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김00 아기의 입원 상황에서 의미 있는 또는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내용은?
2. 김00 아기와 가족에게 나타난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와 그 의미는 ?
3. 김00 아기와 가족에게 설정 가능한 간호진단은 ?
4. 김00 아기와 가족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내용은 ?
5. 김00 아기와 가족 간호를 위해 알아야 할 간호기술은 ?
6. 김00 아기와 가족을 위해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태도(attitude)는?
7. 1~6 의 토론 과정 중 더 알아야 할 내용은 ?
8. 간호과정 보고서
2. 김00 아기와 가족에게 나타난 주관적 자료와 객관적 자료와 그 의미는 ?
3. 김00 아기와 가족에게 설정 가능한 간호진단은 ?
4. 김00 아기와 가족에게 수행해야 할 간호 내용은 ?
5. 김00 아기와 가족 간호를 위해 알아야 할 간호기술은 ?
6. 김00 아기와 가족을 위해 간호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태도(attitude)는?
7. 1~6 의 토론 과정 중 더 알아야 할 내용은 ?
8. 간호과정 보고서
본문내용
제 밤부터 열이 39도가 넘어서 해열제 먹였는데 그래도 열이 안 떨어졌어요.\"
“아기가 잠을 자지 않고 계속 칭얼거렸어요.”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나고 기침이 계속 되네요.\"
[O data]
V/S : 39℃(37.0-37.6), P : 170회/분(70-130),
R : 60회/분(20-40), SpO2 88%(95% 이상)
나이 : 9 Month
진단명 : R/O Broncheolitis
Mucopect (기관지 확장제) 15mg/2ml/Amp IV SIDE q 12hr
Brufen Syr 3cc/Syr 38도 이상 prn
Tylenol 1T
O2 2L/min via nasal cannula SPO2 90% 이하 prn
Lung sound : rale(나음), grunting(그르렁거림)
skin color : mild pale
chest retraction(흉부견축) : (+)
nasal flaring(코 반짝임) : (+)
Cool extremities(사지 냉감): (+)
RR 60회/분, 흉부견축, 그르렁거리는 숨소리, 수포음으로 나타나는 하기도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활동/휴식
[S data]
\"아이가 열이 나고 힘들어해요.“
“어제 밤부터 열이 39도가 넘어서 해열제 먹였는데 그래도 열이 안떨어졌어요.\"
\"아이가 땀을 흘려서 옷을 살짝 벗겨주었어요.\"
[O data]
V/S : 39℃(37.0-37.6)
나이 : 9 Month
진단명 : R/O Broncheolitis
CBC
WBC 4.8-10.8x103/㎣ : 12.9 ↑
Hct : 42-48% : 39 ↓
ESR 0 ~ 20mm/hr : 35 ↑
CRP 0 ~ 0.4mg/dL : 1 ↑
Mucopect 15mg/2ml/Amp
Augument 1.g/Via, ast 300mg
Tylenol 160mg/Tab
Bioflor powder 250mg/Pow
Brufen Syr 3cc/Syr 38도 이상 prn
O2 2L/min via nasal cannula SPO2 90% 이하 prn
BP: 39도, RR 60회/분, CRP 1, ESR 35로 나타나는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안전/보호
<간호진단>
RR 60회/분, 흉부견축, 그르렁거리는 숨소리, 수포음으로 나타나는 하기도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 기대되는 결과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 폐 청진음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린다.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횟수로 호흡한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 시 정상적인 흉부 움직임을 보인다.
5. 보호자는 3일 이내에 아동에게 타진법, 흉부물리요법에 필요한 기술을 시행할 수 있다.
< 간호계획 >
[진단적]
1.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사정한다.
2.청진을 통해 호흡음을 사정한다.
3. 흉부 견축이있는지 4시간 마다 시진한다.
4. 맥박산소측정기를 연결해서 매일 SPO2 수준을 감시한다.
5. 처방된 약물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사정한다.
[치료적]
1. 처방된 O2 를 nasal cannula로 공급한다.
2. 효율적인 기도 청결을 위해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3. 적절한 호흡 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한다.
4. 처방된 tylenol을 투여한다.
5. 처방된 약물을 nebulizer를 통해 적용한다.
[교육적]
1. 보호자에게 아동의 호흡의 변화가 있을 때 경보음이 울릴 시, 간호사에게 알려달라고 교육한다.
2. 보호자에게 아동에게 실시하는 타진법의 목적과 효과,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3. 보호자에게 아동의 네뷸라이져 적용법과, 목적, 효과, 분뮤요법 후 입을 헹구도록 교육한다.
4. 보호자에게 아동의 편한 호흡을 위해 정서적 지지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이론적 근거 >
[진단적]
1. 아동의 에너지 저장량이 소모되었을 때, 호흡양상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 활력징후와 심박수를 사정하면 호흡수 호흡 노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2. 청진 시 들리는 천명음, 수포음, 나음, 마찰음, 그르렁거리는 소리는 폐렴, 결핵, 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을 의심할수 있다.
3. 많은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아동은 호흡곤란, 빠른 호흡, 코벌렁임, 견축과같은 호흡노력이 증가한다.
4. 산소포화도란 혈액 내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정도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며, 산소포화도가 낮으면 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5. 약물이 전신적으로 작용하면 산소화 수준이 향상되고 염증이 감소할 수 있다.
[치료적]
1.산소요법은 호흡 활동을 감소시키며 심장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조직이나 세포의 대사활동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2. 흉부물리요법을 통하여 체외에서 흉곽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폐내 분비물의 이동을 돕고 환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
3. 반좌위는 흉부확장이 용이하여 호흡증진에 도움을 준다.
4. 염증반응으로 인하여 통증이 증가하게 되면 호흡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진통제로 통증을 감소시켜 호흡을 편안하게 한다.
5. nebulizer는 처방된 약물을 미세한 입자의 기체상태로 바꾸어 환자의 호흡기를 통해 분무하여 폐까지 전달 되도록 돕는다.
[교육적]
1.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징후는 중심청색증, 분당 70회 이상의 호흡수, 무기력함, 호흡음 감소, 무호흡 현상 등으로 나타난다. 호흡 상태에 어떤 중요한 변화를 발견한다면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한다.
2. 폐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을 더욱 쉽게 뱉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모양의 손으로 폐부위를 두드리는 것으로, 손목 팔꿈치, 어깨의 이완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엽의 전 부위를 리듬감있게 칠수 있다.
3. nebulizer는 처방된 약물을 미세한 입자의 기체상태로 바꾸어 환자의 호흡기를 통해 분무하여 폐까지 전달 되도록 돕는다. 분뮤요법 후 입을 행굼으로써, 구강자극 및 약물로 인한 기회감염을 발생을 예방 할 수 있다.
4. 부모의 신체적, 정서적 욕구를 사정하면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영아는 부모의 불안에 반응해서 더 민감해질 수 있다. 부모와 아동이 같이 있으면 아동이 진정되고 지지된다.
“아기가 잠을 자지 않고 계속 칭얼거렸어요.”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나고 기침이 계속 되네요.\"
[O data]
V/S : 39℃(37.0-37.6), P : 170회/분(70-130),
R : 60회/분(20-40), SpO2 88%(95% 이상)
나이 : 9 Month
진단명 : R/O Broncheolitis
Mucopect (기관지 확장제) 15mg/2ml/Amp IV SIDE q 12hr
Brufen Syr 3cc/Syr 38도 이상 prn
Tylenol 1T
O2 2L/min via nasal cannula SPO2 90% 이하 prn
Lung sound : rale(나음), grunting(그르렁거림)
skin color : mild pale
chest retraction(흉부견축) : (+)
nasal flaring(코 반짝임) : (+)
Cool extremities(사지 냉감): (+)
RR 60회/분, 흉부견축, 그르렁거리는 숨소리, 수포음으로 나타나는 하기도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활동/휴식
[S data]
\"아이가 열이 나고 힘들어해요.“
“어제 밤부터 열이 39도가 넘어서 해열제 먹였는데 그래도 열이 안떨어졌어요.\"
\"아이가 땀을 흘려서 옷을 살짝 벗겨주었어요.\"
[O data]
V/S : 39℃(37.0-37.6)
나이 : 9 Month
진단명 : R/O Broncheolitis
CBC
WBC 4.8-10.8x103/㎣ : 12.9 ↑
Hct : 42-48% : 39 ↓
ESR 0 ~ 20mm/hr : 35 ↑
CRP 0 ~ 0.4mg/dL : 1 ↑
Mucopect 15mg/2ml/Amp
Augument 1.g/Via, ast 300mg
Tylenol 160mg/Tab
Bioflor powder 250mg/Pow
Brufen Syr 3cc/Syr 38도 이상 prn
O2 2L/min via nasal cannula SPO2 90% 이하 prn
BP: 39도, RR 60회/분, CRP 1, ESR 35로 나타나는 염증과 관련된 고체온
안전/보호
<간호진단>
RR 60회/분, 흉부견축, 그르렁거리는 숨소리, 수포음으로 나타나는 하기도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 기대되는 결과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정상적인 호흡양상을 유지한다.
단기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 폐 청진음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호흡음이 들린다.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정상적인 횟수로 호흡한다.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호흡 시 정상적인 흉부 움직임을 보인다.
5. 보호자는 3일 이내에 아동에게 타진법, 흉부물리요법에 필요한 기술을 시행할 수 있다.
< 간호계획 >
[진단적]
1.활력징후를 4시간 마다 사정한다.
2.청진을 통해 호흡음을 사정한다.
3. 흉부 견축이있는지 4시간 마다 시진한다.
4. 맥박산소측정기를 연결해서 매일 SPO2 수준을 감시한다.
5. 처방된 약물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사정한다.
[치료적]
1. 처방된 O2 를 nasal cannula로 공급한다.
2. 효율적인 기도 청결을 위해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3. 적절한 호흡 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한다.
4. 처방된 tylenol을 투여한다.
5. 처방된 약물을 nebulizer를 통해 적용한다.
[교육적]
1. 보호자에게 아동의 호흡의 변화가 있을 때 경보음이 울릴 시, 간호사에게 알려달라고 교육한다.
2. 보호자에게 아동에게 실시하는 타진법의 목적과 효과, 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3. 보호자에게 아동의 네뷸라이져 적용법과, 목적, 효과, 분뮤요법 후 입을 헹구도록 교육한다.
4. 보호자에게 아동의 편한 호흡을 위해 정서적 지지를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이론적 근거 >
[진단적]
1. 아동의 에너지 저장량이 소모되었을 때, 호흡양상이 빠르게 변할 수 있다. 활력징후와 심박수를 사정하면 호흡수 호흡 노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2. 청진 시 들리는 천명음, 수포음, 나음, 마찰음, 그르렁거리는 소리는 폐렴, 결핵, 천식과 같은 호흡기질환을 의심할수 있다.
3. 많은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아동은 호흡곤란, 빠른 호흡, 코벌렁임, 견축과같은 호흡노력이 증가한다.
4. 산소포화도란 혈액 내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정도를 비율로 나타낸 것이며, 산소포화도가 낮으면 폐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
5. 약물이 전신적으로 작용하면 산소화 수준이 향상되고 염증이 감소할 수 있다.
[치료적]
1.산소요법은 호흡 활동을 감소시키며 심장의 부하를 감소시키고 조직이나 세포의 대사활동에 적절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2. 흉부물리요법을 통하여 체외에서 흉곽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폐내 분비물의 이동을 돕고 환기를 증진시킬 수 있다.
3. 반좌위는 흉부확장이 용이하여 호흡증진에 도움을 준다.
4. 염증반응으로 인하여 통증이 증가하게 되면 호흡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진통제로 통증을 감소시켜 호흡을 편안하게 한다.
5. nebulizer는 처방된 약물을 미세한 입자의 기체상태로 바꾸어 환자의 호흡기를 통해 분무하여 폐까지 전달 되도록 돕는다.
[교육적]
1.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징후는 중심청색증, 분당 70회 이상의 호흡수, 무기력함, 호흡음 감소, 무호흡 현상 등으로 나타난다. 호흡 상태에 어떤 중요한 변화를 발견한다면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한다.
2. 폐 분비물을 묽게 하여 분비물을 더욱 쉽게 뱉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컵모양의 손으로 폐부위를 두드리는 것으로, 손목 팔꿈치, 어깨의 이완 상태를 유지하면서 폐엽의 전 부위를 리듬감있게 칠수 있다.
3. nebulizer는 처방된 약물을 미세한 입자의 기체상태로 바꾸어 환자의 호흡기를 통해 분무하여 폐까지 전달 되도록 돕는다. 분뮤요법 후 입을 행굼으로써, 구강자극 및 약물로 인한 기회감염을 발생을 예방 할 수 있다.
4. 부모의 신체적, 정서적 욕구를 사정하면서 휴식을 취하도록 격려한다. 영아는 부모의 불안에 반응해서 더 민감해질 수 있다. 부모와 아동이 같이 있으면 아동이 진정되고 지지된다.
추천자료
[아동간호학] 폐렴case study
폐렴, 천식 케이스
폐렴 환아에 대한 사례연구
[성인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GB stone][담석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Gallbladder stone)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간호...
[아동실습case]천식 - 비효율적호흡양상과 불안 간호진단,간호수행
폐렴케이스-아동간호학
아동간호학 비효율적 호흡양상 시나리오 시뮬레이션 실습 성찰일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