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실험 제목
02. 실험 결과
03. 실험 고찰
04. 참고문헌
02. 실험 결과
03. 실험 고찰
04. 참고문헌
본문내용
01. 실험 제목
지시약상수 결정-BCG
< 중 략 >
(1) pH= - logαH+의 식을 이용하여 각 완충용액의 αH+(측정)을 구한다.
αH+=10-pH 이므로,
< 중 략 >
(2) H+( αH+(계산)) = [H+]fH+ = Ka*(mmol HOAC)/(mmol NaOAC)*(1/f1) = Ka*((20-V)/V)*(1/f1)
-log fz = 0.51*Z^2*[(√I/(1+√I)) – 0.2I] 이므로
I=0.100, Ka=1.75*10^(-5), Z=1 을 대입하면,
f1(활동도 계수) =0.772
< 중 략 >
(4) -log fz = 0.51*Z^2*[(√I/(1+√I)) – 0.2I] 이므로
-log fX2- = 0.51*2^2 *[(√I/(1+√I)) – 0.2I]
fX2- = 0.355
-log fXH- = 0.51*1^2 *[(√I/(1+√I)) – 0.2I]
fXH- = 0.772
따라서 fX2- / fXH- = 0.4598
03. 실험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bromocresol green을 이용하여 완충용액들을 만들고, 그 용액들의 pH를 측정하고 계산해보았다. 또한, 흡광분광법과 pH 값을 이용하여 지시약 상수 KG 값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pH 전이 간격을 결정하고, 지시약이 어떻게 pH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이해해보았다.
BCG는 용액에 녹아 1가 음이온으로 존재하며, OH기에 있는 수소가 해리되면서 2가 음이온으로 변형되면서 색깔이 변색된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지시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용액이 산성(HX- )일 때 BCG는 노란색을 띠며, 염기성(X2-)일 때는 푸른색을 띤다.
지시약상수 결정-BCG
< 중 략 >
(1) pH= - logαH+의 식을 이용하여 각 완충용액의 αH+(측정)을 구한다.
αH+=10-pH 이므로,
< 중 략 >
(2) H+( αH+(계산)) = [H+]fH+ = Ka*(mmol HOAC)/(mmol NaOAC)*(1/f1) = Ka*((20-V)/V)*(1/f1)
-log fz = 0.51*Z^2*[(√I/(1+√I)) – 0.2I] 이므로
I=0.100, Ka=1.75*10^(-5), Z=1 을 대입하면,
f1(활동도 계수) =0.772
< 중 략 >
(4) -log fz = 0.51*Z^2*[(√I/(1+√I)) – 0.2I] 이므로
-log fX2- = 0.51*2^2 *[(√I/(1+√I)) – 0.2I]
fX2- = 0.355
-log fXH- = 0.51*1^2 *[(√I/(1+√I)) – 0.2I]
fXH- = 0.772
따라서 fX2- / fXH- = 0.4598
03. 실험 고찰
이번 실험에서는 bromocresol green을 이용하여 완충용액들을 만들고, 그 용액들의 pH를 측정하고 계산해보았다. 또한, 흡광분광법과 pH 값을 이용하여 지시약 상수 KG 값을 계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pH 전이 간격을 결정하고, 지시약이 어떻게 pH를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 이해해보았다.
BCG는 용액에 녹아 1가 음이온으로 존재하며, OH기에 있는 수소가 해리되면서 2가 음이온으로 변형되면서 색깔이 변색된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지시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용액이 산성(HX- )일 때 BCG는 노란색을 띠며, 염기성(X2-)일 때는 푸른색을 띤다.
추천자료
EDTA 적정 (EDTA적정에 의한 물의 경도 측정실험) 결과보고서
화학실험 사례1(화학평형이동), 화학실험 사례2(용해도곱상수결정), 화학실험 사례3(산소요구...
자체지시약 KMnO4(과망간산칼륨) 표준용액 제조하기
[결과 보고서] 생활 속의 산 염기 분석 - 산 염기(식초, 아스피린, 제산제)의 순도와 농도 분...
평형상수와 용해도곱상수의 결정
3 기체상수의 결정 및 탄산염 분석(결과보고서, 결보)
8 지시약의 산해리상수(결과보고서, 결보)
[분석화학실험] 산-염기 적정(지시약 사용) 결과 결과보고서 A+
[분석화학실험] 지시약상수(KG) 결정- BCG 예비보고서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