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Hemiated Intervertebral Disc(추간판 탈출증)
2. Back Pain(요통)
3. Stroke(뇌졸중)
4. Bacterial Meningitis(세균성 뇌막염)
5. Pitutary tumors(뇌하수체 종양)
2. Back Pain(요통)
3. Stroke(뇌졸중)
4. Bacterial Meningitis(세균성 뇌막염)
5. Pitutary tumors(뇌하수체 종양)
본문내용
진스키 징후
② 전구 증상: 호흡기 감염, 중이염, 폐렴, 근육통, 배부통 및 기면
③ 뇌막염 증상: 심한 두통, 경부강직, 광선 공포증
④ 전신 증상: 고열, 일시적 피부발진(수막구균성 뇌막염에서)
⑤ 동반되는 신경학적 징후: 의식장애, 국소적 또는 전신적 간질, 반신부전, 언어장애
4. 진단적 검사
① 병력 청취: 외상이나 중이염 등 감염의 기왕력이 있는가?
② 신경 검사: Meningeal sign 검사
♤ 케르니그 징후: 환자의 고관절을 90。로 굽힌 상태에서 무릎관절을 수동적으로 펼 때 통증과 저항이 있으므로 펴지지 않게 되며, 양측성으로 나타나야만 한다.
♤ 브루진스키 징후: 한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 뒤에 검사자의 손을 넣어 목을 앞으로 굴곡시킬 때 환자의 고관절과 무릎관절이 자동적으로 굽혀지게 되며, 신생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 뇌막염 환자에게서는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다.
③ 뇌 전산화 단층촬영(barin CT): 뇌의 국소적 병변으로 인한 기면, 혼수상태 등의 신경학적 징후를 감별한다.
④ 뇌척수액 검사(CSF study)
♤ 압력: 중증도 증가(300 mmH₂O이하)
♤ 색깔: 혼탁
♤ 세포수: 100~10,000mm³까지 증가(주로 다핵구)
♤ 단백질: 증가(100mg/100mL 이상)
♤ 당: 감소(50%이상에서 열당의 60%미만)
♤ 그람 염색: 80%환자서 원인균 규명
⑤ 혈액 검사
♤ 혈청 면역 검사: 뇌척수액 검사에 의해 원인균이 규명되지 않거나 이미 항생제를 사용하여 세균배양에서 음성으로 나온 경우 뇌막염 진단에 도움이 된다.
♤ 혈액 배양: 환자 증상이 급격히 악화될 때 CT scan 이전에 실시해서 항생제치료를 시작한다.
⑥ 원인 병소에 대한 검사
♤ Chest PA 촬영: 폐렴 등 상부 호흡깅; 감염
♤ PNS series 촬영: 부비동염, 유양돌기염
♤ Skull series 촬영: 두부 골절
5. 치료
① 세균성 뇌막염은 내과적 응급 질환이므로 세균성 뇌막염이 의심되면 원인균 확인
이전에 광범위 항생제 정맥 주사 치료를 즉시 시작하여야 한다.
♤ penicillin: 폐렴 구균이나 수막구균성 뇌막염에는 우선 선택되는 항생제이므로 성인에서 페니실린 G 2,400만 unit/day 정맥주사
♤ chloramphenicol: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뇌막염에 쓰일 수 있으므로 소아에서 50~100mg/kg/day로 정맥주사
♤ ampicillin: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뇌막염에 사용되므로 소아 및 신생아(1개월 이후)에게 300mg/kg/day로 정맥주사
② 원인균이 확인된 후의 항생제 치료
③ 수막구균성 뇌막염은 집안에서 접촉에 따른 2차 감염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가족들에게도 예방적 치료로 rifampin 600mg을 경구 투여한다.
Pitutary tumors(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종양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악성은 드물다.
♤ 뇌하수체 종양의 크기와 어떠한 호르몬이 분비되느냐에 따라 특징적 증상을 나타낸다.
♤ 소선종(microadenoma): 직경 10mm 이하
♤ 거대선종(macroadenoma): 직경 10mm 이상
♤ 호르몬 분비성: 호르몬 의 활동이 과다하여 여러 호르몬이 분비된다.
♤ 비호르몬 분비성: 호르몬의 활동이 없다.
뇌하수체 종양의 호르몬 영향
호르몬
뇌하수체 과다증
뇌하수체 저하증
성장 호르몬
프로락틴
ACTH
TSH
LH,FSH
거인증(소아)
말단거대증(성인)
불임증과 유루증(여성)
쿠싱 증후군
갑상선기능 항진증
생식선기능 불능
소인증(소아)
무증상(성인)
분만 후 수유 불능
부신피질 정하
갑상선기능 저하증
성기능 부전
1. 임상 증상
♤ 종양 주위 조직의 영향을 두통, 오심 구토가 올 수 있다.(종양 크기와는 관련이 없다.)
♤ 시신경 교차의 압박으로 양측성 반측 시야를 초래하여 검사 시 뇌신경 2,3,4,5번의 손상과 시력 이상, 복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진단적 평가
♤ 두개골 X-선은 보통 정상
♤ 혈액의 호르몬 수치의 비정상
♤ Glucose tolerance test나 DST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의 비정상을 감지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
3. 치료와 간호
♤ 뇌하수체 개두술 - 전두골 절제술(tramsfromtal craniotomy), 접형골을 통한 뇌하수체 절제술(transsphenoidal hypophysectomy)
♤ 방사선 요법
♤ 냉동 파괴법 혹은 입체공간적 방사선 응고법(stereotoxic radiofrequency coagulation)
♤ 뇌하수체 저하 - 호르몬 대치 요법
♤ 유선종, GH 분비성 종양 - Bromocriptine (parlodel) 투여
♤ 뇌하수체 제거술 후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부신피질 저하로 호르몬 요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 수술 후에는 대부분 월경 중단과 불임을 초래할 수 있음을 사전에 설명한다.
♤ 수술 후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요붕증
♤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ACTH, TSH, ADH의 불균형으로 인한 사망이나 불구, 뇌졸중, 시력 상실
1) 간호 사정
♤ 신체 사정과 신경학적 검사를 중점적으로 추적 검사한다.
♤ 호르몬과 관련된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1) 간호중재
♤ 검사하는 동안 환자이 불안감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 불안감을 말로 표현하게 하여 가장 두려워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중재한다.
♤ 수술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불안을 감소시킨다.
♤ 갑상선 호르몬, cortisol 부족 또는 과잉의 증상 및 징후에 대한 자각 증상을 말하도록 설명한다.
♤ 호르몬의 대치 요법과 목적을 설명한다.
♤ 치료 약물에 대한 투여 방법과 주의 사항을 설명한다.
2) 환자 교육
♤ 활동에 제한이 있다는 것을 사전에 알려서 당황하지 않도록 한다.
♤ 일생 동안 내과적인 호르몬 치료와 관리가 중요함을 교육한다.
♤ 호르몬의 불균형 증상이 있을 때는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격려한다.
♤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수술 후 방사선 치료 및 정기적인 MRI와 시력 검사 등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 질병, 투약 상황, 연락처 등을 적은 수첩이나 카드를 지참하게 한다.
② 전구 증상: 호흡기 감염, 중이염, 폐렴, 근육통, 배부통 및 기면
③ 뇌막염 증상: 심한 두통, 경부강직, 광선 공포증
④ 전신 증상: 고열, 일시적 피부발진(수막구균성 뇌막염에서)
⑤ 동반되는 신경학적 징후: 의식장애, 국소적 또는 전신적 간질, 반신부전, 언어장애
4. 진단적 검사
① 병력 청취: 외상이나 중이염 등 감염의 기왕력이 있는가?
② 신경 검사: Meningeal sign 검사
♤ 케르니그 징후: 환자의 고관절을 90。로 굽힌 상태에서 무릎관절을 수동적으로 펼 때 통증과 저항이 있으므로 펴지지 않게 되며, 양측성으로 나타나야만 한다.
♤ 브루진스키 징후: 한자가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의 머리 뒤에 검사자의 손을 넣어 목을 앞으로 굴곡시킬 때 환자의 고관절과 무릎관절이 자동적으로 굽혀지게 되며, 신생아나 거동이 불편한 노인 뇌막염 환자에게서는 관찰되지 않을 수도 있다.
③ 뇌 전산화 단층촬영(barin CT): 뇌의 국소적 병변으로 인한 기면, 혼수상태 등의 신경학적 징후를 감별한다.
④ 뇌척수액 검사(CSF study)
♤ 압력: 중증도 증가(300 mmH₂O이하)
♤ 색깔: 혼탁
♤ 세포수: 100~10,000mm³까지 증가(주로 다핵구)
♤ 단백질: 증가(100mg/100mL 이상)
♤ 당: 감소(50%이상에서 열당의 60%미만)
♤ 그람 염색: 80%환자서 원인균 규명
⑤ 혈액 검사
♤ 혈청 면역 검사: 뇌척수액 검사에 의해 원인균이 규명되지 않거나 이미 항생제를 사용하여 세균배양에서 음성으로 나온 경우 뇌막염 진단에 도움이 된다.
♤ 혈액 배양: 환자 증상이 급격히 악화될 때 CT scan 이전에 실시해서 항생제치료를 시작한다.
⑥ 원인 병소에 대한 검사
♤ Chest PA 촬영: 폐렴 등 상부 호흡깅; 감염
♤ PNS series 촬영: 부비동염, 유양돌기염
♤ Skull series 촬영: 두부 골절
5. 치료
① 세균성 뇌막염은 내과적 응급 질환이므로 세균성 뇌막염이 의심되면 원인균 확인
이전에 광범위 항생제 정맥 주사 치료를 즉시 시작하여야 한다.
♤ penicillin: 폐렴 구균이나 수막구균성 뇌막염에는 우선 선택되는 항생제이므로 성인에서 페니실린 G 2,400만 unit/day 정맥주사
♤ chloramphenicol: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뇌막염에 쓰일 수 있으므로 소아에서 50~100mg/kg/day로 정맥주사
♤ ampicillin: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에 의한 뇌막염에 사용되므로 소아 및 신생아(1개월 이후)에게 300mg/kg/day로 정맥주사
② 원인균이 확인된 후의 항생제 치료
③ 수막구균성 뇌막염은 집안에서 접촉에 따른 2차 감염의 위험성이 높으므로 가족들에게도 예방적 치료로 rifampin 600mg을 경구 투여한다.
Pitutary tumors(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종양은 여러 종류의 세포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악성은 드물다.
♤ 뇌하수체 종양의 크기와 어떠한 호르몬이 분비되느냐에 따라 특징적 증상을 나타낸다.
♤ 소선종(microadenoma): 직경 10mm 이하
♤ 거대선종(macroadenoma): 직경 10mm 이상
♤ 호르몬 분비성: 호르몬 의 활동이 과다하여 여러 호르몬이 분비된다.
♤ 비호르몬 분비성: 호르몬의 활동이 없다.
뇌하수체 종양의 호르몬 영향
호르몬
뇌하수체 과다증
뇌하수체 저하증
성장 호르몬
프로락틴
ACTH
TSH
LH,FSH
거인증(소아)
말단거대증(성인)
불임증과 유루증(여성)
쿠싱 증후군
갑상선기능 항진증
생식선기능 불능
소인증(소아)
무증상(성인)
분만 후 수유 불능
부신피질 정하
갑상선기능 저하증
성기능 부전
1. 임상 증상
♤ 종양 주위 조직의 영향을 두통, 오심 구토가 올 수 있다.(종양 크기와는 관련이 없다.)
♤ 시신경 교차의 압박으로 양측성 반측 시야를 초래하여 검사 시 뇌신경 2,3,4,5번의 손상과 시력 이상, 복시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 진단적 평가
♤ 두개골 X-선은 보통 정상
♤ 혈액의 호르몬 수치의 비정상
♤ Glucose tolerance test나 DST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의 비정상을 감지하기 위한 검사를 시행
3. 치료와 간호
♤ 뇌하수체 개두술 - 전두골 절제술(tramsfromtal craniotomy), 접형골을 통한 뇌하수체 절제술(transsphenoidal hypophysectomy)
♤ 방사선 요법
♤ 냉동 파괴법 혹은 입체공간적 방사선 응고법(stereotoxic radiofrequency coagulation)
♤ 뇌하수체 저하 - 호르몬 대치 요법
♤ 유선종, GH 분비성 종양 - Bromocriptine (parlodel) 투여
♤ 뇌하수체 제거술 후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부신피질 저하로 호르몬 요법이 필요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 수술 후에는 대부분 월경 중단과 불임을 초래할 수 있음을 사전에 설명한다.
♤ 수술 후 일시적 또는 영구적인 요붕증
♤ 치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ACTH, TSH, ADH의 불균형으로 인한 사망이나 불구, 뇌졸중, 시력 상실
1) 간호 사정
♤ 신체 사정과 신경학적 검사를 중점적으로 추적 검사한다.
♤ 호르몬과 관련된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1) 간호중재
♤ 검사하는 동안 환자이 불안감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
♤ 불안감을 말로 표현하게 하여 가장 두려워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중재한다.
♤ 수술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불안을 감소시킨다.
♤ 갑상선 호르몬, cortisol 부족 또는 과잉의 증상 및 징후에 대한 자각 증상을 말하도록 설명한다.
♤ 호르몬의 대치 요법과 목적을 설명한다.
♤ 치료 약물에 대한 투여 방법과 주의 사항을 설명한다.
2) 환자 교육
♤ 활동에 제한이 있다는 것을 사전에 알려서 당황하지 않도록 한다.
♤ 일생 동안 내과적인 호르몬 치료와 관리가 중요함을 교육한다.
♤ 호르몬의 불균형 증상이 있을 때는 의료진과 상의하도록 격려한다.
♤ 추후 관리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수술 후 방사선 치료 및 정기적인 MRI와 시력 검사 등의 필요성을 교육한다.
♤ 질병, 투약 상황, 연락처 등을 적은 수첩이나 카드를 지참하게 한다.
추천자료
수술실실습 레포트 뇌수종(Hydrocephalus)
대퇴골절 케이스
폐렴(pneumonia) 간호사례 연구 케이스 스터디
백혈구 장애 대상자 간호 (호중구감소증 / 백혈병)
성인)고혈압 대상자의 치료와 간호_고혈압성 위기
2021년 성인간호학] 1.경장영양 지원방법의 유형과 영양액 종류,성인간호학 보관 및 오염 예...
영양지원(nutrition support) 방법을 유형 별로 제시하고 각각의 적응증, 장단점을 비교하시...
경장영양 지원방법의 유형과 영양액 종류, 보관 및 오염 예방 방법, 주입방법 및 합병증,성인...
성인간호실습케이스 - HCC(간세포성암) A+ 자세한 병태생리 및 간호사정, 간호진단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