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미디어 속 상상과 현실의 경계
2. 상상력과 판단력의 관계
3. 현실 세계에서의 상상력의 중요성
1. 미디어 속 상상과 현실의 경계
2. 상상력과 판단력의 관계
3. 현실 세계에서의 상상력의 중요성
본문내용
가 다르더라는 내용이었다. 인터넷은 연속된 만남이 아니며, 꾸며낸 만남이다. 그래서 인터넷은 현실과 다르게 우리의 미묘한 변화를 캐치하기 어렵다. 우리의 얼굴 표정, 그리고 몸의 자세 등에 녹아져 있는 우리의 삶을 인터넷으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그렇기에 이 상상과 현실의 불일치를 피할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터넷 상에서 만남을 선호하고 있다. 더불어 인터넷 상의 만남을 현실로 이어가기를 두려워하는 경향도 가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인터넷 공간은 개인의 낭만적 상상을 보다 쉽고 빠르게 현실과 접목시킬 수 있다. 인터넷 공간 안에서 내가 원하는 나와 상대방을 꾸며낼 수 있으며 대개 그런 경우가 많다. 얼굴뿐만 아니라 재산, 신분, 성격 등 모든 걸 꾸며낼 수 있는 공간이기에 인터넷 속 사랑은 현실이 되기 어렵다. 즉 실제로 만나게 되면 서로 좋아하기 어려운 사람끼리도 인터넷에서는 좋아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들도 현실에서 직접 만나면 뻔히 상대가 실망할 것을 알고 있다. 그렇기에 인터넷 상 만남은 현실로의 만남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일루즈는 전통적 사랑과 인터넷으로 인해 경험한 사랑이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다. 전통적 사랑은 직접 만나 과거 경험들을 간추려 얻은 이미지를 현재의 상대와 뒤섞고 결합한다. 그래서 상대의 진면목을 알아보려고 작은 디테일에 집중한다. 그럼으로서 이들이 얻은 정보는 경험적 정보이다. 여기서 전통적 사랑은 과거 사랑했었던 사람들과의 대면만남의 관계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경험적 정보이다. 이는 꾸며진 정보가 아닌 사실적 정보이다. 이때에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를 이상화 할 수 있다. 반면, 오늘날 가상현실에서 이루어지는 비대면적 만남의 왜곡된 낭만적 사랑의 경우는 인터넷을 통해 경험한 자극적인 이야기를 통해 경험한 정보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만남에는 정보가 너무 많이 풍부해져 상대를 이상화하지 못하는 결과를 빚어낸다. 그러면서 저자는 “언어 과잉 그림자”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언어로 된 정보가 지나치게 많아서 눈으로 받아들이는 정보를 인식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뜻이다.
결론적으로 일루즈는 현대의 사랑이 환상을 꿈꾸고 현실에서 찾으려는 활동이 우리에게 실망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올바른 상상력을 키워야 한다. 즉 우리가 스스로의 정체성과 현실을 지키려면 우리의 상상을 지켜야 한다. 일루즈는 사랑에서 상상은 비합리적인 것으로 취급되며 상상력의 명예가 훼손된 사실에 안타까워한다. 우리가 제도화된 상상력이 아닌 제대로 된 상상력을 키우려면 우리의 상상을 이미 만들어진 생각에 두지 말고 우리의 현실적인 감각에 두어야 한다. 만약 우리의 눈과 귀를 가리고 오로지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화된 기준에 맞춘 생각으로 상상한다면 사랑은 계속 실망을 낳는다. 우리는 사회와 동떨어져 살 수 없기에 우리의 상상력은 끊임없이 위협받을 수 있다. 하지만 거기에 대결하며 계속 물어봐야 한다. 내 감정이, 기분이, 느낌이 정말 그것을 원하고 있는지 말이다.
나 역시 행복한 사랑을 하고 싶다. 나에게 행복한 사랑은 서로 배우며 성장하는 사랑이다. 행복한 사랑을 하기 위해서 내가 느낀 바로 일단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 상대를 이해해야 한다.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상대를 이해하는 것이 참 어렵다. 지금까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살아온 사람과 모든 순간이 잘 맞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게 행복한 사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터넷 상에서 만남을 선호하고 있다. 더불어 인터넷 상의 만남을 현실로 이어가기를 두려워하는 경향도 가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인터넷 공간은 개인의 낭만적 상상을 보다 쉽고 빠르게 현실과 접목시킬 수 있다. 인터넷 공간 안에서 내가 원하는 나와 상대방을 꾸며낼 수 있으며 대개 그런 경우가 많다. 얼굴뿐만 아니라 재산, 신분, 성격 등 모든 걸 꾸며낼 수 있는 공간이기에 인터넷 속 사랑은 현실이 되기 어렵다. 즉 실제로 만나게 되면 서로 좋아하기 어려운 사람끼리도 인터넷에서는 좋아하게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들도 현실에서 직접 만나면 뻔히 상대가 실망할 것을 알고 있다. 그렇기에 인터넷 상 만남은 현실로의 만남으로 이어지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일루즈는 전통적 사랑과 인터넷으로 인해 경험한 사랑이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다. 전통적 사랑은 직접 만나 과거 경험들을 간추려 얻은 이미지를 현재의 상대와 뒤섞고 결합한다. 그래서 상대의 진면목을 알아보려고 작은 디테일에 집중한다. 그럼으로서 이들이 얻은 정보는 경험적 정보이다. 여기서 전통적 사랑은 과거 사랑했었던 사람들과의 대면만남의 관계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경험적 정보이다. 이는 꾸며진 정보가 아닌 사실적 정보이다. 이때에는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를 이상화 할 수 있다. 반면, 오늘날 가상현실에서 이루어지는 비대면적 만남의 왜곡된 낭만적 사랑의 경우는 인터넷을 통해 경험한 자극적인 이야기를 통해 경험한 정보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만남에는 정보가 너무 많이 풍부해져 상대를 이상화하지 못하는 결과를 빚어낸다. 그러면서 저자는 “언어 과잉 그림자”에 대해 설명한다. 이것은 언어로 된 정보가 지나치게 많아서 눈으로 받아들이는 정보를 인식하기 어렵게 만들었다는 뜻이다.
결론적으로 일루즈는 현대의 사랑이 환상을 꿈꾸고 현실에서 찾으려는 활동이 우리에게 실망을 불러일으킨다고 말한다. 우리는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올바른 상상력을 키워야 한다. 즉 우리가 스스로의 정체성과 현실을 지키려면 우리의 상상을 지켜야 한다. 일루즈는 사랑에서 상상은 비합리적인 것으로 취급되며 상상력의 명예가 훼손된 사실에 안타까워한다. 우리가 제도화된 상상력이 아닌 제대로 된 상상력을 키우려면 우리의 상상을 이미 만들어진 생각에 두지 말고 우리의 현실적인 감각에 두어야 한다. 만약 우리의 눈과 귀를 가리고 오로지 현실과 동떨어진 이상화된 기준에 맞춘 생각으로 상상한다면 사랑은 계속 실망을 낳는다. 우리는 사회와 동떨어져 살 수 없기에 우리의 상상력은 끊임없이 위협받을 수 있다. 하지만 거기에 대결하며 계속 물어봐야 한다. 내 감정이, 기분이, 느낌이 정말 그것을 원하고 있는지 말이다.
나 역시 행복한 사랑을 하고 싶다. 나에게 행복한 사랑은 서로 배우며 성장하는 사랑이다. 행복한 사랑을 하기 위해서 내가 느낀 바로 일단 좋은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또 상대를 이해해야 한다.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상대를 이해하는 것이 참 어렵다. 지금까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살아온 사람과 모든 순간이 잘 맞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게 행복한 사랑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추천자료
문화의 수수께끼- 서평
그곳에선 나 혼자만 이상한 사람이었다
프로이드의 정신분석 이론: 역사, 개념,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하) 4. 효과적인 표현 -이청준의 [눈길] 교수학습지도안
까다로운 사람 상대하기
[한국사회문제B형] 먹거리의 결핍문제와 먹거리과잉현상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분석...
(성사랑사회E형)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억압적인만큼 남성을 여성보다 우월한존재로 여기는...
성사랑사회 B형,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으며, 점차 다양해지는 가...
[인간과사회 기말과제] 근래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사회문제 중 1) 청년실업문제를 묘사하고 2...
학교폭력예방학생의이해 학교폭력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설명하고 언어폭력 개입전략에 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