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전실화재 이전 단계
(1) 초기
(2) 성장기
2. 전실화재 이후 단계
(1) 최성기
(2) 감쇄기
III. 결론
II. 본론
1. 전실화재 이전 단계
(1) 초기
(2) 성장기
2. 전실화재 이후 단계
(1) 최성기
(2) 감쇄기
III. 결론
본문내용
I. 서론
전실화재(flash-over)란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착화물의 주변으로 한정되어 있던 연소 범위가 차례대로 확대되면서 가연성 가스 농도가 연소 범위까지 높아져 한 번에 인화되어 큰 불꽃으로 인해 방 전체가 불꽃이 되는 현상을 가리킨다(대한건축학회). 전실화재는 화재의 최성기 직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 이전과 이후의 화재 양상이 극명하게 달라지며, 그 발생 시점에 따라 피난 가능 시간의 길이가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따라서 실내화재의 성상에서 전실화재 이전 단계(pre-flashover fires)와 전실화재 이후 단계(post-flashover fires)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전실화재 이전 단계
<그림 1> 화재의 4단계 (Firetrace, 2021)
실내화재는 <그림 1>처럼 초기 → 성장기 → 최성기 → 감쇄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때 성장기와 최성기를 나누는 기점은 전실화재이므로 전실화재 이전 단계는 곧 초기와 성장기를 의미한다.
전실화재(flash-over)란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착화물의 주변으로 한정되어 있던 연소 범위가 차례대로 확대되면서 가연성 가스 농도가 연소 범위까지 높아져 한 번에 인화되어 큰 불꽃으로 인해 방 전체가 불꽃이 되는 현상을 가리킨다(대한건축학회). 전실화재는 화재의 최성기 직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그 이전과 이후의 화재 양상이 극명하게 달라지며, 그 발생 시점에 따라 피난 가능 시간의 길이가 결정되는 매우 중요한 현상이다. 따라서 실내화재의 성상에서 전실화재 이전 단계(pre-flashover fires)와 전실화재 이후 단계(post-flashover fires)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I. 본론
1. 전실화재 이전 단계
<그림 1> 화재의 4단계 (Firetrace, 2021)
실내화재는 <그림 1>처럼 초기 → 성장기 → 최성기 → 감쇄기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때 성장기와 최성기를 나누는 기점은 전실화재이므로 전실화재 이전 단계는 곧 초기와 성장기를 의미한다.
추천자료
[건물][건축물]건물(건축물)의 건축연구, 건물(건축물)의 균열, 건물(건축물)의 금연구역, 건...
[화재조사] 유리의 수열현상 (유리의 열적 특성, 유리의 종류별 연화온도, 유리의 파괴성상, ...
내화건축물 화재 (내화건축물의 화재성상, 내화건물의 화재경과)
[화재조사] 화재의 성장 (연소의 확산, 발화에서 상부 착화까지, 화성기, 최성기로부터 종기...
화재현장조사의 사전준비와 협의사항
[화재조사] 구획실의 화재발달
[소방학] 건축물의 화재성상에 대하여
피난내화설계 ) 피난로의 구성과 피난안전성 평가기법 1) 피난로의 구성을 설명해주세요 2) ...
소방학개론_실내화재의 성상을 전실화재이전단계(pre-flashover fires)와 전실화재이후단계(p...
소방학 개론 ) 실내화재의 성상을 전실화재이전단계(pre-flashover fires)와 전실화재이후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