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1) 일반적 사항
(2) 간호사정
2. 병의 경과
3. 진단 검사 결과 해석지
-검사수치
-사용약물
4. 간호진단 목록
5. 간호과정 적용
(1) 자료분석
(2) 간호계획
(3) 간호수행 기록지
1. 간호력 (Nursing history taking)
(1) 일반적 사항
(2) 간호사정
2. 병의 경과
3. 진단 검사 결과 해석지
-검사수치
-사용약물
4. 간호진단 목록
5. 간호과정 적용
(1) 자료분석
(2) 간호계획
(3) 간호수행 기록지
본문내용
규칙적 호흡, 손 마 사지, 온습포
- 심호흡을 설명하고 이완요법, 심상요 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1-7 대상자에게 통증완화를 위한 약물투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필요시 의사의 처방을 받은 진통제를 PRN으로 투여한다.
2-1 대상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거나 완화시키는 요인/행동에 대해 사정 한다.
-유발 : 추위, 공복 시, 자세
-완화 : 따뜻한 온도, 자세
2-2 통증이 가라앉은 뒤에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2-3 대상자가 습득한 지식을 말로써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1-1 통증의 양상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1-5 삽입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은 통증을 증가 시킨다.
1-6 마사지 방법은 피부의 대섬유를 자극시켜 Spinal cord의 관문을 닫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진정작용을 한다.
숨을 깊게 들이 쉬는 것은 통증을 경감시킨다.
#2. 심장 수축력 저하 및 부정맥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목적
1. 대상자는 정상범위의 심박출량을 유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정상범위의 맥박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스스로 휴식을 증진하고 에너지를 보유한다.
1-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1-2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과 징후를 지속적으로 monitor한다.
: 혈압의 변동, 빈맥, 창백하고 청색증이 있는 피부, 말초 맥박의 감소 또는 소실, 호흡곤란, 현찬사지, 핍뇨, 산소포화 농도의 심각한 감소, 비정상적인 가스 분석
1-3 대상자의 활동을 제한하고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1-4 Rt. femoral site temporary
pacemaker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서 전선이 곧게 유지되게 오른쪽 다리를 곧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1-5 처방된 수액을 정확하게 투여한다.
: 5% D/W 500㎖ + tropin 400mg/a, 5% D/W 500㎖+Heparin 100u/0.02㎖
2-1 처방에 따라 제한된 활동 범위를 유지한다. : 대상자- ABR
2-2 병실 주변 환경 활동과 소음을 최소화 하여 대상자가 안정을 취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2-3 불필요한 간호를 줄여 대상자가 방해받지 않고 휴식 시간을 주기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2-4 대상자가 필요하면 자가 간호를 도와준다.
: 침상 세면, dry shampoo, 구강간호
1-2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이다.
1-5 tropin은 심혈관계 약물로 심근경색,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에 사용한다.
Heparin은 관상동맥 폐쇄를 경감하는 데 유용하다.
2. 신체활동에 필요한 조직의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켜주기 위함이다.
(2) 간호계획
(3) 간호수행 기록지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2008.10.30 ~ 2008.10.31
#1
P&I
1-1~1-6 수행함.
E
여전히 삽입부위에 손을 올리고 있고 다리가 아프다함.
2008.10.30 ~ 2008.10.31
#2
P&I
1-1~1-5, 2-1~2-4 수행함.
E
다리를 곧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속적으로 교육하여 pace maker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
참고 문헌
1. 임난영 외(2000).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현문사
2.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3.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4. 박상연 외 공역(2006).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Ⅲ. 정담미디어
5. 서울대학교병원 편 (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 심호흡을 설명하고 이완요법, 심상요 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1-7 대상자에게 통증완화를 위한 약물투여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필요시 의사의 처방을 받은 진통제를 PRN으로 투여한다.
2-1 대상자에게 통증을 유발하거나 완화시키는 요인/행동에 대해 사정 한다.
-유발 : 추위, 공복 시, 자세
-완화 : 따뜻한 온도, 자세
2-2 통증이 가라앉은 뒤에는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유지하여 대상자의 불안을 해소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2-3 대상자가 습득한 지식을 말로써 표현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1-1 통증의 양상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하기 위함이다.
1-5 삽입부위에 가해지는 압박은 통증을 증가 시킨다.
1-6 마사지 방법은 피부의 대섬유를 자극시켜 Spinal cord의 관문을 닫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켜 진정작용을 한다.
숨을 깊게 들이 쉬는 것은 통증을 경감시킨다.
#2. 심장 수축력 저하 및 부정맥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목적
1. 대상자는 정상범위의 심박출량을 유지한다.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는 10월 31일까지 정상범위의 맥박을 유지한다.
2. 대상자는 스스로 휴식을 증진하고 에너지를 보유한다.
1-1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2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1-2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과 징후를 지속적으로 monitor한다.
: 혈압의 변동, 빈맥, 창백하고 청색증이 있는 피부, 말초 맥박의 감소 또는 소실, 호흡곤란, 현찬사지, 핍뇨, 산소포화 농도의 심각한 감소, 비정상적인 가스 분석
1-3 대상자의 활동을 제한하고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1-4 Rt. femoral site temporary
pacemaker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서 전선이 곧게 유지되게 오른쪽 다리를 곧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1-5 처방된 수액을 정확하게 투여한다.
: 5% D/W 500㎖ + tropin 400mg/a, 5% D/W 500㎖+Heparin 100u/0.02㎖
2-1 처방에 따라 제한된 활동 범위를 유지한다. : 대상자- ABR
2-2 병실 주변 환경 활동과 소음을 최소화 하여 대상자가 안정을 취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2-3 불필요한 간호를 줄여 대상자가 방해받지 않고 휴식 시간을 주기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2-4 대상자가 필요하면 자가 간호를 도와준다.
: 침상 세면, dry shampoo, 구강간호
1-2 심박출량 감소의 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이다.
1-5 tropin은 심혈관계 약물로 심근경색,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저혈압에 사용한다.
Heparin은 관상동맥 폐쇄를 경감하는 데 유용하다.
2. 신체활동에 필요한 조직의 산소 요구도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심장의 부담을 감소시켜주기 위함이다.
(2) 간호계획
(3) 간호수행 기록지
일 시
진단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2008.10.30 ~ 2008.10.31
#1
P&I
1-1~1-6 수행함.
E
여전히 삽입부위에 손을 올리고 있고 다리가 아프다함.
2008.10.30 ~ 2008.10.31
#2
P&I
1-1~1-5, 2-1~2-4 수행함.
E
다리를 곧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지속적으로 교육하여 pace maker가 제대로 작동하도록 하였으나 잘 지켜지지 않고 있음.
참고 문헌
1. 임난영 외(2000).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현문사
2. 고성희 외(2002).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 현문사
3. 전시자 외(2000). 성인간호학. 현문사.
4. 박상연 외 공역(2006). 성인대상자를 위한 간호계획Ⅲ. 정담미디어
5. 서울대학교병원 편 (1994).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뇌졸중 (stroke)과 심근경색증 (myocardial infarction)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심근경색 협심증 골다공증 간암 지방간 관절염 갑상선
돌연사의 정의와 실태 심근경색
[간호학] 급성 심근경색 문헌고찰
[간호학]뇌졸증, 천식, 심근경색, 당뇨병, 폐렴 문헌고찰 및 진단검사 조사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응급처치] 심근경색및협심증
SICU case study(Acute Myocardial Infarction_급성심근경색)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 심근경색증 우선순위 간호진단
[해부생리학]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PPT자료
[관상동맥질환]협심증과 심근경색질환
성인간호 case study - STEMI ST분절상승 심근경색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