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Ⅰ .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증상 (Symptom)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Ⅲ .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간호사정도구 참조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검사조사양식 참조
4. Medication *약물조사양식 참조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6. 간호과정 적용 *간호과정 기록양식 참조
Ⅳ . 참고문헌
Ⅱ . 문헌고찰
1. 정의 (Definition)
2. 원인 (Etiology) 및 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 증상 (Symptom)
4. 진단적 검사 (Diagnostic measure)
5. 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Ⅲ . 간호사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2. 신체검진 (Physical examination) *간호사정도구 참조
3.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검사조사양식 참조
4. Medication *약물조사양식 참조
5 간호사정 결과 요약
6. 간호과정 적용 *간호과정 기록양식 참조
Ⅳ .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 산소를 투여할 것이다.
산소 포화도가 유지되지 않거나 환자가 산증 상태라면 기계적 호흡이 고려된다. nasal tube로 낮은 농도(2~6L/min)의 산소를 공급하여 산소치료를 시작한다.
9. 금기가 아니라면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해줄 것이다.
반좌위는 적절한 횡격막과 폐활동을 돕고 흉부팽창을 가능하게 해주어 호흡이 원활하도록 한다.
10. 대상자의 에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한 활동과 휴식을 계획할 것이다.
호흡노력 증가 시 피로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활동은 대사율과 산소요구량을 높이고 휴식은 좀 더 효율적인 호흡할 수 있게 돕는다.
간호진단
단기 목표/장기 목표
간 호 계 획
과학적 근거
#3.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장애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몸의 움직임이 조금씩 자유로워 질 것이다.
2. 대상자는 4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됨을 경험할 것이다.
-장기 목표
1. 대상자는 이주 이내에 침상에서 할 수 있는 범위의 운동을 할 것이다.
1. 대상자 스스로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인지 사정할 것이다.
1.대상자의 기동성 양상을 파악하여 그에 맞게 교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2. 대상자가 평소에 하는 운동이나 좋아하는 운동을 사정할 것이다.
2. 평소에 즐겨 하거나 좋아하는 운동이 어떠한 종류인지 알고서 가능한 것이 있다면 운동을 교육하기 위함이다.
3. 침상에서의 적절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3. 무리하지 않고 적절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하기 위함이다.
4. 활동 전후의 V/S을 측정할 것이다.
4. 대상자의 상태를 체크하며 운동을 교육하기 위함이다.
5. 처방에 의해 진통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할 것이다.
5. 진통제를 적절히 잘 투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6. 무리한 침상안정으로 인해 생기는 이차적 장애에 대해 교육할 것이다.
6. 몸을 움직이지 않아서 나타나는 이차적 장애(정맥혈전증, 흡인성 폐렴, 욕창 등)를 교육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간호진단
간호수행
서 명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1. 2시간 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시간
BP
R
BT
P
SPO2
3.20 AM 4:00
150/90
38
37.8
96
92%
3.20 AM 6:00
130/90
35
37.6
92
93%
3.20 AM 8:00
130/80
35
37.0
88
93%
3.2 AM 10:00
130/60
29
36.9
90
94%
2. nasal cannula로 O2 2L/min 공급하였다.
3. 약물에 대한 사용목적 및 주의사항을 교육하였다.
4. 심전도를 1시간 마다 관찰하였다.
5. 과도한 옷 착용의 경우 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수건을 이마에 대어 주었다.
6.안정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7.흉통이 가라앉을 때까지 침상안정을 취해주었다.
평가
- 대상자의 호흡양상이 규칙적이고 20회, 정상범위 범주로 돌아왔다.
-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한 모습을 취하는 것을 보였다.
간호진단
간호수행
서 명
#2. 심박출량 감소와 관연된 가스
교환장애
1. V/S를 사정하였다.
(특히, 호흡수, 리듬, 깊이를 사정한다.)
2. ABGA 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3. 산소포화도 측정수치를 사정하였다.
4. 환자의 피부, 모세혈관 충만상태,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5. 심전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6. 영양 상태를 사정하였다.( 체중, 알부민, 전해질 수준)
7.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8. 호흡곤란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할 것을 교육하였다.
9. 의사 처방에 따라 산소를 투여하였다.
10.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하였다.
11. 대상자의 에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한 활동과 휴식을 계획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I/O 체크시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 대상자는 부종이 사라졌다.
간호진단
간호수행
서 명
#3.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장애
1. 대상자 스스로의 움직임을 사정하였다.
2. 대상자가 평소에 하는 운동이나 좋아하는 운동을 사정하였다.
3. 침상에서의 적절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루하거나 힘들지 않도록 보호자분과 함께 운동할 수 있게끔 교육하였다.
4. 대상자가 운동을 해도 되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운동을 한 후에도 체크하였다.
5. 처방에 의해 진통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몸을 움직이지 않아서 나타나는 이차적 장애(정맥혈전증, 흡인성 폐렴, 욕창 등)를 교육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스스로 운동을 조금씩 하는 모습을 보였다.
- 대상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집중을 하였고 통증이 조금씩 감소될 때도 있다고 하였다.
- 대상자는 침상안정으로 인한 이차적 장애에 대해 알게 되었다.
Ⅳ .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7). 심근경색. 2024.03.17,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질병관리본부. (2017). 급성심근경색. 2024.03.17,
http://www.cdc.go.kr/CDC/cms/content/mobile/14/69114_view.html 2024.03.17
세브란스 심장혈관 병원. (2006). 급성심근경색. 2024.03.17,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disease/view.asp?con_no=20321
약학정보원. 약물. 2024.03.19,
http://www.health.kr/
강정채. (2001). 급성심근경색증에서 일차적 스텐트 시술, Korean Circulation J(8), 739-741.
박대균 외. (2000).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응급 삽입한 허혈성 심질환 환자의 임상적 특정 및 생존율 결정인자, Korean Circulation J(10), 1213-1219.
김승연 외. (2001).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재관류 치료후 관동맥 혈류예비력과 경색심근의 재관류 상태와 수축력과의 관계, vol.9,no.2,p,. 125-132.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산소 포화도가 유지되지 않거나 환자가 산증 상태라면 기계적 호흡이 고려된다. nasal tube로 낮은 농도(2~6L/min)의 산소를 공급하여 산소치료를 시작한다.
9. 금기가 아니라면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해줄 것이다.
반좌위는 적절한 횡격막과 폐활동을 돕고 흉부팽창을 가능하게 해주어 호흡이 원활하도록 한다.
10. 대상자의 에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한 활동과 휴식을 계획할 것이다.
호흡노력 증가 시 피로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활동은 대사율과 산소요구량을 높이고 휴식은 좀 더 효율적인 호흡할 수 있게 돕는다.
간호진단
단기 목표/장기 목표
간 호 계 획
과학적 근거
#3.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장애
-단기 목표
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몸의 움직임이 조금씩 자유로워 질 것이다.
2. 대상자는 4일 이내에 통증이 감소됨을 경험할 것이다.
-장기 목표
1. 대상자는 이주 이내에 침상에서 할 수 있는 범위의 운동을 할 것이다.
1. 대상자 스스로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인지 사정할 것이다.
1.대상자의 기동성 양상을 파악하여 그에 맞게 교육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2. 대상자가 평소에 하는 운동이나 좋아하는 운동을 사정할 것이다.
2. 평소에 즐겨 하거나 좋아하는 운동이 어떠한 종류인지 알고서 가능한 것이 있다면 운동을 교육하기 위함이다.
3. 침상에서의 적절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3. 무리하지 않고 적절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하기 위함이다.
4. 활동 전후의 V/S을 측정할 것이다.
4. 대상자의 상태를 체크하며 운동을 교육하기 위함이다.
5. 처방에 의해 진통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할 것이다.
5. 진통제를 적절히 잘 투여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6. 무리한 침상안정으로 인해 생기는 이차적 장애에 대해 교육할 것이다.
6. 몸을 움직이지 않아서 나타나는 이차적 장애(정맥혈전증, 흡인성 폐렴, 욕창 등)를 교육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간호진단
간호수행
서 명
#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1. 2시간 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측정하였다.
시간
BP
R
BT
P
SPO2
3.20 AM 4:00
150/90
38
37.8
96
92%
3.20 AM 6:00
130/90
35
37.6
92
93%
3.20 AM 8:00
130/80
35
37.0
88
93%
3.2 AM 10:00
130/60
29
36.9
90
94%
2. nasal cannula로 O2 2L/min 공급하였다.
3. 약물에 대한 사용목적 및 주의사항을 교육하였다.
4. 심전도를 1시간 마다 관찰하였다.
5. 과도한 옷 착용의 경우 옷을 벗기고,
미지근한 물수건을 이마에 대어 주었다.
6.안정을 취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7.흉통이 가라앉을 때까지 침상안정을 취해주었다.
평가
- 대상자의 호흡양상이 규칙적이고 20회, 정상범위 범주로 돌아왔다.
- 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지 않고 편안한 모습을 취하는 것을 보였다.
간호진단
간호수행
서 명
#2. 심박출량 감소와 관연된 가스
교환장애
1. V/S를 사정하였다.
(특히, 호흡수, 리듬, 깊이를 사정한다.)
2. ABGA 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3. 산소포화도 측정수치를 사정하였다.
4. 환자의 피부, 모세혈관 충만상태, 의식수준을 사정하였다.
5. 심전도를 모니터링 하였다.
6. 영양 상태를 사정하였다.( 체중, 알부민, 전해질 수준)
7. 불안의 정도를 사정하였다.
8. 호흡곤란이 있을 시 즉시 보고할 것을 교육하였다.
9. 의사 처방에 따라 산소를 투여하였다.
10. 적절한 호흡양상을 위해 반좌위를 취하였다.
11. 대상자의 에너지를 최대화하기 위한 활동과 휴식을 계획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I/O 체크시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 대상자는 부종이 사라졌다.
간호진단
간호수행
서 명
#3. 통증과 관련된 기동성장애
1. 대상자 스스로의 움직임을 사정하였다.
2. 대상자가 평소에 하는 운동이나 좋아하는 운동을 사정하였다.
3. 침상에서의 적절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루하거나 힘들지 않도록 보호자분과 함께 운동할 수 있게끔 교육하였다.
4. 대상자가 운동을 해도 되는 상태인지 확인하고 운동을 한 후에도 체크하였다.
5. 처방에 의해 진통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6. 몸을 움직이지 않아서 나타나는 이차적 장애(정맥혈전증, 흡인성 폐렴, 욕창 등)를 교육하였다.
평가
- 대상자는 스스로 운동을 조금씩 하는 모습을 보였다.
- 대상자는 자신이 좋아하는 운동을 함으로써 집중을 하였고 통증이 조금씩 감소될 때도 있다고 하였다.
- 대상자는 침상안정으로 인한 이차적 장애에 대해 알게 되었다.
Ⅳ . 참고문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7). 심근경색. 2024.03.17,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335
질병관리본부. (2017). 급성심근경색. 2024.03.17,
http://www.cdc.go.kr/CDC/cms/content/mobile/14/69114_view.html 2024.03.17
세브란스 심장혈관 병원. (2006). 급성심근경색. 2024.03.17,
http://sev.iseverance.com/heart/dept_clinic/department/cardiology/disease/view.asp?con_no=20321
약학정보원. 약물. 2024.03.19,
http://www.health.kr/
강정채. (2001). 급성심근경색증에서 일차적 스텐트 시술, Korean Circulation J(8), 739-741.
박대균 외. (2000).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응급 삽입한 허혈성 심질환 환자의 임상적 특정 및 생존율 결정인자, Korean Circulation J(10), 1213-1219.
김승연 외. (2001).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재관류 치료후 관동맥 혈류예비력과 경색심근의 재관류 상태와 수축력과의 관계, vol.9,no.2,p,. 125-132.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