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식기 구조 이상과 간호
2. 생식기 질환 치료에 따른 간호
3. 난임 부부의 건강문제와 간호
2. 생식기 질환 치료에 따른 간호
3. 난임 부부의 건강문제와 간호
본문내용
1. 외생식기 기형 : 음순 유합, 처녀막 폐쇄
음순 유합
- 좌우의 음순이 서로 유착된 것 → 배뇨 힘듦
- 원인: 선천적 → 가성반음양9)일 때 VS 후천적 → 외음부 질염 9)난소 있지만 남성 외부생식기 - 치료: 음순을 좌우로 벌려 분리한 후 바세린 or estrogen 크림 도포 → 유착 방지
처녀막 폐쇄 - 원인: 태생기에 질이 발달할 때 관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
- 치료: 단순절개술을 시행 후 예방 목적으로 항생제 투여
2. 질의 기형 : 선천적 질 결여, 질 횡중격, 중복 질 ü 태생기 때 뮐러관(女)의 융합 or 결합과정에서 발육 잘 안 된 경우 or 발생 초기부터 뮐러관이 형성 X 경우
선천적 질 결여 (MRKH 증후군)
- 비교적 드문 증후군. 정상 핵형 유지. 정상적인 2차 성징. 정상 외부생식기. 정상 배란되기도
but, 선천적으로 자궁, 질 상부 2/3 결핍. 질 입구가 없거나 움푹 팸 - 사춘기 이후 초경 없을 수도. 월경 나오지 X → 복부 통증 - 치료: 맥인도(McIndoe) 수술 → 1주일쯤부터 새로 형성된 질의 크기에 맞는 질의 모형을 6개월 정도 지속해서 삽입하여 질이 만들어지게 함
질 횡중격 (가로 질중격)
- 질을 형성하는 관이 無, 중간 부분에서 수직적으로 융합됨. 드문 질병
- 호발 부위: 질 상단부, 중간부의 1/3되는 결합부
- 증상 · 중격 완전히 막힘: 월경혈 배출 X → 초경 이후 발견
· 중격 일부 구멍: 월경에 이상 X → 결혼, 임신 전까지 모름
- 치료: 중격이 나타난 부위 → 확장 or 절개
중복 질 (세로 질중격)
- 중격이 세로로. 질 전후로 중격 일부분이 있거나 or 질의 출구까지 연결 - 보통 양측이 개구. but, 질 한 측벽과 융합 → 한쪽 질과 자궁 막힘 → 월경혈 쌓여 팽창 - 질중격 있어도 폐쇄 X → 증상 X. 결혼 후 성교통 or 난산 시 발견
- 치료: 중격을 절개 → 하나의 질이 되도록
음순 유합
- 좌우의 음순이 서로 유착된 것 → 배뇨 힘듦
- 원인: 선천적 → 가성반음양9)일 때 VS 후천적 → 외음부 질염 9)난소 있지만 남성 외부생식기 - 치료: 음순을 좌우로 벌려 분리한 후 바세린 or estrogen 크림 도포 → 유착 방지
처녀막 폐쇄 - 원인: 태생기에 질이 발달할 때 관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
- 치료: 단순절개술을 시행 후 예방 목적으로 항생제 투여
2. 질의 기형 : 선천적 질 결여, 질 횡중격, 중복 질 ü 태생기 때 뮐러관(女)의 융합 or 결합과정에서 발육 잘 안 된 경우 or 발생 초기부터 뮐러관이 형성 X 경우
선천적 질 결여 (MRKH 증후군)
- 비교적 드문 증후군. 정상 핵형 유지. 정상적인 2차 성징. 정상 외부생식기. 정상 배란되기도
but, 선천적으로 자궁, 질 상부 2/3 결핍. 질 입구가 없거나 움푹 팸 - 사춘기 이후 초경 없을 수도. 월경 나오지 X → 복부 통증 - 치료: 맥인도(McIndoe) 수술 → 1주일쯤부터 새로 형성된 질의 크기에 맞는 질의 모형을 6개월 정도 지속해서 삽입하여 질이 만들어지게 함
질 횡중격 (가로 질중격)
- 질을 형성하는 관이 無, 중간 부분에서 수직적으로 융합됨. 드문 질병
- 호발 부위: 질 상단부, 중간부의 1/3되는 결합부
- 증상 · 중격 완전히 막힘: 월경혈 배출 X → 초경 이후 발견
· 중격 일부 구멍: 월경에 이상 X → 결혼, 임신 전까지 모름
- 치료: 중격이 나타난 부위 → 확장 or 절개
중복 질 (세로 질중격)
- 중격이 세로로. 질 전후로 중격 일부분이 있거나 or 질의 출구까지 연결 - 보통 양측이 개구. but, 질 한 측벽과 융합 → 한쪽 질과 자궁 막힘 → 월경혈 쌓여 팽창 - 질중격 있어도 폐쇄 X → 증상 X. 결혼 후 성교통 or 난산 시 발견
- 치료: 중격을 절개 → 하나의 질이 되도록
키워드
추천자료
불임[불임증(infertility)]
골반내감염 케이스(case study)
(기본간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간호
외음과질의감염, 여성생식기감염, 바르톨린샘염, Bartholinitis, 외음소양증, 질염, 트리코모...
생식기 구조 이상 : 생식기 기형, 성선 발육장애, 자궁위치이상
여성간호학실습 - 자궁절제술(hysterectomy) CASE STUDY
[간호학] 성전파성 질환
[간호학] 생식기의 구조 이상 - 생식기 기형 성선발육장애 자궁의 위치 이상 -
여성건강간호학 - 생식기 구조 이상, 생식기 질환 치료에 따른 간호, 난임 부부의 건강문제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