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표
2. 특징
3. 수술 전 일반간호
4. 수술 후의 간호(전신마취 수술 후 48시간까지)
1) 귀실 전에 체크해둘 것
2) 귀실 시부터의 관찰과 간호 및 처치
3) 간호 및 처치
2. 특징
3. 수술 전 일반간호
4. 수술 후의 간호(전신마취 수술 후 48시간까지)
1) 귀실 전에 체크해둘 것
2) 귀실 시부터의 관찰과 간호 및 처치
3) 간호 및 처치
본문내용
거나 통기를 한다.
② 움직이게 하는 범위와 움직일 수 있는 범위
ㆍ사지 수술 : 마취 각성 시부터 건강한 팔다리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고관절이나 슬관절 수술의 경우는 고정 부위나 관절의 안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족관절이나 손가 락, 발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ㆍ척추 및 골반 수술 : 수평 앙와위 상태로 무릎 아래에 쿠션이 삽입되어 있지만, 사지 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무릎을 세우거나 펴는 것도 가능하다.
③ 기능 훈련
수술 후의 기능 훈련은 조기에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을 목표로 수술 다음날부터 적극 적으로 실시된다.
ㆍ사지 수술의 경우에는 다음날부터 능동 운동과 수동 운동을 실시한다.
건강한 쪽의 다리 운동은 족관절의 저배굴 운동, 대퇴사두근의 등장성 운동을 실시한 다. 다친 쪽의 운동은 다친 팔다리의 상태와 능력에 따라서 능동 운동과 수동 운동을 실시한다.
ㆍ척추, 골반, 고관절, 하지 수술의 경우에는 ⓐ 정맥 혈전의 예방, ⓑ 유착의 방지, ⓒ 근력 저하방지를 목적으로 건강한 쪽과 다친 쪽을 함께 하지의 구부리고 펴기, 들어올 리기 운동이 능동 운동과 수동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1세트 당 5회를
1일에 2~3회 실시한다.
② 움직이게 하는 범위와 움직일 수 있는 범위
ㆍ사지 수술 : 마취 각성 시부터 건강한 팔다리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고관절이나 슬관절 수술의 경우는 고정 부위나 관절의 안정을 방해하지 않도록 족관절이나 손가 락, 발가락을 움직일 수 있다.
ㆍ척추 및 골반 수술 : 수평 앙와위 상태로 무릎 아래에 쿠션이 삽입되어 있지만, 사지 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무릎을 세우거나 펴는 것도 가능하다.
③ 기능 훈련
수술 후의 기능 훈련은 조기에 침대에서 일어나는 것을 목표로 수술 다음날부터 적극 적으로 실시된다.
ㆍ사지 수술의 경우에는 다음날부터 능동 운동과 수동 운동을 실시한다.
건강한 쪽의 다리 운동은 족관절의 저배굴 운동, 대퇴사두근의 등장성 운동을 실시한 다. 다친 쪽의 운동은 다친 팔다리의 상태와 능력에 따라서 능동 운동과 수동 운동을 실시한다.
ㆍ척추, 골반, 고관절, 하지 수술의 경우에는 ⓐ 정맥 혈전의 예방, ⓑ 유착의 방지, ⓒ 근력 저하방지를 목적으로 건강한 쪽과 다친 쪽을 함께 하지의 구부리고 펴기, 들어올 리기 운동이 능동 운동과 수동 운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1세트 당 5회를
1일에 2~3회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