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 시나리오 배뇨 곤란 간호과정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 시나리오 배뇨 곤란 간호과정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Learning objectives
II. Scinario
III. Additional information
IⅤ. Scinario 사전 분석 보고서
V. 간호과정 보고서
VI. Report by using ISBAR

본문내용

곤란의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학습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상자의 변화된 배뇨양상 및 이전의 양상에 대한 정보가 더 필요하며, 하복부 팽창 정도를 시진 및 촉진한 결과와 대상자의 학습능력 파악을 위한 정보 (초산모, 학력 등)에 대해 더 조사할 필요가 있다.
V. 간호과정 보고서
간호진단 조별 보고서
일시 : 2021. 2. 15.
간호진단 목록 ※ 간호진단의 수에 따라 추가로 작성 가능함
(간호진단 중 2개 간호과정 적용하기)
의미있는 자료
간호진단
진단명
범주
[S data]
“아랫배가 불편하고 소변이 잘 안나와요.”
“소변을 보더라도 시원하지 않고 찝찝해요.”
“소변이 방광에 계속 남아있는 것 같아요.\"
[O data]
2017. 2. 15 NSVD
입원력 : 상기 산모는 금일 1시경 자궁수축이 증가되고 파막이 되어 분만실에 정상분만을 위해 ER 통해 admission함.V/S : BP: 120/70mmHg, P: 80회/분, R: 20회/분, BT: 37℃
주증상 : dysuria(배뇨곤란) (+), abdominal pain(복통)(+),
bladder distension(방광팽만)(+), deviation uteri(자궁편위)(+), poor uterine contraction(+), vaginal bleeding(질출혈)(+)
분만 후 방광팽만, 요정체, 자궁수축, 자궁편위로 나타나는 방광 민감도 저하와 관련된 배뇨장애
배설/교환
[S data]
“ 소변이 안나와요.. ”
[O data]
1. 진단명 : NSVD
2. 산모는 2/17 1시경 자궁수축이 증가되고 파막이 파열됨
3. 주 증상 : dysuria (+), abdominal pain(+) ,bladder distension(+) , deviatio uteri(+) poor uterine contraction(+) , vaginal bleeding(+) 나타남
4. uterine contraction 수축 증상이 나타남
분만 후 요정체로 나타나는 신경계 기능 이상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안전/보호
<간호진단>
분만 후 방광팽만, 요정체, 자궁수축, 자궁편위로 나타나는 방광 민감도 저하와 관련된 배뇨장애
< 기대되는 결과 >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배뇨를 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방광 팽만감이 해소되었다고 말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자연 배뇨에 도움이 되는 요법을 하루에 2가지 이상 시행한다.
3. 대상자는 4일 이내에 잔뇨랑이 50cc 이하로 측정된다.
< 간호계획 >
진단적 :
1. 대상자의 배뇨양상을 사정한다. (일일 소변 횟수, 색, 양 냄새 등)
2. 자궁저부 및 방광팽창 정도를 시진, 촉진한다.
3. 대상자가 자연배뇨 후 잔뇨감 호소 시 잔뇨량 측정기를 이용하여 잔뇨량을 측정한다.
4. 대상자의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하고 기록한다.
치료적 :
1. nelaton을 사용한 단순 도뇨를 실행한다
2. 분만 후 8시간 이후부터 온수를 사용한 좌욕을 실행한다.
3. 적절한 수분 섭취 (하루 2000 2500mL)를 격려하고, 고섬유식이, 과일, 야채 섭취하도록 격려한다.
4. 최소한 4시간 마다 배뇨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교육적 :
1. 충분한 수분섭취와 가벼운 운동을 격려한다.
2. 회음부 근육 강화 운동(케겔 운동)을 하루 50회 할 것을 교육한다.
3. 식이섬유가 풍부한 식이를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4. 소변을 보기 힘들때 물을 흐르는 소리를 듣도록 격려한다.
< 이론적 근거 >
진단적 :
1. 배뇨 양상을 사정함으로, 임신 전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치료 기준이 된다.
2. 분만 후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방광에 소변이 차면 하복부가 팽창됨으로 방광팽창 정도를 사정한다.
3. 잔뇨량을 사정하여 충분한 소변 배출 여부를 파악한다. 방광에 소변이 정체 될 경우 요로감염의 위험이 증가한다.
4. 섭취량에 따라 적절한 양의 소변이 배출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섭취량이 배설량보다 많다면, 이는 요 정체를 의미한다.
치료적 :
1. 분만 후 잔뇨량의 여부를 관찰하고 방광의 과도한 팽창을 막을 수 있다.
2. 좌욕은 자연 배뇨를 유도할 수 있다.
3. 적절한 수분 섭취는 배뇨를 촉진시키고, 농축뇨를 방지하여 요로감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고섬유식이, 과일, 야채 섭취 등을 통해 변비에 대처 할 수 있다.
4. 자주 배뇨하는 것은 방광을 비워 요정체의 위험을 줄인다.
교육적:
충분한 수분 섭취는 방광의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되고 적절한 운동은 체내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고 소변 기능이 정상적으로 회복됨에 도움을 준다
분만 후 합병증인 요실금 예방에 도움이 된다.
장운동을 활발하게 하여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소변을 유도할 수 있다.
VI. Report by using ISBAR
시나리오 명 :
간호사가 의사에게 환자건강문제 보고한 상황
Identification
본인: 저는 산부인과 간호사 000입니다.
상대방: 산부인과 의사 박길동 선생님이십니까?
대상자: 341병동 18호실 30세 김곤란님 관련하여 전화드렸습니다.
Situation
문제요약
주호소는 uterine contraction, MR이며, 10시에 정상분만(흡입분만) 후 병동으로 전실한 후로 소변을 보지 못해 힘드신 상태입니다.
Background
환자정보 제공
김00님께서는 21년 2월 15일 새벽 1시경 자궁수축이 증가되고 파막이 되어 분만실에 정상분만을 위해 ER로 내원하셨습니다. 분만 시 oxytocin 5u fluid mix로 투여하였고, 분만 후 vaginal bleeding 있어 eruvin 0.2mg IM 투여하였습니다.
Assessment
김00님은 현재 bladder distension과 debiation uteri, poor uterine contraction, vaginal bleeding 있으십니다.
V/S 안정적이고 혈액검사 상 Hb 11.4, WBC 10.9로 확인되었습니다.
Recommendation
소변 배출을 위해 단순도뇨 적용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어떻게 할까요?
자연배뇨 시도 후에도 배뇨가 안되면 추후에 다시 보고를 할까요?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4.05.29
  • 저작시기202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4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