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비효율적 호흡양상
(2) 감염위험성
(2) 감염위험성
본문내용
며 적절한 운동을 시키고, 기침을 할 수 없는 경우 기관지 흡인을 하여 분비물을 제거한다. 감염이 있는 사람들로부터 격리하며 충분한 휴식, 영양과 수분섭취를 통해 환자의 저항력을 유지시킨다. (성인간호학 p.617)
중재
1. 매일 무균적으로 드레싱을 시행하였다.
2. 흉곽 천자 부위의 감염증상과 징후를 사정함 : 수술부위 주위에 발적, 부종, 통증이 나타나지 않음
3.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함: BP(128/62), P(108), RR(25), BT(37.9°C)
4. 감염지표를 사정함: WBC(6.28), RBC(5.21), 적혈구 침강속도(16mm/hr), 호중구(7.42), 림프구(25), 단핵구(6), 호산구(2)
5.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의 위험요인과 감염징후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중재
1. 매일 무균적으로 드레싱을 시행하였다.
2. 흉곽 천자 부위의 감염증상과 징후를 사정함 : 수술부위 주위에 발적, 부종, 통증이 나타나지 않음
3.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함: BP(128/62), P(108), RR(25), BT(37.9°C)
4. 감염지표를 사정함: WBC(6.28), RBC(5.21), 적혈구 침강속도(16mm/hr), 호중구(7.42), 림프구(25), 단핵구(6), 호산구(2)
5.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의 위험요인과 감염징후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