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본문내용
하는 것이 정신분석
환자의 욕망 부모에 대한 감정을 분석
치료자를 과거에 중요했던 사람으로 보는 것
(2) 해석 : 전이, 꿈의 해석
(3) 역전이 : 치료에 도움이 안 됨
(4) 저항 : 단절, 늦거나 치료에 안 나오는 등
◎ 그 안에 무엇이 있는 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적응증 : 병식 있고 의사소통 가능한자
◎ 금기증 : 40세 이상, 낮은 지식, 어린 아이, 반사회적 성격, Alcohol 중독증,
급성기의 정신분열증 및 기분장애
3) 사회 심리적 정신치료
◎ 대인관계의 경험 교정
◎ 치료자는 신뢰감과 공감 형성
4) 실존주의 정신치료
(1) 지정요법
◎ Ellis에 주창, 대상자의 자기 파괴적 신설
합리적, 관대한 신념과 인생관을 변환
생산적인 삶
(2) 로고 테라피
◎ Frankle
◎ 인간 : 자유와 책임 있는 존재
◎ 신경증 : 실존적 공허, 의미에의 의지 좌절
◎ 치료 : 불안신경증, 강박신경증
(3) 현실요법
◎ Glasser
◎ 방법 : 대상자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인식하도록 격려, 정체성 획득,
결과에 대한 책임지도록
(4) 게슈탈트요법
◎ 자기 자신의 일부의 억압을 수용함
◎ 환자가 자신을 구성하는 감정, 행동, 경험을 촉진
◎ 성격기능의 조직화된 전체 회복 치료자 역할
(5) 내상자 중심요법 : 비지시적 상담기법
◎ Rogers
◎ 개인 속에 존재하고 있는 잠재능력을 억압되고 왜곡된 상태로부터
해방시킴으로써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을 조력하는 것
2. 집단치료
1) 목적
◎ 정신적 고통 완화
◎ 내재된 갈등을 집단 내 대인관계에서 표현 feedback 행동 변화, 통찰
긍정적 개선
2) 치료대상 및 집단구성
(1) 선정기준
◎ 집단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문제가 집단의 목적에 부합
◎ 변화하고자 하는 동기
(2) 치료기법
◎ 치료집단 구성 : 크기결정(6~7명이 적당), 빈도와 기간
◎ 치료집단 만듦 : 환자 설정, 목표설정
◎ 치료적 환경 유지
◎ 주1회, 회당 60~90분, 1~2년 동안
◎ 치료자 : 방향만 제시, 목표에 이탈되지 않게 해줌, 감정이입의 반응적 측면,
진실성, 직면, 다 같이 참여할 수 있게 도와줌
(3) 종류
① 표현적 집단 치료 : 자유롭게 감정 표현, 구성원 상호간의 이해와 수용 확대
② 정신분석적 집단치료 : 무의식, 전이현상, 꿈 분석, 무의식적 동기에 대한 해석
③ 집단 분석 : 과거경험과 집단 내 인간관계 분석, 불안장애, 인격 장애
④ 상호작용 집단치료 : 현재와 지금에 집중, 심리극(연출자는 전문 훈련 받은 자,
주인공과 보조자아 역할 바꿔줌으로 이해와 통찰력 상승)
⑤ 지시적 집단치료 : 치료자의 충고, 지시
⑥ 교육적 집단치료 : 강의식교육, 만성 정신질환자, 당뇨병, 분만 준비
⑦ 행동집단치료 : 학습이론, 새로운 방어기제 획득
⑧ 자조집단 : AA 동병상련, 쉽게 자기문제 털어 놓음, 알코올 중독자, 방어기제
안 쓰고 자존감 증가
⑨ 입원환자 집단치료 : 전체 team meeting
⑩ 집단 : 인간관계, 동질의 문제 해결, 청소년, 알코올, 약물 중독자
3. 가족 치료
◎ Ackerman
○ 정신분석적 가족 치료 : 억압된 욕구, 감정 표현
◎ Bowen : 가족 체계
◎ Minuchin : 구조적 가족치료 - 어느 정도의 경계 필요(건전한),
“경계선, 권력, 제휴“
◎ 가족 커뮤니케이션
◎ 전략적 가족치료
◎ 가족행동치료
◎ 경험주의
◎ 가족 : 인간이 성장하고 모든 경험을 하는 데 있어 기본 단위
상호작용하는 성격의 체제, 애정과 이해, 감정으로 연결, 상호간의 친밀의 인간관계
○ 생존의 기능 : 성적 욕구 충족, 생산적 욕구 충족, 문화적 가치전달,
아동의 정신적 성숙 지도
○ 인간성 형성 기능
◎ 가정 : 정신질환 및 정신건강의 소인을 운반하는 운반자
○ 역기능적 가족 : 수동적, 방어적, 적대적, 거리감, 개인차 무시,
커뮤니케이션 안 됨
○ 효율적 가족 : 친밀, 개방적, 공감적
◎ 적용대상자 : 개인치료 효과 없음, 가족구성원 자체에 문제
◎ 금기 : 핵심 구성원이 참여 하지 못할 때, 심한 장애로 접근 불가능, 균열이 너무
심해 치료 효과 의심, 너무 폭력적 등
◎ 부부치료 : 의사소통 훈련
4. 행동치료 및 인지치료기법
◎ 불안장애, 강박장애, 우울증, 고소공포
1) 행동치료 : 정신질환, 이상행동은 학습 된 행동이다
(1) 정의 : 학습이론, 정신질환은 비정상적인 행동
(2) 목표 : 체계적으로 교정, 증상의 해소, 건설적인 행동변화로 사회적 적응,
문제행동의 제거나 수정
(3) 종류
① 이완훈련 : 새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② 체계적 탈감작법
◎ 불안 상상 + 이완
◎ 긴장이완 훈련
◎ 위계 작성 : 위험 수준이 낮은 것부터 점차적으로 올라감
◎ 적응증 : 공포증, 강박증, 성 장애
③ 노출치료
◎ 상상, 이완 없음, 한꺼번에 확 노출
◎ 불안상태를 의도적, 매일 공포대상에 접근
④ 행동수정요법
◎ 인간행동은 결과에 따라 반응 한다
◎ skinner의 조작적 조건 학습이론
◎ 강화, 벌
◎ 적응증 : 식이장애, 자폐혼자, 대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그 밖의 행동 장애,
어린이, 청소년
◎ 긍정적 강화 : 토큰 활용법
◎ 음성 강화 :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에게 tube feeding
⑤ 혐오자극법
◎ ex) 동성애 적 충동유발자극, alcohol 중독혼자에게 전기자극
⑥ 자기주장 및 사회기술 훈련
◎ 우울증 환자
◎ 대화하기, 시장보기, 직장구하기
◎ 일상생활 훈련 사회생활 훈련 기술 훈련 직장 구하기
⑦ participant modeling : 환자가 닮음으로서 배우는 것
2) 인지행동치료
(1) 이론적 근거
① 부정적 자기 지각
② 현재 경험에 대한 부정적 시각(작은 일을 확대, 부정적으로, 패배감, 좌절감)
③ 미래에 대한 부정적 시각
(2) 치료기법
① 부정적 인지 : 근거가 없음을 알려줌
② 다른 관점 : 부정적 인지 찾아내어 다른 관점으로 돌림
③ 새인지 반응 : 자기 잘 된 모습 상상하게 함
(3) 적응증 : 우울증, 범불안 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
신체형 장애, 식이 장애
환자의 욕망 부모에 대한 감정을 분석
치료자를 과거에 중요했던 사람으로 보는 것
(2) 해석 : 전이, 꿈의 해석
(3) 역전이 : 치료에 도움이 안 됨
(4) 저항 : 단절, 늦거나 치료에 안 나오는 등
◎ 그 안에 무엇이 있는 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
◎ 적응증 : 병식 있고 의사소통 가능한자
◎ 금기증 : 40세 이상, 낮은 지식, 어린 아이, 반사회적 성격, Alcohol 중독증,
급성기의 정신분열증 및 기분장애
3) 사회 심리적 정신치료
◎ 대인관계의 경험 교정
◎ 치료자는 신뢰감과 공감 형성
4) 실존주의 정신치료
(1) 지정요법
◎ Ellis에 주창, 대상자의 자기 파괴적 신설
합리적, 관대한 신념과 인생관을 변환
생산적인 삶
(2) 로고 테라피
◎ Frankle
◎ 인간 : 자유와 책임 있는 존재
◎ 신경증 : 실존적 공허, 의미에의 의지 좌절
◎ 치료 : 불안신경증, 강박신경증
(3) 현실요법
◎ Glasser
◎ 방법 : 대상자가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인식하도록 격려, 정체성 획득,
결과에 대한 책임지도록
(4) 게슈탈트요법
◎ 자기 자신의 일부의 억압을 수용함
◎ 환자가 자신을 구성하는 감정, 행동, 경험을 촉진
◎ 성격기능의 조직화된 전체 회복 치료자 역할
(5) 내상자 중심요법 : 비지시적 상담기법
◎ Rogers
◎ 개인 속에 존재하고 있는 잠재능력을 억압되고 왜곡된 상태로부터
해방시킴으로써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으로 성장하는 것을 조력하는 것
2. 집단치료
1) 목적
◎ 정신적 고통 완화
◎ 내재된 갈등을 집단 내 대인관계에서 표현 feedback 행동 변화, 통찰
긍정적 개선
2) 치료대상 및 집단구성
(1) 선정기준
◎ 집단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
◎ 문제가 집단의 목적에 부합
◎ 변화하고자 하는 동기
(2) 치료기법
◎ 치료집단 구성 : 크기결정(6~7명이 적당), 빈도와 기간
◎ 치료집단 만듦 : 환자 설정, 목표설정
◎ 치료적 환경 유지
◎ 주1회, 회당 60~90분, 1~2년 동안
◎ 치료자 : 방향만 제시, 목표에 이탈되지 않게 해줌, 감정이입의 반응적 측면,
진실성, 직면, 다 같이 참여할 수 있게 도와줌
(3) 종류
① 표현적 집단 치료 : 자유롭게 감정 표현, 구성원 상호간의 이해와 수용 확대
② 정신분석적 집단치료 : 무의식, 전이현상, 꿈 분석, 무의식적 동기에 대한 해석
③ 집단 분석 : 과거경험과 집단 내 인간관계 분석, 불안장애, 인격 장애
④ 상호작용 집단치료 : 현재와 지금에 집중, 심리극(연출자는 전문 훈련 받은 자,
주인공과 보조자아 역할 바꿔줌으로 이해와 통찰력 상승)
⑤ 지시적 집단치료 : 치료자의 충고, 지시
⑥ 교육적 집단치료 : 강의식교육, 만성 정신질환자, 당뇨병, 분만 준비
⑦ 행동집단치료 : 학습이론, 새로운 방어기제 획득
⑧ 자조집단 : AA 동병상련, 쉽게 자기문제 털어 놓음, 알코올 중독자, 방어기제
안 쓰고 자존감 증가
⑨ 입원환자 집단치료 : 전체 team meeting
⑩ 집단 : 인간관계, 동질의 문제 해결, 청소년, 알코올, 약물 중독자
3. 가족 치료
◎ Ackerman
○ 정신분석적 가족 치료 : 억압된 욕구, 감정 표현
◎ Bowen : 가족 체계
◎ Minuchin : 구조적 가족치료 - 어느 정도의 경계 필요(건전한),
“경계선, 권력, 제휴“
◎ 가족 커뮤니케이션
◎ 전략적 가족치료
◎ 가족행동치료
◎ 경험주의
◎ 가족 : 인간이 성장하고 모든 경험을 하는 데 있어 기본 단위
상호작용하는 성격의 체제, 애정과 이해, 감정으로 연결, 상호간의 친밀의 인간관계
○ 생존의 기능 : 성적 욕구 충족, 생산적 욕구 충족, 문화적 가치전달,
아동의 정신적 성숙 지도
○ 인간성 형성 기능
◎ 가정 : 정신질환 및 정신건강의 소인을 운반하는 운반자
○ 역기능적 가족 : 수동적, 방어적, 적대적, 거리감, 개인차 무시,
커뮤니케이션 안 됨
○ 효율적 가족 : 친밀, 개방적, 공감적
◎ 적용대상자 : 개인치료 효과 없음, 가족구성원 자체에 문제
◎ 금기 : 핵심 구성원이 참여 하지 못할 때, 심한 장애로 접근 불가능, 균열이 너무
심해 치료 효과 의심, 너무 폭력적 등
◎ 부부치료 : 의사소통 훈련
4. 행동치료 및 인지치료기법
◎ 불안장애, 강박장애, 우울증, 고소공포
1) 행동치료 : 정신질환, 이상행동은 학습 된 행동이다
(1) 정의 : 학습이론, 정신질환은 비정상적인 행동
(2) 목표 : 체계적으로 교정, 증상의 해소, 건설적인 행동변화로 사회적 적응,
문제행동의 제거나 수정
(3) 종류
① 이완훈련 : 새소리, 물소리, 바람소리
② 체계적 탈감작법
◎ 불안 상상 + 이완
◎ 긴장이완 훈련
◎ 위계 작성 : 위험 수준이 낮은 것부터 점차적으로 올라감
◎ 적응증 : 공포증, 강박증, 성 장애
③ 노출치료
◎ 상상, 이완 없음, 한꺼번에 확 노출
◎ 불안상태를 의도적, 매일 공포대상에 접근
④ 행동수정요법
◎ 인간행동은 결과에 따라 반응 한다
◎ skinner의 조작적 조건 학습이론
◎ 강화, 벌
◎ 적응증 : 식이장애, 자폐혼자, 대식증, 신경성 식욕부진증, 그 밖의 행동 장애,
어린이, 청소년
◎ 긍정적 강화 : 토큰 활용법
◎ 음성 강화 :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에게 tube feeding
⑤ 혐오자극법
◎ ex) 동성애 적 충동유발자극, alcohol 중독혼자에게 전기자극
⑥ 자기주장 및 사회기술 훈련
◎ 우울증 환자
◎ 대화하기, 시장보기, 직장구하기
◎ 일상생활 훈련 사회생활 훈련 기술 훈련 직장 구하기
⑦ participant modeling : 환자가 닮음으로서 배우는 것
2) 인지행동치료
(1) 이론적 근거
① 부정적 자기 지각
② 현재 경험에 대한 부정적 시각(작은 일을 확대, 부정적으로, 패배감, 좌절감)
③ 미래에 대한 부정적 시각
(2) 치료기법
① 부정적 인지 : 근거가 없음을 알려줌
② 다른 관점 : 부정적 인지 찾아내어 다른 관점으로 돌림
③ 새인지 반응 : 자기 잘 된 모습 상상하게 함
(3) 적응증 : 우울증, 범불안 장애, 강박장애, 공황장애, 편집성 인격 장애,
신체형 장애, 식이 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