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변비의
정의
원인
생리
증상 및 진단기준
진단검사
치료
간호
정의
원인
생리
증상 및 진단기준
진단검사
치료
간호
본문내용
파킨슨병 치료제, 항히스타민제, 알루미늄이 포함된 제산제 등 다양한 약물이 변비를 유발한다. 부작용으로 인한 변비가 심하고, 환자에게 가능한 경우라면 투여 중인 약물 종류의 변경 또는 용량 조절을 통해 변비 증상을 개선한다.
11.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변비 치료를 위한 약물을 투여한다.
→ 변비약의 남용은 약물 내성, 장점막 변화, 장신경 손상 등을 초래해 변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단기적인 사용이 바람직하다.
12. 처방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단기적으로 관장을 시행한다.
→ 주로 다른 방법으로 변비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관장 요법을 시행한다. 관장은 직장을 팽창시켜 장운동을 촉진하거나 장점막을 자극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관장은 직장 점막의 손상, 감염, 천공, 출혈 등 이차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습관적 관장은 변의를 느끼는 감각을 저하시켜 오히려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다.
13. 대상자에게 현재 신체 활동 부족이 변비의 원인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 질환의 정보 제공은 대상자가 변비가 발생한 원인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에 협조적인 태도를 갖도록 한다.
14. 대상자에게 배변 활동 촉진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수행 가능한 여러 자각간호 방법을 교육한다.
→ 변비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생활습관 교정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이를 이해하고 실천함으로써 스스로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15.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의 투약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한다.
→ 대상자가 올바른 투약 방법, 주의사항에 대해 인지하여 바르게 투여함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높이고 오용, 남용 및 부작용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 참고문헌
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27
2.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00
3. 박무인 ( Moo In Park ),신정은 ( Jeong Eun Shin ),명승재 ( Seung Jae Myung ),허규찬 ( Kyu Chan Huh ),최창환 ( Chang Hwan Choi ),정성애 ( Sung Ae Jung ),최석채 ( Suck Chei Choi ),손정일 ( Chong Il Sohn ),and 최명규 ( Myung Gyu Choi ). \"변비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대한소화기학회지 57.2 (2011): 100-114.
4. 신정은 ( Jeong Eun Shin ), 정혜경 ( Hye-kyung Jung ), 이태희 ( Tae Hee Lee ), 조윤주 ( Yunju Jo ), 이혁 ( Hyuk Lee ), 송경호 ( Kyung Ho Song ), 홍성노 ( Sung Noh Hong ), 임현철 ( Hyun Chul Lim ), 이순진 ( Soon Jin Lee ), 정순섭 ( Soon Sup Chung ), 이준성 ( Joon Seong Lee ),and 이. \"만성 기능성 변비의 진단과 치료 임상 진료지침 개정안 2015.\" 대한내과학회지 91.2 (2016): 114-130.
5. 박효진 ( Hyo Jin Park ),and 전한호 ( Han Ho Jeon ). \"변비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83.5 (2012): 568-579.
6. 신정은 ( Jeong Eun Shin ), 박경식 ( Kyung Sik Park ),and 남광우 ( Kwangwoo Nam ). \"만성 기능성 변비.\" 대한소화기학회지 73.2 (2019): 92-98.
7. 신정은 ( Jeong Eun Shin ). \"로마 기준 IV 이해하기: 기능성 변비와 항문직장 질환.\" 대한내과학회지 92.4 (2017): 372-381.
8. METAMEDIC. 변비(constipation): 원인 및 감별진단. https://metamedic.co.kr/content/639603616198d34ad03219d3
9. 신정은, 김성은, 홍경섭, 이태희, 류한승, 이유진, 김정욱,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학술위원회변비연구회. 의료인을 위한 음식 설명서(기능성 변비와 음식). 2017.
11. 처방에 따라 대상자에게 변비 치료를 위한 약물을 투여한다.
→ 변비약의 남용은 약물 내성, 장점막 변화, 장신경 손상 등을 초래해 변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단기적인 사용이 바람직하다.
12. 처방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단기적으로 관장을 시행한다.
→ 주로 다른 방법으로 변비가 해결되지 않는 경우 관장 요법을 시행한다. 관장은 직장을 팽창시켜 장운동을 촉진하거나 장점막을 자극함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즉각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관장은 직장 점막의 손상, 감염, 천공, 출혈 등 이차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습관적 관장은 변의를 느끼는 감각을 저하시켜 오히려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다.
13. 대상자에게 현재 신체 활동 부족이 변비의 원인이라는 것을 설명한다.
→ 질환의 정보 제공은 대상자가 변비가 발생한 원인을 이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에 협조적인 태도를 갖도록 한다.
14. 대상자에게 배변 활동 촉진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수행 가능한 여러 자각간호 방법을 교육한다.
→ 변비 치료와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생활습관 교정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므로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이를 이해하고 실천함으로써 스스로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다.
15. 대상자에게 처방된 약물의 투약 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해 교육한다.
→ 대상자가 올바른 투약 방법, 주의사항에 대해 인지하여 바르게 투여함으로써 약물의 효과를 높이고 오용, 남용 및 부작용의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 참고문헌
1.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827
2.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의료정보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00
3. 박무인 ( Moo In Park ),신정은 ( Jeong Eun Shin ),명승재 ( Seung Jae Myung ),허규찬 ( Kyu Chan Huh ),최창환 ( Chang Hwan Choi ),정성애 ( Sung Ae Jung ),최석채 ( Suck Chei Choi ),손정일 ( Chong Il Sohn ),and 최명규 ( Myung Gyu Choi ). \"변비 치료에 관한 임상진료지침.\" 대한소화기학회지 57.2 (2011): 100-114.
4. 신정은 ( Jeong Eun Shin ), 정혜경 ( Hye-kyung Jung ), 이태희 ( Tae Hee Lee ), 조윤주 ( Yunju Jo ), 이혁 ( Hyuk Lee ), 송경호 ( Kyung Ho Song ), 홍성노 ( Sung Noh Hong ), 임현철 ( Hyun Chul Lim ), 이순진 ( Soon Jin Lee ), 정순섭 ( Soon Sup Chung ), 이준성 ( Joon Seong Lee ),and 이. \"만성 기능성 변비의 진단과 치료 임상 진료지침 개정안 2015.\" 대한내과학회지 91.2 (2016): 114-130.
5. 박효진 ( Hyo Jin Park ),and 전한호 ( Han Ho Jeon ). \"변비의 진단과 치료.\" 대한내과학회지 83.5 (2012): 568-579.
6. 신정은 ( Jeong Eun Shin ), 박경식 ( Kyung Sik Park ),and 남광우 ( Kwangwoo Nam ). \"만성 기능성 변비.\" 대한소화기학회지 73.2 (2019): 92-98.
7. 신정은 ( Jeong Eun Shin ). \"로마 기준 IV 이해하기: 기능성 변비와 항문직장 질환.\" 대한내과학회지 92.4 (2017): 372-381.
8. METAMEDIC. 변비(constipation): 원인 및 감별진단. https://metamedic.co.kr/content/639603616198d34ad03219d3
9. 신정은, 김성은, 홍경섭, 이태희, 류한승, 이유진, 김정욱,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 학술위원회변비연구회. 의료인을 위한 음식 설명서(기능성 변비와 음식). 2017.
추천자료
[간호학]성인 호흡 부전 증후군 (ARDS-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제왕절개 케이스 레포트
정신간호학(정신지체, 정신분열병) 컨퍼자료입니다. {정신지체, 정신분열병, 약물관리, 간호...
폐암 (Lung Canc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LUL mass (SQC) - invasion to LLL...
만성 경막하 출혈 (Chronic Subdu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수술명 : burr...
모성 자궁근종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성인간호학 공통] 1. 장 배설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조사하여 원인, ...
[방통대 간호학과 4학년 성인간호학 공통] 1. 장 배설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조사하여 원인, ...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류마티스성 관절염(RA)환자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