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실습 확장성 심근병증 심박출량 감소 활동지속성 장애 간호진단 검사결과 약물 치료 현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확장성 심근병증 심박출량 감소 활동지속성 장애 간호진단 검사결과 약물 치료 현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도출
2) 진단적 검사결과
3) 약물치료 현황
4)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본문내용

.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3964
의학검색엔진, 알닥톤필름코팅정,
http://www.kmle.co.kr/viewDrug.php?inx=42606&c=b02279b5ba0ee74f1d77b2a64cb3ec22
서울아산병원, 엔트레스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ENTRE50&searchKeyword=
약학정보원, 시네츄라 시럽,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031400001
동화약품. 엠코발.
https://www.dong-wha.co.kr/product/content.asp?t_idx=95&b=20&s=29
의학검색엔진. 타박탐.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44936
약학정보원. 릭시아나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082600014
약학정보원. 에스원앰프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4060200004
약학정보원. 패브릭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09090300019
의학검색엔진. 디아미크롱서방정.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188797
약학정보원. 리리카캡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8537
약학정보원. 베라실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FFFFF0120
약학정보원. 울트라셋세미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OOOOO7488
의학검색엔진, 부타민 프리믹스.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46642
의학검색엔진, 코푸시럽,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216262
의학검색엔진, 다이크로짇정,
http://www.druginfo.co.kr/cp/msdNew/detail/product_cp.aspx?cppid=4212
약학정보원, 고덱스캡슐.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JJJJJ0736
4)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이나 계획을 파악하시오.
1. 식이
오랜 기간 심장의 구조·기능 이상으로 폐울혈로 인해 계속해서 흉수가 차고 있으며, 체내에 과도한 체액이 축적될 가능성이 높은 상태이다.
-> 감소된 심박출량으로 인해 신장관류장애와 나트륨·수분 정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① I/O 매일 사정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I/O 균형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매일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② 혈액 검사를 통해 체내 전해질 균형 정도를 확인한다.
③ 체내 수분이 계속해서 축적될 시 이뇨제(Aldatone, Lasix)를 투여하도록 한다.
④ 체액을 정체시키는 작용을 하는 나트륨과 혈관 경련을 유발하는 카페인이 적은 식이를 섭취하도록 한다.
2. 활동 제한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산소요구량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다양한 약물을 투약하고 있어 낙상의 위험도를 가진 상태이다.
-> 과도한 움직임은 심장의 부담감과 산소 요구량을 증가시키므로 활동에 대한 반응에 주의하도록 한다.
① V/S, EKG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여 심장의 운동과 신체 상태를 계속해서 확인한다.
② 능동적/수동적 다리운동을 하여 정맥귀환량을 증가시키고 혈전성 정맥염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도록 환자와 보호자를 교육한다.
③ 장기간 앉거나 누워있은 후 갑자기 일어나기보다 손으로 의자나 침대를 잡고 서서히 몸을 일으키도록 교육한다.
④ 호흡곤란이나 어지러움, 흉통 등의 증상이 발생할시 간호사에게 즉시 알리도록 교육한다.
⑤ 필요한 경우 혈관 확장제(isoket), 강심제(digoxin)를 투여 한다.
3. TPN
기저질환을 가진 노인환자, 면역 기능저하 환자, 장기간 입원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서 흔한 감염증으로 대상자 또한 오랜 시간 투병생활을 하며 항생제를 투여 받았기에 이러한 감염증에 걸리게 되었다. 증상은 열, 오한 등이 있고 심한 경우 혈압이 떨어지고 쇼크가 오는 등의 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
-> 감염 예방을 위해 접촉주의 실시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감염전파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
① 환자 격리 : 병원체 보유자 격리 또는 접촉주의 실시
② 손위생: 환자 접촉 전후, 침습적 시술 시행 전, 환자의 체액과 분비물·배설물 및 의료물품이나 환자 주변 환경 접촉 후 반드시 실시
③ 보호구: 환자와의 접촉 범위 및 시술 행위의 종류에 따라 장갑·마스크·가운 등 착용
④ 기구 및 물품 관리: 사용한 물품은 재사용 전 소독 또는 멸균 철저히 시행, 가능한 다른 환자와 물품 공용 피하기
4. 감염 위험성
계속된 흉수의 축적으로 PCD insertion 하고 있는 상태이다. -> 배액관으로 인해 감염되지 않도록 관리한다.
① 배액물의 양상을 매일 사정하고, 매일 dressing 하여 주위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② 환자와 보호자에게 배액관을 유지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설명한 후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③ 배액관의 관리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④ 통증, 발진과 발적, 압통 등의 감염의 징후가 나타날 시 간호사에게 알리도록 교육한다.
⑤ 필요한 경우 항생제(Tabactam, Combicin)를 투여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24.08.12
  • 저작시기2020.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87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