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4. Medication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6. 간호과정 적용
Ⅴ. 결론 및 소감
Ⅵ. 참고문헌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ation)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Ⅲ.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4. Medication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6. 간호과정 적용
Ⅴ. 결론 및 소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 대상자는 일주일이내로 출혈의 위험성을 알고 예방방법을 실천한다.
간호계획
4시간 마다 Vital Sign을 측정한다.
매일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Vital sign 측정시마다 출혈 증상을 관찰한다. (구강 점막, 잇몸 출혈, 흑색 변, 혈뇨, 토혈 등)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활동 시 주의할 점을 교육한다.
안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4시간 마다 Vital Sign을 측정하였다.시간
혈압-맥박-체온-호흡-산소포화도
6:00
150/80-81-36.7-20-97%
10:00
140/70-85-36.6-20-98%
14:00
140/80-88-36.8-20-99%
18:00
150/70-84-36.9-20-97%
매일 혈액 검사 시행하였다.
11/7
11/8
11/9
RBC
3.06▼
3.12▼
3.16▼
ESR
52▲
50▲
49▲
aPTT
41.6▲
41.3▲
41.1▲
Platelet
132▼
137▼
143▼
Vital sign 측정시마다 출혈 증상을 관찰하였다. (구강 점막, 잇몸 출혈, 흑색 변, 혈뇨, 토혈 등)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활동 시 주의할 점을 교육하였다.
안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이론적근거
출혈 시 혈압저하, 맥박 상승, 호흡수 상승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확인한다.
RBC, ESR, aPTT, Platelet를 모니터링한다. 혈소판이 떨어지면 출혈, 멍, 자반이 생길 수 있으며 조기발견으로 출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구강 점막은 미세혈관이 많기 때문에 가장 먼저 출혈의 증상을 발견할 수 있다.
딱딱한 음식이나 거친 칫솔은 구강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고 코를 세게 풀거나 배변 시 힘을 주면 코피나 혈변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활동 시 신체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평가
대상자는 4일 이내로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달성)
대상자는 일주일이내로 출혈의 위험성을 알고 예방방법을 실천하였다.(달성)
<관찰일지>
10/13~10/17일 수술 전 입원하여 검사 진행.
11/3일 대상자 입원
11/4일 C-line incertion(Rt subclavian)
11/5일 수술(neck-H/V(11/6~11/11), Lt arm-J/P(11/6~11/9), Lt thigh- EB(11/6~9), L-tube(11/6~11/12). philadephia brace 적용.
11/6일 병동에 return후 ICU로 전동
11/7일 본 병동에 전동
11/12일 L-tube제거 후 물먹으면 코로 나온다고 하심. 사레걸리듯이 기침나오심. Lt arm oozing.
11/13일 심장내과 consult(cardiac lab-abnormal하여 대상자 면담진행함.), Lt arm oozing. 물먹으면 코로 나옴. 기침은 안났어.
Ⅴ. 결론 및 소감
이번기회에 편도암과 당뇨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찾아보며 깊이있게 배울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케이스를 하며 대상자와 많은 대화를 나누었으며, 이외의 여러 대상자분들과도 대화하며 실습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병동에서 실습을 하며 구미나 대구지역과는 조금 다른 점을 느낄 수 있었고, 경희의료원에 취업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병동에 계신 선생님께서도 친절히 대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교수님께서도 열심히 알려주셔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Ⅵ. 참고문헌
정광윤(2009). 구인두암의 적절한 수술적 치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안명주(2009). 두경부암치료에 있어서 장기보존을 위한 임상연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종양내과.
Very Well Health. 2024. tonsil cancer. November, 04. 2024. from
https://www.verywellhealth.com/all-about-cancer-of-the-tonsils-1191979
Cancer Research UK. 2016. tonsil cancer. November, 04. 2024. from
https://www.cancerresearchuk.org/about-cancer/head-neck-cancer/tonsil/about
질병관리본부. 2016. 편도암. November, 05. 2024. from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Z3KNJAHDJ5
서울아산병원. 년도미상. 편도암. November, 05. 2024. from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859&diseaseKindId=C000016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편도. November, 06. 2024. from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044&DP_CODE=CIC&searchKey=Y&est=Y&ds_code=D0003443
한양대학교구리병원. 년도미상. 편도암. November, 06. 2024. from
https://guri.hyumc.com/guri/healthInfo/diseaseInfo.do?action=detail&searchCondition=diseaseDiv&searchCommonCd1=0001&searchCommonCd2=4710
국가암센터. 2024.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 November, 07. 2024.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7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국가암센터. 2024. 2016년 암등록통계 보도자료. November, 07. 2024.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59&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간호계획
4시간 마다 Vital Sign을 측정한다.
매일 혈액 검사를 시행한다.
Vital sign 측정시마다 출혈 증상을 관찰한다. (구강 점막, 잇몸 출혈, 흑색 변, 혈뇨, 토혈 등)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활동 시 주의할 점을 교육한다.
안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간호수행
4시간 마다 Vital Sign을 측정하였다.시간
혈압-맥박-체온-호흡-산소포화도
6:00
150/80-81-36.7-20-97%
10:00
140/70-85-36.6-20-98%
14:00
140/80-88-36.8-20-99%
18:00
150/70-84-36.9-20-97%
매일 혈액 검사 시행하였다.
11/7
11/8
11/9
RBC
3.06▼
3.12▼
3.16▼
ESR
52▲
50▲
49▲
aPTT
41.6▲
41.3▲
41.1▲
Platelet
132▼
137▼
143▼
Vital sign 측정시마다 출혈 증상을 관찰하였다. (구강 점막, 잇몸 출혈, 흑색 변, 혈뇨, 토혈 등)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활동 시 주의할 점을 교육하였다.
안정한 환경을 유지하도록 교육하였다.
이론적근거
출혈 시 혈압저하, 맥박 상승, 호흡수 상승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활력징후를 측정하여 확인한다.
RBC, ESR, aPTT, Platelet를 모니터링한다. 혈소판이 떨어지면 출혈, 멍, 자반이 생길 수 있으며 조기발견으로 출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구강 점막은 미세혈관이 많기 때문에 가장 먼저 출혈의 증상을 발견할 수 있다.
딱딱한 음식이나 거친 칫솔은 구강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고 코를 세게 풀거나 배변 시 힘을 주면 코피나 혈변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활동 시 신체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평가
대상자는 4일 이내로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었다.(달성)
대상자는 일주일이내로 출혈의 위험성을 알고 예방방법을 실천하였다.(달성)
<관찰일지>
10/13~10/17일 수술 전 입원하여 검사 진행.
11/3일 대상자 입원
11/4일 C-line incertion(Rt subclavian)
11/5일 수술(neck-H/V(11/6~11/11), Lt arm-J/P(11/6~11/9), Lt thigh- EB(11/6~9), L-tube(11/6~11/12). philadephia brace 적용.
11/6일 병동에 return후 ICU로 전동
11/7일 본 병동에 전동
11/12일 L-tube제거 후 물먹으면 코로 나온다고 하심. 사레걸리듯이 기침나오심. Lt arm oozing.
11/13일 심장내과 consult(cardiac lab-abnormal하여 대상자 면담진행함.), Lt arm oozing. 물먹으면 코로 나옴. 기침은 안났어.
Ⅴ. 결론 및 소감
이번기회에 편도암과 당뇨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정의,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서 찾아보며 깊이있게 배울 수 있는 시간이였습니다. 케이스를 하며 대상자와 많은 대화를 나누었으며, 이외의 여러 대상자분들과도 대화하며 실습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병동에서 실습을 하며 구미나 대구지역과는 조금 다른 점을 느낄 수 있었고, 경희의료원에 취업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병동에 계신 선생님께서도 친절히 대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교수님께서도 열심히 알려주셔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Ⅵ. 참고문헌
정광윤(2009). 구인두암의 적절한 수술적 치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두경부외과학교실.
안명주(2009). 두경부암치료에 있어서 장기보존을 위한 임상연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혈액종양내과.
Very Well Health. 2024. tonsil cancer. November, 04. 2024. from
https://www.verywellhealth.com/all-about-cancer-of-the-tonsils-1191979
Cancer Research UK. 2016. tonsil cancer. November, 04. 2024. from
https://www.cancerresearchuk.org/about-cancer/head-neck-cancer/tonsil/about
질병관리본부. 2016. 편도암. November, 05. 2024. from
http://health.cdc.go.kr/health/mobileweb/content/group_view.jsp?CID=Z3KNJAHDJ5
서울아산병원. 년도미상. 편도암. November, 05. 2024. from
http://m.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859&diseaseKindId=C000016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편도. November, 06. 2024. from
http://samsunghospital.com/dept/medical/diseaseSub03View.do?content_id=1044&DP_CODE=CIC&searchKey=Y&est=Y&ds_code=D0003443
한양대학교구리병원. 년도미상. 편도암. November, 06. 2024. from
https://guri.hyumc.com/guri/healthInfo/diseaseInfo.do?action=detail&searchCondition=diseaseDiv&searchCommonCd1=0001&searchCommonCd2=4710
국가암센터. 2024. 국가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 November, 07. 2024.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7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국가암센터. 2024. 2016년 암등록통계 보도자료. November, 07. 2024. from
https://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59&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