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소아당뇨 간호과정(영양 불균형,부모역할장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소아당뇨 간호과정(영양 불균형,부모역할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양 불균형
1.간호진단
2.간호사정(S/O data)

2) 부모역할장애
1.간호진단
2.간호사정(S/O data)
3.간호목표
4.간호계획
5.이론적 근거

본문내용

II. 수문사. p.427)
4. 학교관계자와 교사에게 저혈당이나 교혈당의 징후를 확실히 파악하고 응급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아동에게 개별적인 학교 건강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준다.
(김영혜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p.427)
5. 제1형 당뇨병의 진단은 종종 가족에게 충격으로 다가온다. 가족력이 있다면 부모는 질병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죄책감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당뇨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지원 단체, 당뇨병에 걸린 다른 아동의 부모를 소개하며 질병관리의 역할을 배우는 것을 돕는다.
(김영혜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p.430)
[교육적 계획]
1. 최적의 혈당을 유지시키기 위해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 피하조직의 소실 혹은 비대 가능성 감소시키기 위해 주사부위를 돌려가며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김영혜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p.430)
2. 인슐린 필요량을 적절하게 결정하기 위해 혈당을 확인해야 한다. 식전과 식사 2시간 후에 시행할 뿐 아니라 일주일에 한번 자정과 새벽 3시에 시행한다.
(김영혜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p.426)
3. 당뇨 교실이나 당뇨 캠프에 참여하면 전문가를 통해 체계적인 당뇨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또래 당뇨 환자들과 교류하며 자신감을 키워 체계적인 당뇨 자가 관리의 기틀이 마련될 수 있다.
(김영혜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p.430)
- 참고문헌
김영혜 외(2020). 아동건강간호학II. 수문사. 423~433p
NANDA-I 간호진단 2018-2020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05.22
  • 저작시기202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1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