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응급환자 정보 조사지
2)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간략한 문헌고찰
3) 응급처치
4) 대상자 질병 과정
2) 대상자의 건강문제에 대한 간략한 문헌고찰
3) 응급처치
4) 대상자 질병 과정
본문내용
한의원에서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
증상 발생 후 최대한 빨리, 6시간 또는 적어도 12시간 이내에 병원에 방문해야 심근 괴사(썩음)를 최대한 막을 수 있다.
3)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일반적 치료
(1) 아스피린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맨 처음 투여되는 약제
(2) 흉통의 완화
병원에 도착하면 nitroglycerine의 설하 투여, morphine 정맥투여, 베타 차단제 정맥투여를 통하여 흉통을 조절하고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킵니다. 단, 저혈압이거나 우심실 경색, 24시간 내 sildenafil(비아그라) 복용 시 nitroglycerine의 투여는 금기이다.
(3) 항응고제 치료
헤파린, 혈소판 응집 차단제 등
4)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재관류 치료
(1) 혈전용해제
급성 심근 경색증은 혈전(피 덩어리)에 의해 관상동맥이 폐쇄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혈전을 녹이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혈전용해제라 한다.
혈전용해제는 응급실 내원 30분 이내에 환자의 정맥에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증상 시작 1-3시간 이내에 치료하면 가장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환자가 증상 발생 후 최대한 빨리 병원에 내원하는 것이 중요한다.
혈전용해제 치료는 증상 발생 3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에서 유용하며,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과 치료 효과가 비슷한다.
혈전용해제 치료의 문제점은 재개통 성공률이 약 60-70%로 낮고, 재발이 높으며(10-15%),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다.
(2)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이란 급성 심근 경색증 환자가 내원 시 신속하게 관상동맥 풍선확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실시하는 것으로, 폐쇄된 혈관의 재개통에 가장 우수한 방법이며 재개통 성공률이 95-99%로 높아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재관류 치료이다.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은 환자가 병원 내원 후 90분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며 더 빨리 하면 할수록 효과가 좋다.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은 흉통 발생 12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에 유용하며, 12시간 이후라도 흉통이 지속되는 경우 실시한다.
흉통발생 2-3시간 이내에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을 실시하여 성공적으로 재개통되면 심근괴사 없이 정상적인 심장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재발률은 일반 스텐트 사용시 20-30% 정도로 약간 높았으나,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텐트에 재협착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코팅시킨 약물코팅 스텐트가 이용되면서 재발률을 5-10%까지 감소시켰다.
약물코팅 스텐트의 문제점으로 극히 소수의 환자에서 스텐트 내에 혈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혈소판 억제제인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 치료로 예방하고 있다.
(3) 관상동맥 재관류 치료가 지연되는 이유 및 개선책
흉통 발생 후에도 “좋아지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로 기다리면서 시간을 낭비하거나, 개인병원, 약국, 한의원 등을 방문하여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야 한다.
흉통이 10분 이상 지속되면 곧바로 119 구급차를 불러서(A 단계)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신속하게 후송(B 단계)되어야 한다.
병원에서는 24시간 응급 시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응급 관상동맥 중재시술 팀이 항상 대기하고, 환자가 내원하면 신속하게 시술해야 한다.
7. 합병증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는 일시적으로 관찰되는 가벼운 합병증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합병증까지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재관류 치료 및 적극적인 약물치료를 통해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다.
1) 부정맥
심실성 빈맥은 급성 심근 경색증으로 인한 급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심실성 빈맥은 심근 허혈(피 부족)과 관련되어 대개 첫 24시간 이내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48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 전기생리학적 검사 후에 삽입형 제세동기로 시술할 수 있다.
심방 세동은 좌심실 기능 저하와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심부전 발생 가능성이 높다.
방실 전도 차단으로 심한 서맥(느린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시형 심박동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여러 종류의 경미한 부정맥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신속한 관상동맥 재관류 치료 및 베타 차단제 치료가 부정맥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2) 심인성 쇼크
경색 첫 수 시간 이내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입원 초기에도 생긴다.
적극적인 치료에도 70% 이상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다.
3) 급성 승모판 폐쇄부전증 및 급성 심실중격 파열
대개 심근 경색증 후 2-4일 사이에 발생한다.
회복 중 갑자기 호흡곤란이 발생하고, 혈압이 떨어지면 의심해야 한다.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하며, 사망률이 높다.
4) 심부전
경색부위 및 정상 심근의 확장으로 인해 심장의 수축기 기능이 감소하여 발생할 수 있다.
심장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약물치료를 적극적으로 하여야 한다.
3) 응급처치
대상자 문제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원리
결과
09:27
흉통
혈압 : 165/95
Perlinganit 0.1% (50mg) (혈관확장제) 정맥 투여
aspirin 100mg 1T (할혈전제) 경구 투여
Lipitor 60mg (동맥경화용제) 경구 투여
Enoxaparine 60mg (항혈전제) 피하 투여
Brilinta 100mg (항혈전제) 경구 투여
혈관 확장제 혹은 항혈전제를 투여 하여 심장에 공급 되는 혈액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심근, 관상동맥 관류를 유지 함으로서 흉통을 제거하기 위함
15:56
흉통 호소하는 모습 보이지 않음
14:57
혈압 : 114/77
4) 대상자 질병 과정
시간
대상자 상태
09:27
입원
흉통을 호소하며 쑤시는 느낌이 들고, NRS:4점
10:48
Perlinganit 0.1% (50mg) (혈관확장제) 정맥 투여
aspirin 100mg 1T (할혈전제) 경구 투여
Lipitor 60mg (동맥경화용제) 경구 투여
Enoxaparine 60mg (항혈전제) 피하 투여
Brilinta 100mg (항혈전제) 경구 투여
13:34
두통 호소 하여 fluid 양 10cc/hr로 줄임
14:56
전과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
증상 발생 후 최대한 빨리, 6시간 또는 적어도 12시간 이내에 병원에 방문해야 심근 괴사(썩음)를 최대한 막을 수 있다.
3)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일반적 치료
(1) 아스피린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맨 처음 투여되는 약제
(2) 흉통의 완화
병원에 도착하면 nitroglycerine의 설하 투여, morphine 정맥투여, 베타 차단제 정맥투여를 통하여 흉통을 조절하고 심근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킵니다. 단, 저혈압이거나 우심실 경색, 24시간 내 sildenafil(비아그라) 복용 시 nitroglycerine의 투여는 금기이다.
(3) 항응고제 치료
헤파린, 혈소판 응집 차단제 등
4)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재관류 치료
(1) 혈전용해제
급성 심근 경색증은 혈전(피 덩어리)에 의해 관상동맥이 폐쇄되어 발생하기 때문에 혈전을 녹이는 치료를 할 수 있으며, 이를 혈전용해제라 한다.
혈전용해제는 응급실 내원 30분 이내에 환자의 정맥에 투여하는 것이 원칙이다.
증상 시작 1-3시간 이내에 치료하면 가장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환자가 증상 발생 후 최대한 빨리 병원에 내원하는 것이 중요한다.
혈전용해제 치료는 증상 발생 3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에서 유용하며,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과 치료 효과가 비슷한다.
혈전용해제 치료의 문제점은 재개통 성공률이 약 60-70%로 낮고, 재발이 높으며(10-15%), 심각한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현재는 많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다.
(2)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이란 급성 심근 경색증 환자가 내원 시 신속하게 관상동맥 풍선확장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실시하는 것으로, 폐쇄된 혈관의 재개통에 가장 우수한 방법이며 재개통 성공률이 95-99%로 높아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재관류 치료이다.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은 환자가 병원 내원 후 90분 이내에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며 더 빨리 하면 할수록 효과가 좋다.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은 흉통 발생 12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에 유용하며, 12시간 이후라도 흉통이 지속되는 경우 실시한다.
흉통발생 2-3시간 이내에 일차적 관상동맥 성형술을 실시하여 성공적으로 재개통되면 심근괴사 없이 정상적인 심장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재발률은 일반 스텐트 사용시 20-30% 정도로 약간 높았으나,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텐트에 재협착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코팅시킨 약물코팅 스텐트가 이용되면서 재발률을 5-10%까지 감소시켰다.
약물코팅 스텐트의 문제점으로 극히 소수의 환자에서 스텐트 내에 혈전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혈소판 억제제인 아스피린과 클로피도그렐 치료로 예방하고 있다.
(3) 관상동맥 재관류 치료가 지연되는 이유 및 개선책
흉통 발생 후에도 “좋아지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로 기다리면서 시간을 낭비하거나, 개인병원, 약국, 한의원 등을 방문하여 시간을 낭비하지 않아야 한다.
흉통이 10분 이상 지속되면 곧바로 119 구급차를 불러서(A 단계)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이 가능한 병원으로 신속하게 후송(B 단계)되어야 한다.
병원에서는 24시간 응급 시술이 가능할 수 있도록 응급 관상동맥 중재시술 팀이 항상 대기하고, 환자가 내원하면 신속하게 시술해야 한다.
7. 합병증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는 일시적으로 관찰되는 가벼운 합병증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한 합병증까지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한 재관류 치료 및 적극적인 약물치료를 통해 합병증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다.
1) 부정맥
심실성 빈맥은 급성 심근 경색증으로 인한 급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심실성 빈맥은 심근 허혈(피 부족)과 관련되어 대개 첫 24시간 이내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48시간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임상 전기생리학적 검사 후에 삽입형 제세동기로 시술할 수 있다.
심방 세동은 좌심실 기능 저하와 관련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심부전 발생 가능성이 높다.
방실 전도 차단으로 심한 서맥(느린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시형 심박동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여러 종류의 경미한 부정맥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신속한 관상동맥 재관류 치료 및 베타 차단제 치료가 부정맥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2) 심인성 쇼크
경색 첫 수 시간 이내에도 발생할 수 있으며, 입원 초기에도 생긴다.
적극적인 치료에도 70% 이상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다.
3) 급성 승모판 폐쇄부전증 및 급성 심실중격 파열
대개 심근 경색증 후 2-4일 사이에 발생한다.
회복 중 갑자기 호흡곤란이 발생하고, 혈압이 떨어지면 의심해야 한다.
응급 수술을 필요로 하며, 사망률이 높다.
4) 심부전
경색부위 및 정상 심근의 확장으로 인해 심장의 수축기 기능이 감소하여 발생할 수 있다.
심장 기능을 보존할 수 있는 약물치료를 적극적으로 하여야 한다.
3) 응급처치
대상자 문제
응급처치
응급처치의 원리
결과
09:27
흉통
혈압 : 165/95
Perlinganit 0.1% (50mg) (혈관확장제) 정맥 투여
aspirin 100mg 1T (할혈전제) 경구 투여
Lipitor 60mg (동맥경화용제) 경구 투여
Enoxaparine 60mg (항혈전제) 피하 투여
Brilinta 100mg (항혈전제) 경구 투여
혈관 확장제 혹은 항혈전제를 투여 하여 심장에 공급 되는 혈액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정상적인 심근, 관상동맥 관류를 유지 함으로서 흉통을 제거하기 위함
15:56
흉통 호소하는 모습 보이지 않음
14:57
혈압 : 114/77
4) 대상자 질병 과정
시간
대상자 상태
09:27
입원
흉통을 호소하며 쑤시는 느낌이 들고, NRS:4점
10:48
Perlinganit 0.1% (50mg) (혈관확장제) 정맥 투여
aspirin 100mg 1T (할혈전제) 경구 투여
Lipitor 60mg (동맥경화용제) 경구 투여
Enoxaparine 60mg (항혈전제) 피하 투여
Brilinta 100mg (항혈전제) 경구 투여
13:34
두통 호소 하여 fluid 양 10cc/hr로 줄임
14:56
전과
내과계 중환자실 입원
추천자료
골관절염 case study
<정형외과>추간판탈출증 case study
정신분열증 CASE STUDY
성인간호 CASE STUDY - 당뇨(DM)
소아과 case study - 황달, 과빌리루빈혈증
위암 case study
간호과정중심 Case study -장염(gastroenteritis)
천식 case study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연분만 후 산욕기 간호
폐렴 case study [호흡기 내과 실습 - 폐렴 컨퍼런스 ( 문헌고찰 약물 진단 간호과정 ) 완벽 ...
폐결핵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폐결핵 컨퍼런스 자료 - 문헌고찰, 약물, 진단검사, 과...
결장암 case study
정신간호학 case study-schizophrenia
Acute hepatiti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