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물 통」의 구조와 시적 의미
3. 청각적 이미지의 시각적 제시, 여운 효과
4. 그릇된 욕망 실현의 좌절, 죄의식과 염원
5. 결론
2. 「물 통」의 구조와 시적 의미
3. 청각적 이미지의 시각적 제시, 여운 효과
4. 그릇된 욕망 실현의 좌절, 죄의식과 염원
5. 결론
본문내용
김종삼의 작품 전체를 유기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집의 전체적 의미구조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김종삼 시세계에서 주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이미지는 ‘소리’라고 볼 수 있다. 김종삼은 「G·마이나」, 「트럼펫」과 같은 여러 음악적 요소뿐만 아니라 「소리」의 “얕은 소”리 등 여러 청각적 이미지들을 시 전반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청각적 이미지는 김종삼의 시 전반에 나타나는 중요한 시적 이미지이며, 청각적 이미지가 김종삼의 시세계에서 어떠한 시적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물’의 이미지 또한 김종삼의 시 전반에 나타난다. 특히, 「G·마이나」에서 “물/닿은 곳”에 “杳然한/옛/G·마이나”가 존재하며, 「물 통」에서 “물 몇 桶”을 “길어다” 주는 시적 화자가 있는 지상에 “희미한/風琴 소리”가 나타난다. 「라산스카」에서도 “새 소리 하나”와 “물방울 소리 하나”가 함께 공존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즉, 물의 이미지 또한 김종삼의 시 전반에 나타나며, 김종삼의 시세계의 또 다른 중요한 시적 이미지인 청각적 이미지와 모종의 관련성을 지닌 듯이 보인다. 따라서 김종삼 시세계의 중요한 시적 이미지로서, 물과 청각적 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다면, 김종삼의 시세계의 전체적 의미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물’의 이미지 또한 김종삼의 시 전반에 나타난다. 특히, 「G·마이나」에서 “물/닿은 곳”에 “杳然한/옛/G·마이나”가 존재하며, 「물 통」에서 “물 몇 桶”을 “길어다” 주는 시적 화자가 있는 지상에 “희미한/風琴 소리”가 나타난다. 「라산스카」에서도 “새 소리 하나”와 “물방울 소리 하나”가 함께 공존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즉, 물의 이미지 또한 김종삼의 시 전반에 나타나며, 김종삼의 시세계의 또 다른 중요한 시적 이미지인 청각적 이미지와 모종의 관련성을 지닌 듯이 보인다. 따라서 김종삼 시세계의 중요한 시적 이미지로서, 물과 청각적 이미지의 관계를 살펴본다면, 김종삼의 시세계의 전체적 의미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추천자료
청소년 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요지 야마모토의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검정색의 연구
[청각장애][청각장애 개념][청각장애 분류][청각장애 원인][청각장애 특성][청각장애아 의사...
오태석의 희곡 태 분석
케이블 TV 대부업 광고의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TV 프로그램 비평
사회복지기관의 획기적인 마케팅과 홍보기법에 대한 방한을 제시하십시오
[정신건강론] 청소년기의 발달과 청소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및 부적응 행동, 청소년기의 사회...
[간호학과]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간호이론 E형] 압델라의 간호문제중심이론 중 21가지 간...
사진영상론] 1.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설명하고,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특징에 대해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