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협심증 분류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심전도
(1) 정상인의 심전도
(2) 협심증의 심전도
7) 치료
(1) 약물요법
(2) 관상동맥 중재술
8) 간호진단 및 간호
* 참고문헌
2) 협심증 분류
3) 원인
4) 병태생리
5) 증상
6) 심전도
(1) 정상인의 심전도
(2) 협심증의 심전도
7) 치료
(1) 약물요법
(2) 관상동맥 중재술
8) 간호진단 및 간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한 감정을 표현할 기회를 제공
- 검사와 절차에 대해 적절한 정보 제공
- 자가간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가조절감을 갖도록 격려
⑤ 죽음의 공포와 관련된 불안
- 환자와의 관계 증진 및 신뢰 형성
-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
- 학습과 집중력이 감소하므로 반복하여 정보 제공
⑥ 심근허혈, 상해, 경색으로 인한 심근장애와 관련된 심박출량감소
⑦ 심근손상, 심박출량 감소, 리듬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 시간당 소변량, 2-4시간당 섭취배설량, 24시간 소변량 등 관찰, 체중 관찰
- 이뇨제 투여시 과도한 체액감소로 혈량감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변량 관찰
⑧ 침상안정, 부종 및 보직관류의 저하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피부관찰, 2시간 마다 체위 변경
- 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
- 뼈 돌출부위에 압박받지 않도록 지지, 공기침대나 부유침대 사용
7) 합병증
① 심부정맥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초기 부정맥으로 사망, 첫 1시간 내 심실세동으로 돌연사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심장 블록이 흔히 일어난다.
② 심장성 쇼크
심근 수축력 감소, 죄심실 기능저하로 심박출량 감소, 심부정맥, 패혈증 등으로 나타난다.
③ 심부전과 폐수종
심근경색증 후 사망의 1/3이 심부전에 의한다.
④ 폐색전증
장시간 침상 안정과 혈액정도 상승, 혈액의 과응고력으로 하지에 폐색전증을 유발한다.
⑤ 심실중격 파열
경색 후 1주 내에 심근의 전벽, 후벽, 심실중격이 만나는 곳에 발생하여 좌심부전으로 진행하면 폐울혈이나 폐수종을 초래한다.
⑥ 급성승모판 폐쇄 부전증
유두근 파열시 급성 승모판 폐쇄부전급성폐수종으로 갑작스런 사망이 가능하다.
⑦ 심근파열
10~15% 정도가 심근 파열로 사망, 심장 압전으로 경정맥 울혈, 심박동에 의한 흉부 움직임이 안보인다.
⑧ 심근 경색 후 증후군
심근 경색 후 3~4%에서 약 1~6주 사이에 나타난다. 흉통, 발열, 흉막염, 폐렴, 심낭염 등이 지속된다.
기준
협심증
심근경색증
기초 질환
동맥경화
동맥경화
원인
관상동맥의 수축, 협착
관상동맥의 폐쇄
심장상태
심근의 산소결핍
심근의 괴사
강약
가슴을 죄는 듯한 통증
협심증보다 통증이 강함
지속시간
2~3분 반복됨
30분에서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지속
안정할 때
회복
회복되지 않음
가정 처치법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약을 혀 밑에 넣고 있으면 통증이 가라앉음. 이후 병원에 가서 추가 처치를 받음
가정의 처치법은 거의 없음 발작 후 최대한 신속하게 병원(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함
심전도
ST하강 또는 상승, T파 역전
ST분절 상승, T파 역전, 이상 Q파 형성
혈압
변화 없음. 안정형 협심증에서는 상승하는 경우도 있음
떨어짐
맥박
증가함. 불안정형 협심증에서는 변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미약, 아주 약함
호흡곤란
없음
대부분 있음
구토
없음
가끔 있음
발열
없음
있음
의식장애
없음
가끔 있음
주요 호발
연령
40세 이상의 남성
50~70세의 남성
8)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차이점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병리학, 현문사
-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 검사와 절차에 대해 적절한 정보 제공
- 자가간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가조절감을 갖도록 격려
⑤ 죽음의 공포와 관련된 불안
- 환자와의 관계 증진 및 신뢰 형성
- 두려움을 말로 표현하도록 격려
- 학습과 집중력이 감소하므로 반복하여 정보 제공
⑥ 심근허혈, 상해, 경색으로 인한 심근장애와 관련된 심박출량감소
⑦ 심근손상, 심박출량 감소, 리듬장애와 관련된 체액과다
- 시간당 소변량, 2-4시간당 섭취배설량, 24시간 소변량 등 관찰, 체중 관찰
- 이뇨제 투여시 과도한 체액감소로 혈량감소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변량 관찰
⑧ 침상안정, 부종 및 보직관류의 저하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피부관찰, 2시간 마다 체위 변경
- 능동적 수동적 관절운동
- 뼈 돌출부위에 압박받지 않도록 지지, 공기침대나 부유침대 사용
7) 합병증
① 심부정맥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초기 부정맥으로 사망, 첫 1시간 내 심실세동으로 돌연사 심실조기수축, 심실빈맥, 심실세동, 심장 블록이 흔히 일어난다.
② 심장성 쇼크
심근 수축력 감소, 죄심실 기능저하로 심박출량 감소, 심부정맥, 패혈증 등으로 나타난다.
③ 심부전과 폐수종
심근경색증 후 사망의 1/3이 심부전에 의한다.
④ 폐색전증
장시간 침상 안정과 혈액정도 상승, 혈액의 과응고력으로 하지에 폐색전증을 유발한다.
⑤ 심실중격 파열
경색 후 1주 내에 심근의 전벽, 후벽, 심실중격이 만나는 곳에 발생하여 좌심부전으로 진행하면 폐울혈이나 폐수종을 초래한다.
⑥ 급성승모판 폐쇄 부전증
유두근 파열시 급성 승모판 폐쇄부전급성폐수종으로 갑작스런 사망이 가능하다.
⑦ 심근파열
10~15% 정도가 심근 파열로 사망, 심장 압전으로 경정맥 울혈, 심박동에 의한 흉부 움직임이 안보인다.
⑧ 심근 경색 후 증후군
심근 경색 후 3~4%에서 약 1~6주 사이에 나타난다. 흉통, 발열, 흉막염, 폐렴, 심낭염 등이 지속된다.
기준
협심증
심근경색증
기초 질환
동맥경화
동맥경화
원인
관상동맥의 수축, 협착
관상동맥의 폐쇄
심장상태
심근의 산소결핍
심근의 괴사
강약
가슴을 죄는 듯한 통증
협심증보다 통증이 강함
지속시간
2~3분 반복됨
30분에서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지속
안정할 때
회복
회복되지 않음
가정 처치법
니트로글리세린이라는 약을 혀 밑에 넣고 있으면 통증이 가라앉음. 이후 병원에 가서 추가 처치를 받음
가정의 처치법은 거의 없음 발작 후 최대한 신속하게 병원(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함
심전도
ST하강 또는 상승, T파 역전
ST분절 상승, T파 역전, 이상 Q파 형성
혈압
변화 없음. 안정형 협심증에서는 상승하는 경우도 있음
떨어짐
맥박
증가함. 불안정형 협심증에서는 변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미약, 아주 약함
호흡곤란
없음
대부분 있음
구토
없음
가끔 있음
발열
없음
있음
의식장애
없음
가끔 있음
주요 호발
연령
40세 이상의 남성
50~70세의 남성
8)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차이점
*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 병리학, 현문사
-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추천자료
만성폐쇄성폐질환 케이스
NHL, DM, R/O HF, R/O cardiac asthma 간호사례 연구
성인]심근경색 질병보고서&간호진단
SICU CASE STUDY(뇌출혈 대상자)
간호과 성인 ICU 실습 진단검사 목록(check list 체크리스트)
각 병동별 의학용어
MICU-cardiac arrest
급성 심근경색 case
[간호학] 폐성심 (Cor pulmonale) 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폐결핵][Pulmonary tuberculos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간호학, 응급실 실습
ICU 응급약물
S-ICH 사례연구
성인간호 케이스, 폐성심, cor pulmonale, ICU 케이스, 중환자실케이스, 가스교환장애, 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