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가관리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여가생활 실태를 최신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기 여가생활의 문제점(최소 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가관리 ) 코로나 팬데믹 이후 우리나라 청소년의 여가생활 실태를 최신자료를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청소년기 여가생활의 문제점(최소 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청소년 여가의 필요성
(1) 신체적·정서적 능력 발달
(2) 인지적 능력 발달
(3) 사회적 능력의 발달 및 윤리 확립
(4) 문화창조의 기능
(5) 자아존중감 확립
2.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청소년 여가생활 실태
(1) 여가 활동 시간 변화
(2) 인원이 밀집된 장소의 여가 활동 침체
(3) 인터넷 이용 시간 급증
3. 청소년기 여가생활의 문제점
(1) 여가 활동의 획일화
(2) 여가 활동의 신체적 능력 향상 기능 저하
(3) 사회적 고립 및 사회성 결여
(4) 여가 활동 변화에 따른 스마트폰 과의존
4. 청소년기 여가생활 개선방안
(1) 청소년의 생활 습관 개선과 신체활동 프로그램 제공
(2)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 습관 기르기
5.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 습관 기르기
스마트폰은 언제든 쉽게 접근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통해 학습, 게임, 네트워킹 등 다양한 역할 수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의 생활에서 배제하기 어렵다. 또 청소년기는 성인보다 판단력과 자기 절제력이 다소 부족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에 중독한 청소년이 스스로 중독에서 벗어나기는 힘들다. 따라서 가정이나 학교, 지역사회 여러 기관에서 청소년이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와야 한다.
첫째 일주일에 한 번은 스마트폰 사용을 점검하는 날로 가질 필요가 있다. 요즘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 급증으로 인해 자녀의 스크린 타임을 관리하는 앱이 많이 생겼다. 평균 사용 시간을 점검할 수 있고, 자녀가 스마트폰에 앱이나 게임을 내려받을 때, 사전 승인을 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호자는 이런 앱을 적극 활용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다 노출을 예방하고, 일주일에 한 번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에 대해 대화를 나눌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는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해 다양한 지원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과 진단 조사를 적극 활용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있는 청소년을 조기에 발견하도록 하고, 만약 발견이 늦었다면 그때라도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한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한국아동, 코로나19 전후의 여가시간 사용 및 생활습관의 변화」, 육아정책 Brief, 통권 제91호,
육아정책연구소, 2022, 4쪽, 참고
셋째 청소년의 정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스마트폰 대안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스마트폰보다 더 재미있는 여가 활동이 있다면, 청소년은 스스로 스마트폰에서 멀어지게 될 것이다. 청소년기 친구와의 교제는 정서적 안정과 공감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동아리 활동, 아이가 관심을 가지는 다양한 주제의 캠프 활동 등에 참여시켜 청소년에게 친구와 교제할 다양한 기회를 제시해야 한다. 또 가족과 유대감이 깊은 청소년일수록 스마트폰에 중독될 확률이 낮다는 것을 본 기억이 있다. 가족 간의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청소년의 생각을 끌어내고, 공감을 통해 유대감을 높일 수 있으며, 가끔은 일상에서 벗어난 여행 등을 통해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다.
5. 출처 및 참고문헌
「청소년문화론」, 성열준 외 6인, 양서원, 2011
「사회적 집단감염사태로 인한 운동선수의 변화 탐색: 코로나-19 중심으로」, 전민수, 임효성, 임다연, 한국스포츠학회, vol.18, no.3, 2020
「COVID-19 그리고 여가의 과제」, 한지훈, 사혜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5, no.3, 통권 92호, 2021
「대학생들의 COVID-19 전후 여가변화와 여가동기 및 건강신념과의 관계」, 박광호, 이승연, 김진원,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 44, no.3, 2020
「코로나19 시대 여가활동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상겸, 관광진흥연구 제9권 제1호, 2021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 청소년정책연구원, https://www.kostat.go.kr/board.es?mid=
a10301010000&bid=10820&act=view&list_no=389790
「사회조사」, 통계청, https://www.kostat.go.kr/board.es?mid=a10301010000&bid=
10820&act=view&list_no=389790
「인터넷이용실태조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https://www.kostat
.go.kr/board.es?mid=a10301010000&bid=10820&act=view&list_no=389790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2020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연구」, 김지현 외 5인, 한국아동패널 Ⅱ
「경기연구원, ‘코로나19로 인한 국민 정신건강 설문조사’ 실시」, cnbnews, 이병곤, 2020.5.19., https://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447073
「코로나19 집콕과 함께 늘어난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조형국, 경향신문, 2021.05.24., https://www.khan.co.kr/national/health-welfare/article/202105231200001
「청소년 스마트폰 디톡스」, 김대진, 생각속의집, 2020
「한국아동, 코로나19 전후의 여가시간 사용 및 생활습관의 변화」, 육아정책 Brief, 통권 제91호, 육아정책연구소, 2022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07.09
  • 저작시기202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61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