중히 관찰한다.
② 호흡억제 : 호흡곤란, 느린호흡, 불규칙호흡, 무호흡 등의 호흡억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충분히 관찰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마약길항제(날록손 등) 투여, 호흡보조 등의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③ 착란, 건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에는 감량하거나 중지하는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④ 두부손상과 두개내압 상승 : 이 약의 호흡억제 작용으로 인한 2차적인 뇌척수액 압력 증가는 두부손상, 다른 두개내 병변, 또는 이미 있던 두개내압 상승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마약성 진통제는 두부손상이 있는 환자의 임상적 경과를 불명확하게 할 수 있다.
⑤ 경련, 무기폐, 기관지 경련, 후두부종, 마비성 장폐색증, 중독성 거대결장이 보고되었다.
9. acetphen premix inj.
상품명
아세트펜프리믹스주 acetphen premix inj.
성분명
acetaminophen 10mg/ml
분류
비마약성 진통제 (p-aminophenol 유도체)
투여용량 및 방법
체중 50kg이상인 성인
1일 4회, 1회 아세트아미노펜으로서 1000mg, 투여간격은 최소 4시간 정도로 한다. 1일 최대용량은 4그람을 초과하지 않는다.
투여되는 목적 및 간호
통증이나 고열로 인하여 신속하게 정맥투여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발열의 단기간 치료로 투여되었다.
1) 이 약은 다른 약물과 혼합해서는 안 된다.
2) 이 약 복용시 감염증을 겉으로 나타나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감염증이 합병된 환자의 경우에 의사 처방에 따라 적절한 항균제를 함께 복용해야 한다.
부작용
전신 권태감, 저혈압, 무과립구증, 호중구 감소증, 반점 발진 등 나타날 수 있다.
10. 세트리손주 2000mg kit
상품명
세트리손주 2000mg kit
성분명
ceftriaxone sodium hydrate
분류
제 3세대 cephalosporin계 항생제
투여용량 및 방법
1일 1회 1~2g(역가)을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투여되는 목적 및 간호
위장관 감염증 (급성 췌장염)의 치료를 위하여 투여되었다.
1) 이 약의 사용에 있어서 내성균의 발현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수성을 확인하고 치료에 필요한 최소 기간만 투여해야 한다.
2) 쇽 등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충분히 문진하고 사전에 피부반응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쇽 발생에 대비하여 구급처치(아나필락시성 쇽 발생시 우선 에피네프린을 정맥주사한 후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주사한다) 준비를 해두고 투여 후에도 환자를 안정한 상태에서 충분히 관찰한다.
4) 투여 중 정기적으로 임상검사(간기능, 신기능, 혈액 등)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이 약을 특히 하루에 1g이상 투여받는 환자에서 담낭의 초음파 검사 시 세프트리악손칼슘침전물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침전물은 소아환자에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이 약 투여 중지 후 침전물은 사라지고 증상이 거의 없다. 증상을 수반하는 경우 보존적인 비 수술요법이 권장되며 환자의 유익성-위험성 평가를 근거로 한 의사의 판단에 따라 투여중단 여부를 결정한다.
6) 과량투여 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에 의해 이 약의 농도가 감소되지 않는다. 특정한 해독제는 없고 대증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7) 이 약으로 치료시 운전이나 기계작동 능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예. 현기증)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운전 또는 기계작동시 주의하여야 한다.
8)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담도폐쇄 유발가능성이 있는 췌장염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대부분 선행 주치료법, 중증 질환, 완전 비경구영양법(TPN) 등 담즙 정체, 담즙 슬러지(sludge) 생성 위험이 있는 환자였다. 이 약이 담즙 침전 유발인자 및 보조인자로서 작용한다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부작용
설사, 묽은 변, 호산구증가중, 백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 간효소 증가, 발진, 가려움증 나타날 수 있다.
  • 가격4,500
  • 페이지수76페이지
  • 등록일2024.05.16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11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