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ous Game 기획하기 ) 디지털미디어리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erious Game 기획하기 ) 디지털미디어리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아니라 사회, 국가 전반의 문제라는 인식을 마음에 새기도록 하는 부분이다.
게임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초적인 자료조사와 인터뷰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마약과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의사 및 상담가, 경찰 등 마약 관련 관계자들과 인터뷰 등을 통해 마약의 영향을 파악하여 게임 구상에 반영할 계획이다. 그래서 게임에 참여하는 플레이어에게 마약에 대한 정확하고 최신의 정보들을 알리고 실제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게임을 제작할 것이다.
3. 결론
기능성 게임은 게임적 특성을 의도적 목적성을 통하여 콘텐츠에 접목한 것이다.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전문적으로 개발된 게임인 것이다. 기능성 게임은 현실에서 불가능한 경험을 안전한 환경에서 얻어갈 수 있다. 그리고 장기적 관점에서 비용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김주란·강승묵·이기훈(2018). p.8.
. 기능성 게임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목적과 의도에 따라서 사회 전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사회적 캠페인 매체가 될 수 있다.
사회 문제 가운데 마약문제는 한번 경험하게 되면 거기서 헤어나오기가 어려운 성격을 갖고 있는 문제이다. 그래서 이러한 마약의 성격 때문에 마약은 다른 어떤 사회 문제보다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사회 문제인 마약 문제를 기능성 게임을 접목하여 대중에게 알릴 수 있다면 마약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마약 관련 기능성 게임을 제작함에 있어 플레이어에게 친숙한 일상생활의 배경을 통하여 마약 문제를 쉽게 접하게 하고 플레이어의 선택에 따라 개인과 이웃들, 그리고 사회가 어떤 영향을 받고 변화되어 지는지를 알 수 있도록 게임을 제작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사회 문제인 마약 문제가 좀 더 대중에게 알려지고 예방하는 효과를 가져 올 것을 기대한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주란·강승묵·이기훈(2018). 기능성게임(serious game) 기반 환경캠페인의 광고가치와 환경적 행동의도 연구. 「광고PR실학연구」. 11(4): 7-28.
박성수·백민석(2019). 국내외 마약문제 분석을 통한 마약피해지수(Drug Harm Index) 개발. 「국가정책연구」. 33(2): 209-227.
이동민·유승호·정의준(2013). 사회변화를 위한 기능성 게임의 메커니즘.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3(2): 81-98.
주진호(2022). 사회 변화를 촉구하는 기능성 게임의 이론적 배경.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22(1): 55-63.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4.10.27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404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