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자소학(四字小學)
부부/형제(夫婦/兄弟)
부부/형제(夫婦/兄弟)
본문내용
기
衣
옷 의
食
밥 식
禽
禽獸夷狄
(금수이적)이니라 :
금수나 오랑캐와 같다.
날짐승금
獸
짐승 수
夷
오랑캐이
狄
오랑캐적
兄
兄無衣服
(형무의복)이어든 :
형이 의복이 없거든
맏 형
無
없을 무
衣
옷 의
服
옷 복
弟
弟必獻之
(제필헌지)하고 :
아우가 반드시 드리고,
아우 제
必
반드시필
獻
바칠 헌
之
갈 지
弟
弟無飮食
(제무음식)이어든 :
아우가 음식이 없거든
아우 제
無
없을 무
飮
마실 음
食
밥 식
兄
兄必與之
(형필여지)하라 :
형이 반드시 주어라.
맏 형
必
반드시필
與
줄 여
之
갈 지
一
一杯之水
(일배지수)라도 :
한 잔의 물이라도
한 일
杯
잔 배
之
갈 지
水
물 수
必
必分而飮
(필분이음)하고 :
반드시 나누어 마시고
반드시필
分
나눌 분
而
말이을이
飮
마실 음
一
一粒之食
(일립지식)이라도 :
한 알의 음식이라도
한 일
粒
살알 립
之
갈 지
食
밥 식
必
必分而食
(필분이식)하라 :
반드시 나누어 먹어라.
반드시필
分
나눌 분
而
말이을이
食
밥 식
兄
兄雖責我
(형수책아)나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맏 형
雖
비록 수
責
꾸짖을책
我
나 아
莫
莫敢抗怒
(막감항노)하고 :
감히 항거하고 성내지 말고
※不敢怨怒
(불감원노)하고 :
감히 원망하고 성내지 말며
없을 막
敢
감히 감
抗
막을 항
怒
성낼 노
弟
弟雖有過
(제수유과)나 :
아우가 비록 잘못이 있더라도
아우 제
雖
비록 수
有
있을 유
過
허물 과
須
須勿聲責
(수물성책)하라 :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말라.
모름지기수
勿
말 물
聲
소리 성
責
꾸짖을책
兄
兄弟有善
(형제유선)이어든 :
형제간에 잘한 일이 있으면
맏 형
弟
아우 제
有
있을 유
善
착할 선
必
必譽于外
(필예우외)하고 :
반드시 밖에 칭찬하고,
반드시필
譽
기릴 예
于
어조사우
外
바깥 외
兄
兄弟有失
(형제유실)이어든 :
형제간에 잘못이 있으면
※兄弟有惡
(형제유악)이어든 :
형제가 악함이 있거든
맏 형
弟
아우 제
有
있을 유
失
잃을 실
隱
隱而勿揚
(은이물양)하라 :
숨겨 주고 드러내지 말라.
※隱而勿現
(은이물현)하라 :
숨기고 나타내지 말라.
숨길 은
而
말이을이
勿
말 물
揚
오를 양
兄
兄弟有難
(형제유난)이어든 :
형제간에 어려운 일이 있으면
※難→病(병들 병)으로 쓰기도 함
맏 형
弟
아우 제
有
있을 유
難
어려울난
悶
悶而思救
(민이사구)하라 :
근심하고 구원해 주기를 생각하라.
번민할민
而
말이을이
思
생각 사
救
건질 구
我
我打我弟
(아타아제)면 :
내가 내 아우를 때리면
나 아
打
칠 타
我
나 아
弟
아우 제
猶
猶打父母
(유타부모)요 :
부모님을 때림과 같을 것이요
같을 유
打
칠 타
父
아비 부
母
어미 모
我
我欺兄弟
(아기형제)면 :
내가 형제를 속이면
나 아
欺
속일 기
兄
맏 형
弟
아우 제
如
如欺父母
(여기부모)라 :
부모님을 속임과 같을지니라.
같을 여
欺
속일 기
父
아비 부
母
어미 모
我
我及兄弟
(아급형제)는 :
나와 형제는
나 아
及
미칠 급
兄
맏 형
弟
아우 제
同
同受親血
(동수친혈)이니 :
같은 어버이 피를 받았으니
같을 동
受
받을 수
親
친할 친
血
피 혈
兄
兄有過失
(형유과실)이면 :
형에게 과실이 있으면
맏 형
有
있을 유
過
허물 과
失
잃을 실
和
和氣以諫
(화기이간)하고 :
화목한 기운으로 간하고(잘못을 고치도록 말하고)
화할 화
氣
기운 기
以
써 이
諫
간할 간
弟
弟有過失
(제유과실)이면 :
동생에게 과실이 있다면
아우 제
有
있을 유
過
허물 과
失
잃을 실
怡
怡聲以訓
(이성이훈)하라 :
기꺼운 소리로써 가르쳐라.
기쁠 이
聲
소리 성
以
써 이
訓
가르칠훈
我
我出晩來
(아출만래)하면 :
내가 나가 늦게 오면
나 아
出
날 출
晩
늦을 만
來
올 래
倚
倚門俟之
(의문사지)하고 :
문에 기대어 기다리고
의지할의
門
문 문
俟
기다릴사
之
갈 지
弟
弟出不還
(제출불환)하면 :
아우가 나가 돌아오지 않으면
아우 제
出
날 출
不
아닐 불
還
돌아올환
登
登高望之
(등고망지)니라 :
높은 데 올라 바라볼지니라.
오를 등
高
높을 고
望
바랄 망
之
갈 지
兄
兄能如此
(형능여차)면 :
형이 능히 이와 같이 하면
맏 형
能
능할 능
如
같을 여
此
이 차
弟
弟亦效之
(제역효지)리라 :
아우도 또한 본받으리라.
아우 제
亦
또 역
效
본받을효
之
갈 지
我
我有歡樂
(아유환락)이면 :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나 아
有
있을 유
歡
기뻐할환
樂
즐길 락
兄
兄弟亦樂
(형제역락)하고 :
형제들도 즐거워하고,
맏 형
弟
아우 제
亦
또 역
樂
즐길 락
我
我有憂患
(아유우환)이면 :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나 아
有
있을 유
憂
근심 우
患
걱정 환
兄
兄弟亦憂
(형제역우)니라 :
형제들도 근심하느니라.
맏 형
弟
아우 제
亦
또 역
憂
근심 우
雖
雖有良朋
(수유량붕)이나 :
비록 어진 벗이 있을지라도
비록 수
有
있을 유
良
어질 량
朋
벗 붕
不
不及如此
(불급여차)니라 :
이 같음에 미치지 못할지니라.
아닐 불
及
미칠 급
如
같을 여
此
이 차
敬
敬我兄後
(경아형후)에는 :
내 형을 공경한 뒤에는
공경 경
我
나 아
兄
맏 형
後
뒤 후
敬
敬人之兄
(경인지형)하고 :
다른 사람의 형을 공경하고
※人→다른 사람을 뜻함
공경 경
人
사람 인
之
갈 지
兄
맏 형
愛
愛我弟後
(애아제후)에 :
내 아우를 사랑한 뒤에
사랑 애
我
나 아
弟
아우 제
後
뒤 후
愛
愛
人
之
弟
愛人之弟(애인지제)하라 : 다른 사람의 아우를 사랑하라.
사랑 애
사람 인
갈 지
아우 제
사랑 애
人
사람 인
之
갈 지
弟
아우 제
雖
雖有他親
(수유타친)이나 :
비록 다른 친척이 있으나
비록 수
有
있을 유
他
다를 타
親
친척 친
豈
豈若兄弟
(기약형제)리오 :
어찌 형제간과 같겠는가?
어찌 기
若
같을 약
兄
맏 형
弟
아우 제
兄
兄弟和睦
(형제화목)이면 :
형제가 화목하면
맏 형
弟
아우 제
和
화할 화
睦
화목할목
父
父母喜之
(부모희지)시니라 :
부모님께서 기뻐하시느니라.
아비 부
母
어미 모
喜
기쁠 희
之
갈 지
衣
옷 의
食
밥 식
禽
禽獸夷狄
(금수이적)이니라 :
금수나 오랑캐와 같다.
날짐승금
獸
짐승 수
夷
오랑캐이
狄
오랑캐적
兄
兄無衣服
(형무의복)이어든 :
형이 의복이 없거든
맏 형
無
없을 무
衣
옷 의
服
옷 복
弟
弟必獻之
(제필헌지)하고 :
아우가 반드시 드리고,
아우 제
必
반드시필
獻
바칠 헌
之
갈 지
弟
弟無飮食
(제무음식)이어든 :
아우가 음식이 없거든
아우 제
無
없을 무
飮
마실 음
食
밥 식
兄
兄必與之
(형필여지)하라 :
형이 반드시 주어라.
맏 형
必
반드시필
與
줄 여
之
갈 지
一
一杯之水
(일배지수)라도 :
한 잔의 물이라도
한 일
杯
잔 배
之
갈 지
水
물 수
必
必分而飮
(필분이음)하고 :
반드시 나누어 마시고
반드시필
分
나눌 분
而
말이을이
飮
마실 음
一
一粒之食
(일립지식)이라도 :
한 알의 음식이라도
한 일
粒
살알 립
之
갈 지
食
밥 식
必
必分而食
(필분이식)하라 :
반드시 나누어 먹어라.
반드시필
分
나눌 분
而
말이을이
食
밥 식
兄
兄雖責我
(형수책아)나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맏 형
雖
비록 수
責
꾸짖을책
我
나 아
莫
莫敢抗怒
(막감항노)하고 :
감히 항거하고 성내지 말고
※不敢怨怒
(불감원노)하고 :
감히 원망하고 성내지 말며
없을 막
敢
감히 감
抗
막을 항
怒
성낼 노
弟
弟雖有過
(제수유과)나 :
아우가 비록 잘못이 있더라도
아우 제
雖
비록 수
有
있을 유
過
허물 과
須
須勿聲責
(수물성책)하라 :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말라.
모름지기수
勿
말 물
聲
소리 성
責
꾸짖을책
兄
兄弟有善
(형제유선)이어든 :
형제간에 잘한 일이 있으면
맏 형
弟
아우 제
有
있을 유
善
착할 선
必
必譽于外
(필예우외)하고 :
반드시 밖에 칭찬하고,
반드시필
譽
기릴 예
于
어조사우
外
바깥 외
兄
兄弟有失
(형제유실)이어든 :
형제간에 잘못이 있으면
※兄弟有惡
(형제유악)이어든 :
형제가 악함이 있거든
맏 형
弟
아우 제
有
있을 유
失
잃을 실
隱
隱而勿揚
(은이물양)하라 :
숨겨 주고 드러내지 말라.
※隱而勿現
(은이물현)하라 :
숨기고 나타내지 말라.
숨길 은
而
말이을이
勿
말 물
揚
오를 양
兄
兄弟有難
(형제유난)이어든 :
형제간에 어려운 일이 있으면
※難→病(병들 병)으로 쓰기도 함
맏 형
弟
아우 제
有
있을 유
難
어려울난
悶
悶而思救
(민이사구)하라 :
근심하고 구원해 주기를 생각하라.
번민할민
而
말이을이
思
생각 사
救
건질 구
我
我打我弟
(아타아제)면 :
내가 내 아우를 때리면
나 아
打
칠 타
我
나 아
弟
아우 제
猶
猶打父母
(유타부모)요 :
부모님을 때림과 같을 것이요
같을 유
打
칠 타
父
아비 부
母
어미 모
我
我欺兄弟
(아기형제)면 :
내가 형제를 속이면
나 아
欺
속일 기
兄
맏 형
弟
아우 제
如
如欺父母
(여기부모)라 :
부모님을 속임과 같을지니라.
같을 여
欺
속일 기
父
아비 부
母
어미 모
我
我及兄弟
(아급형제)는 :
나와 형제는
나 아
及
미칠 급
兄
맏 형
弟
아우 제
同
同受親血
(동수친혈)이니 :
같은 어버이 피를 받았으니
같을 동
受
받을 수
親
친할 친
血
피 혈
兄
兄有過失
(형유과실)이면 :
형에게 과실이 있으면
맏 형
有
있을 유
過
허물 과
失
잃을 실
和
和氣以諫
(화기이간)하고 :
화목한 기운으로 간하고(잘못을 고치도록 말하고)
화할 화
氣
기운 기
以
써 이
諫
간할 간
弟
弟有過失
(제유과실)이면 :
동생에게 과실이 있다면
아우 제
有
있을 유
過
허물 과
失
잃을 실
怡
怡聲以訓
(이성이훈)하라 :
기꺼운 소리로써 가르쳐라.
기쁠 이
聲
소리 성
以
써 이
訓
가르칠훈
我
我出晩來
(아출만래)하면 :
내가 나가 늦게 오면
나 아
出
날 출
晩
늦을 만
來
올 래
倚
倚門俟之
(의문사지)하고 :
문에 기대어 기다리고
의지할의
門
문 문
俟
기다릴사
之
갈 지
弟
弟出不還
(제출불환)하면 :
아우가 나가 돌아오지 않으면
아우 제
出
날 출
不
아닐 불
還
돌아올환
登
登高望之
(등고망지)니라 :
높은 데 올라 바라볼지니라.
오를 등
高
높을 고
望
바랄 망
之
갈 지
兄
兄能如此
(형능여차)면 :
형이 능히 이와 같이 하면
맏 형
能
능할 능
如
같을 여
此
이 차
弟
弟亦效之
(제역효지)리라 :
아우도 또한 본받으리라.
아우 제
亦
또 역
效
본받을효
之
갈 지
我
我有歡樂
(아유환락)이면 :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나 아
有
있을 유
歡
기뻐할환
樂
즐길 락
兄
兄弟亦樂
(형제역락)하고 :
형제들도 즐거워하고,
맏 형
弟
아우 제
亦
또 역
樂
즐길 락
我
我有憂患
(아유우환)이면 :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나 아
有
있을 유
憂
근심 우
患
걱정 환
兄
兄弟亦憂
(형제역우)니라 :
형제들도 근심하느니라.
맏 형
弟
아우 제
亦
또 역
憂
근심 우
雖
雖有良朋
(수유량붕)이나 :
비록 어진 벗이 있을지라도
비록 수
有
있을 유
良
어질 량
朋
벗 붕
不
不及如此
(불급여차)니라 :
이 같음에 미치지 못할지니라.
아닐 불
及
미칠 급
如
같을 여
此
이 차
敬
敬我兄後
(경아형후)에는 :
내 형을 공경한 뒤에는
공경 경
我
나 아
兄
맏 형
後
뒤 후
敬
敬人之兄
(경인지형)하고 :
다른 사람의 형을 공경하고
※人→다른 사람을 뜻함
공경 경
人
사람 인
之
갈 지
兄
맏 형
愛
愛我弟後
(애아제후)에 :
내 아우를 사랑한 뒤에
사랑 애
我
나 아
弟
아우 제
後
뒤 후
愛
愛
人
之
弟
愛人之弟(애인지제)하라 : 다른 사람의 아우를 사랑하라.
사랑 애
사람 인
갈 지
아우 제
사랑 애
人
사람 인
之
갈 지
弟
아우 제
雖
雖有他親
(수유타친)이나 :
비록 다른 친척이 있으나
비록 수
有
있을 유
他
다를 타
親
친척 친
豈
豈若兄弟
(기약형제)리오 :
어찌 형제간과 같겠는가?
어찌 기
若
같을 약
兄
맏 형
弟
아우 제
兄
兄弟和睦
(형제화목)이면 :
형제가 화목하면
맏 형
弟
아우 제
和
화할 화
睦
화목할목
父
父母喜之
(부모희지)시니라 :
부모님께서 기뻐하시느니라.
아비 부
母
어미 모
喜
기쁠 희
之
갈 지
추천자료
학교폭력에 관한 사회, 문화, 제도적 문제와 대안
한문 형제자매 학습지도안
[교과교육론D]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건강생활, 사회생활, 표현생활, 언어생활, 탐구...
한자성어(사자성어, 고사성어)사례(ㄱ~ㄴ), 한자성어(사자성어, 고사성어)사례(ㄷ~ㄹ), 한자...
사자소학 감상문
한문과 한자쓰기, 국어과 경필쓰기 수업자료(학습자료), 음악과 국악, 체육과 민속놀이 수업...
주의집중손유희모음
노인복지 서비스 복지서비스와 평생교육프로그램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위해서 교사는 언어 사용 모델, 언어경험 제공자, 상호작용자, 관찰자로...
[교훈글][이야기][명상][인내심][인간가치]교훈글 사례1(이야기), 교훈글 사례2(명상), 교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