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1) 기후
2) 천수답
3) 이앙재배와 등숙기
4) 병해충 예찰 정보의 부재
5) 병해충 및 가뭄
6) 완전립비율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하라.
1) 우리나라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
(1) 국내 벼 재배면적
(2) 국내 벼 생산 현황
(3) 벼 수출입 현황
(4) 국내 쌀 소비 현황
2)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
(1) 전 세계 벼 재배
(2) 전 세계 벼 생산 현황
(3) 전 세계 쌀 소비 현황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라.
1) 기후
2) 천수답
3) 이앙재배와 등숙기
4) 병해충 예찰 정보의 부재
5) 병해충 및 가뭄
6) 완전립비율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하라.
1) 우리나라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
(1) 국내 벼 재배면적
(2) 국내 벼 생산 현황
(3) 벼 수출입 현황
(4) 국내 쌀 소비 현황
2)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
(1) 전 세계 벼 재배
(2) 전 세계 벼 생산 현황
(3) 전 세계 쌀 소비 현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29%)이고 그 다음이 인도(22%)로, 두 나라가 전 세계 쌀의 절반을 생산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쌀 생산량은 쌀 생산국 중 10위 정도이지만 세계 총생산량의 1.0%에 불과하다. 단위면적당 수량은 지역간 · 나라간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우리나라는 중국 · 일본 · 미국 등과 함께 연평균 4.5t/ha(현미)이상의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데, 이는 인도에 보다 2배가 많고, 아프리카지역보다. 2.6배 정도 많은 수량이다.
(3) 전 세계 쌀 소비 현황
- 세계 TOP 10 쌀 소비 국가
현재 세계에서 1년 기준 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1억 5천3백만 톤)
2. 인도 (1억 9백만 톤)
3. 방글라데시 (3천6백만 톤)
4. 인도네시아 (3천5백만 톤)
5. 베트남 (2천1백만 톤)
6. 필리핀 (1천5백만 톤)
7. 태국 (1천2백만 톤)
8. 미얀마 (1천만 톤)
9. 일본 (8백만 톤)
10. 나이지리아 (7백만 톤)
1위에서 5위까지 쌀 생산 국가 순위와 소비 국가 순위가 일치한다. 그런데 쌀 생산보다 소비가 많은 국가가 있다. 중국,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이 쌀 생산보다 소비가 많다. 쌀 자급률이 100%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소비분을 충당하기 위해 쌀을 수입해야 한다. 중국은 미국 쌀을 수입하지 않으니 아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나머지 부족분을 충당할 것 같다. 나이지리아 제외 다 아시아 국가이다. 우리나라의 한 해 쌀 소비량은 300만 톤 정도로 추정된다.
- 세계 TOP 10 1인당 쌀 소비 국가
현재 세계에서 1년 기준 1인당 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다음과 같다.
1. 방글라데시 (257kg)
2. 캄보디아 (249kg)
3. 라오스 (241kg)
4. 베트남 (204kg)
5. 필리핀 (190kg)
6. 인도네시아 (185kg)
7. 스리랑카 (182kg)
8. 부탄 (169kg)
9. 태국 (168kg)
10. 시에라리온 (158kg)
특이하게 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이 1인당 쌀 소비가 많다. 중국은 15위로 1인당 127kg의 쌀을 한 해 소비한다. 북한은 100kg, 우리나라는 85kg, 일본은 73kg, 대만은 67kg이다. 통계적으로 가장 적게 소비하는 국가는 세르비아로 1인당 한 해 1kg를 소비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대한민국에서 쌀 산업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 수자원 함양, 토양유실 방지, 홍수조절 등의 공익적 기능과 함께, 국민의 기본 식량을 책임지는 중요한 산업이다. 그와 더불어 2020년 한 해 생산량만 363만 1천 톤가량으로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량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만큼 농업 분야에서 쌀 산업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전문경영인 육성과 농지 규모화 그리고 소득안정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방안을 2000년대 초반부터 마련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쌀산업 선도경영체 교육훈련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쌀 산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00년대 10a당 논벼의 생산량이 493kg에서 2010년대 10a당 논벼의 생산량이 513kg으로 10a당 20kg가량 향상되었고 2022년 쌀 10a당 쌀 생산량은 518kg으로 크게 늘었다. 그러나 쌀 산업은 소비자의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식생활이 바뀌면서 쌀 소비는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있다.
참고문헌
경상북도(2005),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 기술.
농림축산식품부(2023), 고품질쌀유통활성화, 식량산업과.
우리역사넷(2023), 통일벼 개발과 녹색혁명.
정유란, 조경숙, 이변우, 2006,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벼농사지대의 생산성 재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김미령(2011), “우리나라 쌀산업과 쌀가공산업의 현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김정호(2021), “베트남의 쌀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구현(2019), 2019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통계청.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2023), 식량증산 7개년계획.
홍연권(2021), 2021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통계청, p.3.
권오상, 김창길. 2008. “기후변화가 쌀 단수변화에 미치는 영향: 비모수적 및 준모수적 분석,” 농업경제연구.
(3) 전 세계 쌀 소비 현황
- 세계 TOP 10 쌀 소비 국가
현재 세계에서 1년 기준 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다음과 같다.
1. 중국 (1억 5천3백만 톤)
2. 인도 (1억 9백만 톤)
3. 방글라데시 (3천6백만 톤)
4. 인도네시아 (3천5백만 톤)
5. 베트남 (2천1백만 톤)
6. 필리핀 (1천5백만 톤)
7. 태국 (1천2백만 톤)
8. 미얀마 (1천만 톤)
9. 일본 (8백만 톤)
10. 나이지리아 (7백만 톤)
1위에서 5위까지 쌀 생산 국가 순위와 소비 국가 순위가 일치한다. 그런데 쌀 생산보다 소비가 많은 국가가 있다. 중국,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필리핀, 일본이 쌀 생산보다 소비가 많다. 쌀 자급률이 100%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로 소비분을 충당하기 위해 쌀을 수입해야 한다. 중국은 미국 쌀을 수입하지 않으니 아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나머지 부족분을 충당할 것 같다. 나이지리아 제외 다 아시아 국가이다. 우리나라의 한 해 쌀 소비량은 300만 톤 정도로 추정된다.
- 세계 TOP 10 1인당 쌀 소비 국가
현재 세계에서 1년 기준 1인당 쌀 소비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다음과 같다.
1. 방글라데시 (257kg)
2. 캄보디아 (249kg)
3. 라오스 (241kg)
4. 베트남 (204kg)
5. 필리핀 (190kg)
6. 인도네시아 (185kg)
7. 스리랑카 (182kg)
8. 부탄 (169kg)
9. 태국 (168kg)
10. 시에라리온 (158kg)
특이하게 아프리카의 시에라리온이 1인당 쌀 소비가 많다. 중국은 15위로 1인당 127kg의 쌀을 한 해 소비한다. 북한은 100kg, 우리나라는 85kg, 일본은 73kg, 대만은 67kg이다. 통계적으로 가장 적게 소비하는 국가는 세르비아로 1인당 한 해 1kg를 소비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1.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중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기술,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생산 및 소비 현황을 조사해 보았다. 대한민국에서 쌀 산업은 식량의 안정적 공급, 수자원 함양, 토양유실 방지, 홍수조절 등의 공익적 기능과 함께, 국민의 기본 식량을 책임지는 중요한 산업이다. 그와 더불어 2020년 한 해 생산량만 363만 1천 톤가량으로 우리나라 농산물 생산량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만큼 농업 분야에서 쌀 산업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전문경영인 육성과 농지 규모화 그리고 소득안정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방안을 2000년대 초반부터 마련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쌀산업 선도경영체 교육훈련으로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서 쌀 산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00년대 10a당 논벼의 생산량이 493kg에서 2010년대 10a당 논벼의 생산량이 513kg으로 10a당 20kg가량 향상되었고 2022년 쌀 10a당 쌀 생산량은 518kg으로 크게 늘었다. 그러나 쌀 산업은 소비자의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식생활이 바뀌면서 쌀 소비는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있다.
참고문헌
경상북도(2005),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재배 기술.
농림축산식품부(2023), 고품질쌀유통활성화, 식량산업과.
우리역사넷(2023), 통일벼 개발과 녹색혁명.
정유란, 조경숙, 이변우, 2006, 지구온난화에 따른 우리나라 벼농사지대의 생산성 재평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김미령(2011), “우리나라 쌀산업과 쌀가공산업의 현황”, 한국식품영양과학회.
김정호(2021), “베트남의 쌀산업 동향 및 관련 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구현(2019), 2019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통계청.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2023), 식량증산 7개년계획.
홍연권(2021), 2021년 쌀 생산량 조사 결과, 통계청, p.3.
권오상, 김창길. 2008. “기후변화가 쌀 단수변화에 미치는 영향: 비모수적 및 준모수적 분석,” 농업경제연구.
추천자료
(방통대 식용작물학1)쌀의영양가와기능성을설명하고 기능성과 기능성 품종명 기능성품종 주요...
방송대_22학년도2학기)_식용작물학1(공통) - 벼의 생태종(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에 대해 설...
식용작물학1 기말 2023년 2학기) 식용작물학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
2023년 2학기 식용작물학1 기말) 식용작물학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
2023학년도 2학기 식용작물학1 기말) 식용작물학1 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식용작물학) 1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비...
식용작물학1) 1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
식용작물학1) 12021년도 기준 세계 벼 생산량과 우리 나라 벼 재배면적 및 생산량과 전체 소...
방송통신대학교 농학과 식용작물학 1 레포트
우리나라의 경기도 지역에서 현재 재배되는 벼 품종을 필리핀에 보급하려고 한다. 재배 과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