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개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학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어 교재에서 실행되고 있는 한국 문학 교육의 현황

1.1. 서울대학교 문학 교육 현황
1.2. 이화여자대학교 문학 교육 현황
1.3. 연세대학교 문학 교육 현황
1.4. 경희대학교 문학 교육 현황
1.5. 서강대학교 문학 교육 현황

2. 초·중·고급 등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을 선정

2.1. 초급 문학 작품
2.2. 중급 문학 작품
2.3. 고급 문학 작품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달리 인간의 심리적 방황과 인간적 연대감 상실이라는 비극을 나타내는 소설이다. 소설 속 시대적 배경, 인물분석,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고 작가의 의도를 파악해보는 수업구성이 될 것이라고 본다. 고급 단계이기에 소설 속 시대와 현시대를 비교대조하여 사회적 문제, 소외의식, 사회적 연대감 상실 등 서로 감상발표와 함께 토론 형식으로 구성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Ⅲ. 결 론
한국어 교재에서 한국 문학이 어떻게 선정되어 있는지 대학별로 살펴보았고 이후 초급, 중급, 고급에 수준에 맞는 문학 작품을 선정하여 보았다. 초급의 경우 학습자가 배우고 있는 한글을 소재로 한 짧은 시 이제민 ‘한국이 좋아요’를 선정하였고 중급은 법정스님 ‘스스로 행복하라.’, 이혜인 소설 ‘열정, 같은 소리하고 있네.’를 선정하여 어휘와 표현을 학습하고 나면 부담감 없이 읽을 수 있고 작품을 통해서 인생의 의미를 다시 끔 생각해보게 하고 직장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하는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고급 단계에서는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을 통해 시대적 배경과 인물 분석, 작자 의도 등을 파악하고 학습자들이 의견을 제시하고 서로 현 시대와 비교토론 할 수 있는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본인이 선정한 한국 문학 작품을 통해 학습자들이 어휘와 문법을 습득하여 의사소통에 도움이 되는 언어 지식을 확대시키고 동시에 작품 속에 담겨있는 한국 사회 문화를 이해하여 타문화를 인지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가졌으면 한다. 그리고 문학 작품이 주는 즐거움인 작품속의 감동과 가치를 통해 개인적 성숙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이러한 모든 상황이 충족이 된다면 문학 작품을 통하여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고 포옹하여 한국인의 정서와 교류할 수 있기에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문화 능력 향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라고 본다.
Ⅳ. 참고문헌
강서원. 2014.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석사논문
김연희. 2010. 시와 수필을 활용한 초 ·중급 한국어 교육 연구. 이화여대석사논문
신주철. 2006.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이론과 실제. 커뮤니케이션북스
윤여탁외2인. 2014.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목록 선정연구. 서울대국어연구소
평가의견
과제를 충실히 하였음. 기존 교재를 조사한 것은 우수한데 그것에 대한 평가 및 해석이 필요. 작품 제안은 나름대로 왜 선정을 했는지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였음.
  • 가격2,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06.18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42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