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아두불균형 제왕절개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간호학 아두불균형 제왕절개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 서론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 본론
-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증상 (Symptom)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4. Medication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6. 간호과정 적용

Ⅲ . 결론
-느낀점

Ⅳ .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현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고 통증증가 요인과 불편을 유발하는 것이 무엇인지 사정하였다.
- “아직 많이 아파요”, “이불이 지저분해서 갈아주셨으면 좋겠어요.“
평가
장기목표: POD 4일 째 통증이 경감(NRS 1점 측정)되고 편안함을 표현하였다.[달성]
단기목표: POD 2일 째 적절한 통증경감 방법(심호흡)을 행하고 통증 시 불편감을 말로 표현하였다.[달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
2019년 5월 10일 오전 10시 53분 c/sec 시행함.
수술 후 blood loss 450cc있었음
Hb 10.6 Hct 32.9로 감소
출혈예방을 위해 Oxytocin 5U/1ml mix, Eruvin inj 0.2mg/1ml(자궁수축제), Botropase inj 2iu/2ml inj(지혈제) 투여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목표
단기 목표
장기 목표
- 대상자는 2일 내에 출혈예방행동을 할 수 있다.
-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비정상적인 출혈징후(v/s 이상, 어지럼증, 창백, 쇼크 등)가 나타나지 않는다.
계획
1. 대상자 수술 후 V/S을 15분 간격으로 2번, 30분 간격으로 2번, 1시간 간격으로 1번 시행한다.
2. 대상자의 자궁 수축을 사정하고 정상 오로와 이상 오로의 차이를 설명한다.
3. op site의 출혈유무와 상처봉합상태를 사정한다.
4.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자궁수축을 위한 마사지법을 교육한다.
5. 대상자에게 어지럼증, 빈혈, 오심 등 이상증상이 있으면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6. 대상자에게 처방에 따른 자궁수축제와 지혈제를 투약한다.
이론적 근거
1. 출혈이 있을 때 v/s이 변화하기 때문에 v/s 측정을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2. 출혈위험성을 예측할 수 있고 자궁의 수축 진행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3. 수술직후 모세혈관 출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수술부위 사정하고 모래주머니를 올려 압박을 가한다.
4. 자궁저부마사지는 자궁을 수축시켜 출혈량을 줄이고 마사지를 하면서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5. 어지럼증, 빈혈, 오심 등 이상증상은 출혈의 증상을 나타낸다.
6. 자궁수축제와 지혈제를 통해 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수행
1. 수술 후 15분 간격으로 2번 30분 간격으로 2번 1시간 1번 V/S을 측정하였다.
5/10 10:45 110/80 60 20 35.7
11:00 120/80 61 20 36.2
11:30 120/80 60 20 36.2
12:30 110/70 72 20 36.3
13:30 120/70 67 20 36.3
2. 대상자의 자궁 수축을 사정하고 정상오로와 이상오로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pad 2~3시간 교환하도록 하고 pad가 무거울 정도로 피가 많이 나오거나 커다란 피 덩어리가 많이 생길 경우 간호사실로 알려달라고 하였다.
정색오로 : 산후 2일 내에는 적색으로 처음에는 선홍색을 띄지만 점차적으로 검붉은 색(어두운 적색)이나 붉은 갈색으로 변화한다.
이상오로 : 태반부착 부위의 복구가 지연되면 오로가 지속되고 거품이 있는 무통성 출혈이 있다.
3. 봉합 부위 출혈 유무 확인과 삼출물이 있는지 확인하고 수술 부위에 모래주머니 적용 하였다.
출혈 : 없음, 삼출물 : 없음.
4. 자궁저부마사지를 보호자와 대상자에게 교육하였다.
-자궁저부 마사지는 자궁을 수축시키며 혈괴를 배출함을 설명하였다.
①한손으로는 치골결합 윗부분을 지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둥글게 자궁 저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②저부가 부드럽게 촉지 되면 둥글게 마사지를 하도록 한다.
③지지하고 있는 한쪽 손을 향해 마사지한 후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주어 혈괴를 배출하도록 한다.
5. 대상자에게 어지럼증, 빈혈, 오심 등 이상반응이 있으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려달라고 교육하였다.
- “환자분, 혹시 어지럼증이나 빈혈, 오심 등 이상반응은 출혈의 증상이므로 증상이 있으시면 바로 call bell을 눌러 간호사에게 알려주세요.”
6. 의사의 처방에 따라 출혈 예방을 위한 자궁수축제와 지혈제를 투약하고 모니터링 하였다.
-Oxytocin 5U/1mL mix, Eruvin inj 0.2mg/1mL(자궁수축제), Botropase inj 2IU/2mL (지혈제) 주사 하였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비정상적인 출혈징후(v/s 이상, 어지럼증, 창백, 쇼크 등)가 나타나지 않았다.[달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출혈예방법(자궁수축을 위한 마사지법)을 정확히 시행하였다.[달성]
Ⅲ . 결론
- 느낀점
여성 병원 실습을 처음 나오게 되었다. “병동에 산모들이 많아 예민하겠다.”, “조심히 행동해야겠다.” 이런 생각들로 긴장하고 출근을 하였는데 막상 병동에 들어가 보니깐 간호사선생님들, 환자분들도 친절하시고, 병동도 그렇게 삭막한 분위기가 아니였다. 그래도 병실에 들어갈 때나 대상자들을 대할 때는 항상 조심스럽게 행동하였다. 실습하는 동안 c/sec 케이스를 실제로 보았는데 새삼 인체의 신비, 생명의 탄생이 너무 신기하게 다가왔다. 산모들이 힘들어 하시는 모습들을 보고 부모님한테 잘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자연분만을 못 본 것은 아쉬웠다. 그래도 학교에서 책으로 공부만 했던 이론들, 연습만 해봤던 간호술기들이 임상에서 쓰여 지는 것을 실제로 보는 것이 신기했다.
그리고 이번 실습을 통해 여러 가지 의사소통 방법들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실습 중에 청각장애, 언어장애 대상자 가족도 있었고, 다문화 가족도 있어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었다. 그래서 의사소통에 대한 부족함을 깨닫고 한 번 더 의사소통에 대해 공부를 하였다. 이번 실습을 통해서 한층 더 성장하면서 실습을 잘 마친 것 같아 뿌듯하였다.
Ⅳ .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6), 여성건강간호학(제8판)Ⅱ. 수문사.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아두골반 불균형
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 여성질환 아두골반 불균형
성미혜 외(2008).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www.snuh.org)
약학정보원(http://www.health.kr)
드러그인포(www.druginfo.co.kr)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4.05.30
  • 저작시기2019.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