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신경계의 해부와 생리
1)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2)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3)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4) 반사궁 (pacemaker)
5) 교감 신경 (sympathetic neuron)
6) 부교감 신경 (parasympathetic nerve)
7) 무조건 반사 (autonomic reflex)
2. 신경계의 건강사정
1) 건강력 조사
2) 신체검사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신경계의 해부와 생리
1)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2)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3)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4) 반사궁 (pacemaker)
5) 교감 신경 (sympathetic neuron)
6) 부교감 신경 (parasympathetic nerve)
7) 무조건 반사 (autonomic reflex)
2. 신경계의 건강사정
1) 건강력 조사
2) 신체검사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인식, 기억, 주의집중, 계산능력 및 추상적 사고를 검사한다.
뇌신경 기능 검사는 12개의 뇌신경을 대상으로 하며, 각각의 뇌신경이 제대로 기능하는지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CN1(후각신경)을 통해 냄새 인식 능력, CN2(시각신경)을 통한 시력 및 시야 검사, CN3, CN4, CN6(안구 운동 신경들)을 통한 안구 운동 검사 등이 이루어진다.
운동기능 사정에서는 환자의 신체 자세, 불수의적 움직임, 근육량, 근육의 긴장도 및 근력, 그리고 균형 및 조정 능력을 평가한다. 소뇌 기능 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이러한 기능들을 점검한다.
감각기능 검사는 가벼운 접촉, 통각, 온각, 진동감각, 위치감각 및 식별감각을 평가한다. 환자가 눈을 감고 신체 부위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거나, 손에 익숙한 작은 물건을 쥐어주고 그것을 맞추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반사 검사는 심부건 반사와 표재성 반사를 평가한다. 이는 해머를 사용하여 특정 건의 반사를 확인하고, 복부 반사, 거고근 반사 및 족저 반사 등을 통해 신경계의 정상적인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다. Babinski’s sign의 유무도 중요한 진단 지표 중 하나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신경계 [nervous system/nerve, 神經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8643&cid=40942&categoryId=32319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中樞神經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3767&cid=40942&categoryId=32319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末梢神經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1681&cid=40942&categoryId=32319
-반사궁 [pacemaker]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50609&cid=63057&categoryId=63057
-교감신경 [sympathetic neuron]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920&cid=63057&categoryId=63057
-부교감신경 [parasympathetic nerve]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990&cid=63057&categoryId=63057
-무조건반사 [autonomic reflex, 無條件反射]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5085&cid=40942&categoryId=32310
-조선대학교, <신경계 사정> 강의교재, 2014.11
뇌신경 기능 검사는 12개의 뇌신경을 대상으로 하며, 각각의 뇌신경이 제대로 기능하는지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CN1(후각신경)을 통해 냄새 인식 능력, CN2(시각신경)을 통한 시력 및 시야 검사, CN3, CN4, CN6(안구 운동 신경들)을 통한 안구 운동 검사 등이 이루어진다.
운동기능 사정에서는 환자의 신체 자세, 불수의적 움직임, 근육량, 근육의 긴장도 및 근력, 그리고 균형 및 조정 능력을 평가한다. 소뇌 기능 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테스트를 통해 이러한 기능들을 점검한다.
감각기능 검사는 가벼운 접촉, 통각, 온각, 진동감각, 위치감각 및 식별감각을 평가한다. 환자가 눈을 감고 신체 부위의 위치 변화를 인식하거나, 손에 익숙한 작은 물건을 쥐어주고 그것을 맞추도록 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반사 검사는 심부건 반사와 표재성 반사를 평가한다. 이는 해머를 사용하여 특정 건의 반사를 확인하고, 복부 반사, 거고근 반사 및 족저 반사 등을 통해 신경계의 정상적인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다. Babinski’s sign의 유무도 중요한 진단 지표 중 하나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신경계 [nervous system/nerve, 神經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18643&cid=40942&categoryId=32319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 CNS, 中樞神經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43767&cid=40942&categoryId=32319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em, 末梢神經系]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1681&cid=40942&categoryId=32319
-반사궁 [pacemaker]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6450609&cid=63057&categoryId=63057
-교감신경 [sympathetic neuron]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920&cid=63057&categoryId=63057
-부교감신경 [parasympathetic nerve] (동물학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9990&cid=63057&categoryId=63057
-무조건반사 [autonomic reflex, 無條件反射]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95085&cid=40942&categoryId=32310
-조선대학교, <신경계 사정> 강의교재, 2014.11
추천자료
신생아-황달
신경계 CNS, PNS, ANS의 구조 및 특징 신경학적 검사
[신경계질환]신경계 질환과 간호방법(고체온증,두통,신경성쇼크,감염성질환,말초신경장애,뇌...
SDH&EDH에 관한 질병 고찰 및 case study(SICU)
피부와 WOCN 문헌고찰
[성인간호] 소화기계 요약
[성인간호] 지주막하출혈 병태생리
[성인간호] 대동맥판 협착증(Aorta stenosis) 병태생리
[성인간호] 대동맥판 협착증(Aorta stenosis) 병태생리 및 간호진단
[지역사회간호학실습/A+과제] 고혈압 케이스 스터디 (OMAHA / 간호진단 12개 / 간호과정1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