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및 특징
4. 진단
5. 치료
6. 경과/합병증
7. 예방방법
8. 생활 가이드
9. 식이요법
10. 미숙아의 행동양상
Ⅲ. Briefing Note
Ⅳ. 각종 검사
Ⅴ. 투약 간호
Ⅵ. 간호 과정
Ⅶ. 참고 문헌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및 특징
4. 진단
5. 치료
6. 경과/합병증
7. 예방방법
8. 생활 가이드
9. 식이요법
10. 미숙아의 행동양상
Ⅲ. Briefing Note
Ⅳ. 각종 검사
Ⅴ. 투약 간호
Ⅵ. 간호 과정
Ⅶ. 참고 문헌
본문내용
y : Normal보임.
※ echo상 PDA opening확인되어 indocin 0.2mg/kg q 12hrs로 3dose 투여함.
※ chest x-ray
명칭
검사치
정상치
CRP
<0.042
0.47
Albumin
2.8
3.5 - 5.0 g/dL
Tb
4.0
신생아 : 2.0~6.0mg/dl
48시간 : 6.0~7.0mg/dl
5일 : 4.0~12.0mg/dl
1개월 ~ 성인 : 0.3~1.1mg/dl
BUN
5.9
9 - 23 mg/dL
Creatinine
0.70
0.6 - 1.4 mg/dL
Ca
9.0
3-24시간 : 9.0-10.6
24-48시간 : 7.0-12.0
4-7일 : 9.0-10.9
소아 : 8.8-10.2
P
8.3
2.4 ~ 5.9
Mg
2.5
0-6일 : 1.2-2.6
7일-2년 : 1.6-2.6
※ 혈액검사
Ⅴ. 투약간호
▶ ampicillin
작용
약명
용량
투여
적응증
부작용
항생제
GM
1회/day
IV
면역세포의 생성을 증가(조혈생성인자)
발한, 체온 하강, 피부 발진, 불쾌감, 두통, 오심, 식욕 감퇴
▶ GM
▶ 비타민 K
작용
약명
용량
투여
적응증
부작용
지혈제
비타민 K
1ml,
1회/1주
IV
신생아 출혈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핵황달, 용혈성 빈혈, 청색증, 기관지 경련
▶ Indocin
작용
약명
용량
투여
적응증
부작용
소염진통제
indomethacin
1ml,
1회/1주
IV
류머티스관절염이나 통풍의 치료
위장장애, 정신착란, 아침에 일어나는 심한 두통
Ⅵ. 간호과정
#1.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광선요법 및 기구부착과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3. 환아의 격리치료와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위험성
간호진단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O:
-32주된 미숙아
-피부색mild pinkish 로SaO₂76-80 check
-O₂hood inhalation (2L/min)
-feeding시 desaturation (feeding시마다 40% 까지 떨어짐)
-apnea간헐적으로
보임.
(RR :15회/min check됨)
-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 feeding시 SaO₂감소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인다.
- 충분히 영양공급을 해준다.
①V/S check한다.
②SaO₂ monitoring하면서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③feeding 후 트림을 시켜준다.
④수액 10% DW을 주어 전해질을 보충해준다.
⑤필요시 산소를 제공해준다.
-SaO₂:평소에 95~100%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SaO₂: feeding시에 감소하긴했지만 75~85%사이로 예전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 피부색mild pinkish가 없어졌다.
- RR : 54회/min check되면서 apnea거의 없어졌다.
Ⅶ.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최신 의학약어사전
-http://www.kimsonline.co.kr
-http://ksearc.dreamwiz.com
-http://ks.hmall.com
※ echo상 PDA opening확인되어 indocin 0.2mg/kg q 12hrs로 3dose 투여함.
※ chest x-ray
명칭
검사치
정상치
CRP
<0.042
0.47
Albumin
2.8
3.5 - 5.0 g/dL
Tb
4.0
신생아 : 2.0~6.0mg/dl
48시간 : 6.0~7.0mg/dl
5일 : 4.0~12.0mg/dl
1개월 ~ 성인 : 0.3~1.1mg/dl
BUN
5.9
9 - 23 mg/dL
Creatinine
0.70
0.6 - 1.4 mg/dL
Ca
9.0
3-24시간 : 9.0-10.6
24-48시간 : 7.0-12.0
4-7일 : 9.0-10.9
소아 : 8.8-10.2
P
8.3
2.4 ~ 5.9
Mg
2.5
0-6일 : 1.2-2.6
7일-2년 : 1.6-2.6
※ 혈액검사
Ⅴ. 투약간호
▶ ampicillin
작용
약명
용량
투여
적응증
부작용
항생제
GM
1회/day
IV
면역세포의 생성을 증가(조혈생성인자)
발한, 체온 하강, 피부 발진, 불쾌감, 두통, 오심, 식욕 감퇴
▶ GM
▶ 비타민 K
작용
약명
용량
투여
적응증
부작용
지혈제
비타민 K
1ml,
1회/1주
IV
신생아 출혈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
핵황달, 용혈성 빈혈, 청색증, 기관지 경련
▶ Indocin
작용
약명
용량
투여
적응증
부작용
소염진통제
indomethacin
1ml,
1회/1주
IV
류머티스관절염이나 통풍의 치료
위장장애, 정신착란, 아침에 일어나는 심한 두통
Ⅵ. 간호과정
#1.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2. 광선요법 및 기구부착과 관련된 피부손상의 위험성
#3. 환아의 격리치료와 관련된 부모역할 장애위험성
간호진단
목표
계획 및 수행
평가
미성숙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O:
-32주된 미숙아
-피부색mild pinkish 로SaO₂76-80 check
-O₂hood inhalation (2L/min)
-feeding시 desaturation (feeding시마다 40% 까지 떨어짐)
-apnea간헐적으로
보임.
(RR :15회/min check됨)
-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보인다.
- feeding시 SaO₂감소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보인다.
- 충분히 영양공급을 해준다.
①V/S check한다.
②SaO₂ monitoring하면서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③feeding 후 트림을 시켜준다.
④수액 10% DW을 주어 전해질을 보충해준다.
⑤필요시 산소를 제공해준다.
-SaO₂:평소에 95~100%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호흡양상을 보였다.
- SaO₂: feeding시에 감소하긴했지만 75~85%사이로 예전보다 많이 향상되었다.
- 피부색mild pinkish가 없어졌다.
- RR : 54회/min check되면서 apnea거의 없어졌다.
Ⅶ.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실습지침서
-최신 아동간호학 총론
-최신 의학약어사전
-http://www.kimsonline.co.kr
-http://ksearc.dreamwiz.com
-http://ks.hmall.com
키워드
추천자료
미숙아,신생아특발성 호흡곤란 증후군 CASE STUDY
미숙아무호흡,황달 사례연구
RDS case report.hwp
[아동간호학]케이스 스터디 -패혈증(sepsis)에 대하여
NICU 미숙아(Prematurity)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성인간호학][Acute Bronchitis][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실습]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호흡곤란증후군) 케이스 case study
가와사키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케이스 미숙아 문헌고찰(미숙아에 대한 요약 및 정리본)
아동간호학 사례보고서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