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병태생리
2.원인
3.증상
4.진단검사
5.치료
6.간호
7.합병증
8.환자전반적인 상황
9.간호진단
2.원인
3.증상
4.진단검사
5.치료
6.간호
7.합병증
8.환자전반적인 상황
9.간호진단
본문내용
1T
MI, stable AP, 신부전
무력감, 소화불량, 변비, 고창, 두통, 근육통 등
고지혈증 치료제
Aldacton
25mg
- bid
고혈압, 원발성알도스테론증, 저칼륨혈증, 심성부종,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저나트륨혈증, 대사성산증, 여성형유방, 월경불순, 반구진성, 두드러기, 아나필락시 반응 등
이뇨제
capril
6.25mg
- bid
고혈압 치료,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신증
빈혈, 혈소판감소, 크레안티닌 상승, 신부전 빈뇨 신증후군 등
혈압강하제
dilatrend
3.125mg
- bid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협심증, 부종, 레이노병, 어지러움, 수면장애, 정신병 등
고혈압강하제(β- blocker)
Muteran
100mg 1T - tid
객담배출곤란, 인후두염, 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 중이염
구역, 가슴쓰림, 설사, 두드러기, 빈맥, 고혈압 등
진해거담제
Mucosta
100mg 1T - tid
위궤양,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간기능장애, 황달, 마비, 어지러움, 졸음, 구갈, 유선종창 등
소화성궤양용제
Gasmotin
5mg 1T
- tid
기능성 소화불량에 수반하는 소화기능이상(가슴쓰림, 오심, 구토)
극중간염, 간기능장애와 황달, 발진, 복부팽만감, 구강마비 등
소화기관용약
cordarone
200mg1T
- tid
심방성부정맥, 심실성부정맥, 재발성중증부정맥, 협심증 등
간지성 폐렴, QT간격의 연장,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부정맥용제
antibio
1cap1T
- tid
정장, 변비, 묽은변, 복부팽만감, 장내이상발효
정장제
Furix
40mg1T
- tid
고혈압, 심성부종, 신성부종, 간성부종, 말초혈관성부종
저나트륨혈증, 저염소혈증, 재생불량성 빈혈, 어지러움, 황달 등
이뇨제
intake
output
9/18
3834
3765
9/19
2676
2760
9/20
2410
3500
I/O
치료
-check V/S q 1hrs
-check I/O
-fregment suction
경과
*9/22
-extubation
-O2 2L → 2.5L
-L-tube remove
-A-line remove
*9/25
-foley remove
간호진단
자료
주관적
“답답해, 가래 뽑아줘”
객관적
-기침, 비정상적 호흡음(잡음, 수포음)
-secretin 많음
-간호사 선생님을 찾으며 가래를 뽑아달라고 하심(2~3번/hr)
-intubation state
-nebulization (하루1번 am11:00)
간호 목표
효율적인 객담배출로 정상 호흡음을 유지한다.
간호 계획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호흡음, 규칙성)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1~2시간마다 체위변경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필요시suction한다.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nebulization
이론적 근거
효과적인 기침이 기관지 청결과 분비물 제거에 좋다.
누워있으면 복강내 장기가 흉부 쪽으로 밀리면서, 폐가 눌리므로 호흡이 어렵게 된다.
남아있는 분비물은 가스교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suction을 시행한다.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수분섭취를 격려하여 가래를 묽게 하여 객담배출을 증진시킨다.
흉부물리요법은 분비물을 이동시키고 기관지 벽에서 떨어지도록 돕는다.
간호 수행
1시간마다 V/S을 check를 하면서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하였다.
처방대로 진해거담제(Muteran) 등 복용하도록 옆에서 도와드렸다.
nebulization을 할때 옆에서 제대로 하는지 관찰하였다.
back massage를 할때 흉부물리요법(clapping방법)을 시행하였다.
Intubation 하고 있을때에는 수분섭취를 못하므로 입이 건조하다고 할 때, 젖은 거즈를 입에 대드리고, extubation한 후에는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suction을 할때 옆에서 ambu bag을 잡으며 시행하였다.
평가
호흡음이 정상적으로 들리며, extubation후에는 객담배출을 잘 수행하며, 호흡을 할때 힘들어 하지 않고 편안하게 하는 모습을 관찰 하였다.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부동자세와 관련된 동통
자료
주관적
“허리아퍼”
“Intubation 좀 빼줘 (침대에서)내려가고 싶어”
객관적
-얼굴을 찡그리고 아파하는 모습 보임
-통증정도를 10점으로 물었을 때, 7점정도 라고 하심
-허리와 다리를 만지며 동통을 느낀다고 표현하심
-Intubation의 사용 등 많은 기계사용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심.
-self voiding 하려고 하셔 압박붕대로 묶어놓았음.
간호 목표
환자는 침상안정에 대해 이해하고 불편감을 줄일 수 있다
간호 계획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필요시 움직임을 최대화로 할 수 있도록 돕는다.(ROM)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한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 보조기구(베게 등)를 사용하여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back massage를 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얼음찜질을 한다.
이론적 근거
보조기구는 인체조직에 무리한 압력을 주지 않고 몸의 적절한 자세를 유지한다.
비근육의 혈액순화 증진, 경축근육의 정상 근 길이 회복, 유착완화, 통증완화, 국소적 전신적 이완, 정신적 안정의 효과가 있다
얼음찜질은 혈관을 수축시켜 부종을 감소시키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체위변경은 신경에 압력을 줄임으로써 조직이 꼬이고 아픈 것을 감소시킨다.
진통제는 통증지각을 감소시킨다.
간호 수행
통증정도가 얼마나 대는지 점수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Intubation을 하고 있어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들이 사다준 노트에 통증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Ice bag을 만들어 얼음찜질을 해 주었다.
통증이 심하다고 호소할 때 진통제를 처방하였다.
2시간 마다 최대한으로 체위 변경을 해주었다.
평가
처음보다는 통증이 나아졌다고(7점→5점) 하였지만 여전히 동통을 느끼는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L-tube remove , extubation한 후에는 신체상 자유롭고 움직일 수 있어 통증이 거의 없다고 표현하셨다.
MI, stable AP, 신부전
무력감, 소화불량, 변비, 고창, 두통, 근육통 등
고지혈증 치료제
Aldacton
25mg
- bid
고혈압, 원발성알도스테론증, 저칼륨혈증, 심성부종, 신성부종, 간성부종, 특발성부종
저나트륨혈증, 대사성산증, 여성형유방, 월경불순, 반구진성, 두드러기, 아나필락시 반응 등
이뇨제
capril
6.25mg
- bid
고혈압 치료, 울혈성 심부전, 당뇨병성 신증
빈혈, 혈소판감소, 크레안티닌 상승, 신부전 빈뇨 신증후군 등
혈압강하제
dilatrend
3.125mg
- bid
본태성 고혈압, 만성 안정형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협심증, 부종, 레이노병, 어지러움, 수면장애, 정신병 등
고혈압강하제(β- blocker)
Muteran
100mg 1T - tid
객담배출곤란, 인후두염, 부비강염, 삼출성 및 장액성 중이염
구역, 가슴쓰림, 설사, 두드러기, 빈맥, 고혈압 등
진해거담제
Mucosta
100mg 1T - tid
위궤양, 위점막병변(미란, 출혈, 발적, 부종)개선, 급성위염, 만성위염의 급성악화기
백혈구 감소, 혈소판 감소, 간기능장애, 황달, 마비, 어지러움, 졸음, 구갈, 유선종창 등
소화성궤양용제
Gasmotin
5mg 1T
- tid
기능성 소화불량에 수반하는 소화기능이상(가슴쓰림, 오심, 구토)
극중간염, 간기능장애와 황달, 발진, 복부팽만감, 구강마비 등
소화기관용약
cordarone
200mg1T
- tid
심방성부정맥, 심실성부정맥, 재발성중증부정맥, 협심증 등
간지성 폐렴, QT간격의 연장, 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부정맥용제
antibio
1cap1T
- tid
정장, 변비, 묽은변, 복부팽만감, 장내이상발효
정장제
Furix
40mg1T
- tid
고혈압, 심성부종, 신성부종, 간성부종, 말초혈관성부종
저나트륨혈증, 저염소혈증, 재생불량성 빈혈, 어지러움, 황달 등
이뇨제
intake
output
9/18
3834
3765
9/19
2676
2760
9/20
2410
3500
I/O
치료
-check V/S q 1hrs
-check I/O
-fregment suction
경과
*9/22
-extubation
-O2 2L → 2.5L
-L-tube remove
-A-line remove
*9/25
-foley remove
간호진단
자료
주관적
“답답해, 가래 뽑아줘”
객관적
-기침, 비정상적 호흡음(잡음, 수포음)
-secretin 많음
-간호사 선생님을 찾으며 가래를 뽑아달라고 하심(2~3번/hr)
-intubation state
-nebulization (하루1번 am11:00)
간호 목표
효율적인 객담배출로 정상 호흡음을 유지한다.
간호 계획
대상자의 호흡양상을 사정한다(호흡음, 규칙성)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
1~2시간마다 체위변경
흉부물리요법을 실시한다.
필요시suction한다.
수분섭취를 권장한다.
nebulization
이론적 근거
효과적인 기침이 기관지 청결과 분비물 제거에 좋다.
누워있으면 복강내 장기가 흉부 쪽으로 밀리면서, 폐가 눌리므로 호흡이 어렵게 된다.
남아있는 분비물은 가스교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suction을 시행한다.
금기사항이 아니라면, 수분섭취를 격려하여 가래를 묽게 하여 객담배출을 증진시킨다.
흉부물리요법은 분비물을 이동시키고 기관지 벽에서 떨어지도록 돕는다.
간호 수행
1시간마다 V/S을 check를 하면서
대상자에게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하였다.
처방대로 진해거담제(Muteran) 등 복용하도록 옆에서 도와드렸다.
nebulization을 할때 옆에서 제대로 하는지 관찰하였다.
back massage를 할때 흉부물리요법(clapping방법)을 시행하였다.
Intubation 하고 있을때에는 수분섭취를 못하므로 입이 건조하다고 할 때, 젖은 거즈를 입에 대드리고, extubation한 후에는 수분섭취를 권장하였다.
suction을 할때 옆에서 ambu bag을 잡으며 시행하였다.
평가
호흡음이 정상적으로 들리며, extubation후에는 객담배출을 잘 수행하며, 호흡을 할때 힘들어 하지 않고 편안하게 하는 모습을 관찰 하였다.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 청결
-부동자세와 관련된 동통
자료
주관적
“허리아퍼”
“Intubation 좀 빼줘 (침대에서)내려가고 싶어”
객관적
-얼굴을 찡그리고 아파하는 모습 보임
-통증정도를 10점으로 물었을 때, 7점정도 라고 하심
-허리와 다리를 만지며 동통을 느낀다고 표현하심
-Intubation의 사용 등 많은 기계사용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심.
-self voiding 하려고 하셔 압박붕대로 묶어놓았음.
간호 목표
환자는 침상안정에 대해 이해하고 불편감을 줄일 수 있다
간호 계획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필요시 움직임을 최대화로 할 수 있도록 돕는다.(ROM)
처방된 진통제를 투약한다.
제한된 범위 내에서 보조기구(베게 등)를 사용하여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해준다.
back massage를 하여 통증을 감소시킨다.
얼음찜질을 한다.
이론적 근거
보조기구는 인체조직에 무리한 압력을 주지 않고 몸의 적절한 자세를 유지한다.
비근육의 혈액순화 증진, 경축근육의 정상 근 길이 회복, 유착완화, 통증완화, 국소적 전신적 이완, 정신적 안정의 효과가 있다
얼음찜질은 혈관을 수축시켜 부종을 감소시키며 통증을 완화시킨다.
체위변경은 신경에 압력을 줄임으로써 조직이 꼬이고 아픈 것을 감소시킨다.
진통제는 통증지각을 감소시킨다.
간호 수행
통증정도가 얼마나 대는지 점수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Intubation을 하고 있어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족들이 사다준 노트에 통증을 표현하도록 하였다.
Ice bag을 만들어 얼음찜질을 해 주었다.
통증이 심하다고 호소할 때 진통제를 처방하였다.
2시간 마다 최대한으로 체위 변경을 해주었다.
평가
처음보다는 통증이 나아졌다고(7점→5점) 하였지만 여전히 동통을 느끼는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L-tube remove , extubation한 후에는 신체상 자유롭고 움직일 수 있어 통증이 거의 없다고 표현하셨다.
추천자료
뇌졸중 (stroke)과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심전도와 협심증 심근경색
[간호학]뇌졸증, 천식, 심근경색, 당뇨병, 폐렴 문헌고찰 및 진단검사 조사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케이스 스터디(심근경색)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심근경색 (MI ; myocardial infarction)
[해부생리학]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PPT자료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성인간호학][MI][심근경색]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PTCA]문헌고찰(myocardial infarction)
[성인간호학][협심증][Angina Pectoris][심근경색]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Myocardial infarction_ 심근경색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