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 케이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경변증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필요성


Ⅱ. 본론
1. 문헌고찰
1) 간경변증 정의
2) 간경변증 원인
3) 간경변증 증상
4) 간경변증 진단
5) 간경변증 검사
6) 간경변증 치료 및 간호
7) 간경변증 합병증


2. 임상사례연구
1) 일반적 상황
2) 건강력
3) 간호력과 신체사정
4) 진단검사
5) 약물
6)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함께 시행.
active bleeding(+)
트림을 참으라 교육
구역반사 돌아 올 때까지 NPO유지
복부통증 사정
CSF
9/26
목적: 대장암과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에 매우 중요한 검사.
방법: 항문으로 내시경이라는 특수한 카메라를 삽입하여, 대장 내부 및 대장과 인접한 소장의 말단 부위까지를 관찰.
active bleeding없음.
bowel prep
복부통증사정
NPO유지
5) 약물
약물명(일반명)
효능
(환자에게 투여하는 이유)
부작용
(주의할 점)
투여방법
(용량, 방법, 횟수)
이 약물을 투여받는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3개 이상)
stilamin 3mg
식도정맥류에 의한 급성출혈, 위십이지장궤양 또는 출혈성 위염에 의한 급성출혈 치료 및 예방
오심, 구토, 설사, 복부경련, 현기증, 부정맥, 저나트륨혈증 등
250mcg을 3-5분동안 IV후 250mcg/hr의 속도로
IV infusion(최대 5일)
오심, 구토
두통
심계항진
nexium 40mg
역류성 식도질환 및 식도 역류에 따른 증상, 급성 출혈성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의 내시경 치료 후 재출혈의 예방
호흡기계 감염, 부비동염, 췌장염, 복통, 변비, 설사, 구역, 구토, 소화불량 등
80 mg을 30분간
IV 8mg/h의 속도로 71.5시간동안 IV infusion
오심, 구토
복통
발열
liveract infusion 5g/10ml
간장질환 특히 간성 혼수, 혼수 전단계
후두부의 열감, 구역 등
정주용 수액에 희석하여 IV infusion
오심, 구토
발열
혼수
Adelavin-9
1 ml
간기능 개선, 비타민 B2 결핍에 의한 질환
과민증(shock, 발진, 가려움), 구역, 흉부불쾌감, 혈압저하 등
1일 1-2ml를 1-2회 분할하여 SC, IM, slow IV
오심, 구토
저혈압
발진
6)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어지러워요”
“자꾸 토하고 싶어요”
PLT 110 10E3/㎕, hb 7.0 check.
V/S: BP 90/60, HR 110, BT 36.3
hematemesis 100cc(+) stool OB(+)
간호진단 #1
출혈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간호목표
1. 단기목표: 대상자는 48시간 동안 출혈의 위험성이 줄어든다.
2. 장기목표: 대상자는 체액부족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4시간 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점상출혈이나 자반증상이 증가하는지, 혈뇨, 혈변이 있는지 관찰한다.
ABR를 격려한다.
적혈구 수를 측정하고 처방된 p/c를 투여한다.
IM, IV, enema, foley등 침습적인 시술을 피하거나 불가피할 경우 주의하여 시행한다.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 사용을 피한다.
부드러운 칫솔이나 구강세정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토혈이나 대변에 혈액이 섞여 나올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1. 4시간 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2. 점상출혈이나 자반증상이 증가하는지, 소변, 대변, 토물에 혈액이 섞여 나오는지 관찰하였다.
3. ABR를 격려하였다.
4.처방된 p/c를 투여하였다.
5. IM시 가는 바늘을 이용하였고 IV시 지혈에 주의하며 시행하였다.
6.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 사용을 금하였다.
7. 부드러운 칫솔이나 구강세정제를 사용하도록 교육하였다.
8. 대상자에게 토혈이나 대변에 혈액이 섞여 나올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하였다.
출혈로 인한 조직관류의 변화(호흡 수, 맥박 수, 혈압감소)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출혈의 증상을 관찰하기 위함이다.
활동을 통해 출혈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다.
혈소판 수치가 낮을 경우 지혈이 지연됨으로써 출혈이 일어날 수 있다.
침습적인 행위로 인해 출혈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는 지혈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출혈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거친 칫솔은 구강조직을 손상시켜 출혈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평가
v/s: BP 100/60 HR 95 BT 36.9. hb 8.5 check.
대상자는 출혈을 예방하는 행동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이행하였다.
- 대변, 토물에 혈액이 섞여 나오지 않았으며 추가적인 출혈은 없었다.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여기가 어디야”
“집에 갈거야”
confusion mental state
NH3 90 check
침상에서 내려오려 하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2
급성혼돈과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목표
1. 단기목표: 대상자는 48시간 동안 낙상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2. 장기목표: 대상자는 지남력을 유지할 것이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근거
낙상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평가를 시행할 것이다.
의식수준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평가를 시행할 것이다.
침상난간을 올려줄 것이다.
낙상을 예방교육을 할 것이다.
필요 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할 것이다.
필요 시 억제대를 적용할 것이다.
1. 낙상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
2. 의식수준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평가를 시행하였다.
3. 침상난간을 올려주었다.
4. 낙상을 예방교육을 하였다.
5.필요 시 도움을 요청하도록 교육하였다.
6. 필요 시 억제대를 적용할 것임을 알렸다.
- 내려져있는 side rail, 미끄러운 바닥 같은 환경은 낙상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
- 낙상 위험성이 커질 수 있는 신체/인지적 결손 정도를 체크함으로써 낙상예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
- 대상자가 혼자 수행 시 낙상의 위험성이 크다.
평가
mental nearly alert state check
대상자는 낙상예방법을 인식하고 시행하였다.
Ⅲ. 결론
간경병증은 우리 주위에서 흔히 찾아볼 있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원인을 알고 이를 수행한다면 충분히 예방 또는 악화를 막을 수 있다. 하지만 heavy alcoholic으로 인한 간경병증은 예방 또는 악화를 막을 수 없다. 우리는 이를 통해 환자의 교육과 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협조가 잘 안 되지만 간호와 교육에 애씀으로 예방과 악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Ⅰ,Ⅱ 수문사
2.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Ⅰ, Ⅱ 현문사
3. 한국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 가격1,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0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