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절제술(liver lobectomy)술기 및 수술간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절제술(liver lobectomy)술기 및 수술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의 위치 및 구조
1. 간의 위치
2. 간의 구조
3. 간의 혈액공급
4. 간세포(hepatocyte)
5. 간의 기능

Ⅱ. 간암
1. 정의
2. 종류
3. 원인
4. 일반적 증상
5. 진단방법
6. 진행단계(병기)
7. 치료방법
1) 근치적 치료
2) 비근치적 치료
3) 방사선 치료
4) 항암화학요법
8. 치료 후 부작용
9. 재발 및 전이

Ⅲ. 간절제술(Liver lobectomy)
1. 수술개요
2. 수술의 적응증
3. 간절제 치료의 금기 상황
4. OP procedure
1) Skin preparation 2) Right subcostal incision
3) Ligament dissection 4) Cholecystectomy
5) Rt lobe dissection
6) Right hepatic artery ligation & Rt branch of portal vein dissection
7) Pringlemaneuver시행 8) Liver resection 9) Coagulation
10) Irrigation & hemovac 삽입 11) Wound closure& dressing
5. 수술 후 합병증
6. 수술 후 간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ery & cystic duct를 찾아 ligation한다.
② Ligation이 끝나면 liver로부터 GB를 bovie를 이용 떼낸다. 담낭 동맥과 담낭관은 결찰되고, GB는 제거한다.
5) Rt lobe dissection
① Falcifoam ligament를 abdominal wall과 liver로부터 분리 후 복막과 횡격막으로부터 Rt lobe을 분리한다.
② Rt. triangular ligament와 coronary ligament를 bovie를 이용해 횡격막과 분리한다.
6) Right hepatic artery ligation & Rt branch of portal vein dissection
① Portal vein의 오른쪽과 왼쪽 분지는 명확하게 보이고 오른쪽 분지 부위는 right
angle로 clamp한다.
② Hepatic duct, left hepatic artery의 왼쪽분지 부위는 간의 표면에서부터 제거해준다.
③ 혈관과 다른 기관들을 부드럽게 간으로부터 떼어낸 후 오른쪽 엽과 왼쪽 엽의 안쪽부분 사이를 나눈다.
④ Bleeding control위해 surgicel 사용한다.
⑤ 간우엽을 횡격막으로부터 자유롭게 들어 올려 내측으로 돌려놓고 IVC로부터 hepatic vein dissection후 이 작은 혈관들은 조심스럽고 안전하게 묶는다.
7) Pringlemaneuver시행
Bleedng을 최소화하기위해 간내로 유입되는 문맥혈류와 간동맥혈류를 차단한다.
혈관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색깔 변화에 의한 경계구분의 곡선이 표층에 소작술에
의해 선을 그을 수 있게 해준다.
① Rt lobe으로 가는 portal vien을 vessle tourniquet을 이용해 nylon tape으로 15분동안 묶어두고 resection한다. (15분 하고 5분 쉬고를 반복)
② 혈류공급이 차단되어 색깔이 변한부분을 확인하고 resection margin을 bovie로 그어둔다.
8) Liver resection
① Liver를 tagging해서 잡으면서 resection line따라 CUSA를 이용하여 liver조직을 분해한다.
② 중간 간정맥의 큰 혈관과 분지들은 이중 ligation을 한다.
9) Coagulation
① Bovie power coagulation 50으로 올린다.
② Surgicel을 이용하여 bleeding control하고 마지막으로 greenplast를 spray한다.
③ 모든 출혈과 담즙 leakage가 잡힌 후 대망은 간좌엽의 표면을 덮기 위해 당겨질 수 있고 충분한 봉합으로 대망을 안전하게 그곳에 위치시킨다.
10) Irrigation & hemovac 삽입
① Warm saline irrigation한다.
② Irrigation을 후 clean pad로 bleeding을 확인한 후 hemovac을 삽입한다.
11) Wound closure& dressing
Peritoneum은 vicryl 1/0과 PDS1/0를 이용하고 fascia는 vicryl 1/0, skin은 nylon과 skin stapler로 suture하고 거즈를 대고 medix band로 dressing한다.
Dressing을 한다.
5. 수술 후 합병증
사망률 3-6%이며 사망원인의 절반이상 간부전증, 그 외 위장관출혈, 수술부위 출혈사망의 중요한 요소는 패혈증이다.
감염의 빈도는 15-30%이고 패혈증의 원인은 간절제후 큰 공간이 생기면서 오염된 담즙이 고이거나 절제시 허혈성변화에 의한 간조직의 괴사로 인한 것으로 수술시 이를 깨끗이 배액하는 카테터를 삽입 할 수 있다. 수술 후 주의 깊게 관리하고, 예방적인 항생제를 투여한다.
6. 수술 후 간호
A. 가스교환증진 및 기도유지 증진
① 2시간마다 호흡음, 호흡횟수, 깊이, 양상, 불안, 흥분 등의 저산소증 증상과 징
후, 종격동의 위치를 완전히 사정한다.
② 처방에 의해 활력증상, 산소계측기, 동맥혈 가스분석검사를 한다. 비정상일 때는
보고한다.
③ 처방에 의해 산소를 투여한다.
④ 흉관으로부터 공기누출과 출혈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보고한다.
⑤ 통증을 사정하고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투여한다(마약진통제와 관련된 호흡억제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⑥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한다. 주의깊게 자세를 취하도록 처방을 확인한다.
⑦ 2시간마다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대상자의 신체적 활동이 가능하면 바로
incentive spirometry를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⑧ 분비물이 나오면 효과적인 기침법을 교육한다. high-Flower 체위를 취해준다.
환자에게 최대한으로 흡기를 한 다음 2초 동안 참고 있다가 입을 벌리고 2회 기
침을 하게 한 다음 코로 들이 마시도록 한다.
⑨ 분비물이 적절하게 이동되어 배출되도록 돕는다.
⑩ 처방이 있으면 활동상태를 사정하여 의자에 앉도록 돕는다.
B. 통증조절
①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을 사정한다.
② 심호흡, 체위변경, 기침 자극을 하는 동안 절개부위를 지지해 주도록 한다.
③ 적절한 체위, 위생, 부드러운 마사지, 이완술을 통해 적절한 안위를 증진시킨다.
④ 처방에 의해 진통제를 투여한다. 진통제의 효과가 최고에 도달할 때 활동을 하
도록 계획한다.
⑤ 적절한 전환요법을 사용한다.
⑥ 통증조절 섭생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하고 필요한 적응을 찾는다.
C. 감염위험성
① 매 근무시 마다 감염증상을 확인한다.
② 모든 침습적 과정은 무균술을 적용한다.
③ 1~2 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고 심호흡으로 기도를 청결히 한다.
④ 감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D. 출혈
① 수술부위에 혈액이 묻어나오거나 출혈이 있는지 파악하기위해 드레싱 확인한다
② Hemovac의 배액량을 모니터링한다.
③ 혈청알부민, 헤모글로빈 수치 확인, 응고상태 등을 사정한다.
Ⅳ.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2. 건강사정, 최공옥외, 2003, 현문사
3. 질병에 따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임난영외, 2000, 현문사
4. 사비스톤 외과학, 사비스톤 편찬위원회, 2003, 도서출판 정담
5. 수술실환자간호 개정2판, 윤혜상 저, 2004, 청구문화사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4.19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0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