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7. 참고문헌
2. 간호진단
3. 간호목표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낮추고 소음을 최소화하며, 침대 주변을 정리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안위를 확인하여 필요 시 추가적인 도움을 드렸다.
간호수행
교육적 수행
15.패혈증으로 인한 고체온은 감염과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이 혈류를 통해 퍼지면서 체내 면역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어 열이 발생하는데, 고체온은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깨뜨리고, 심장, 뇌,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혼란, 경련, 의식 저하, 부정맥, 심부전, 호흡 곤란, 신부전, 간 기능 저하 및 소화기 장애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6.대상자에게 고체온 시 비약물적인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땀을 잘 흡수하는 소재 및 가볍고 통기성 좋은 옷을 입도록 한다.
-몸을 식히기 위해 찬물 샤워를 하거나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도록 한다.
-얼음주머니를 겨드랑이 부위에 적용하도록 한다.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동을 최소로 유지하도록 한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심장과 신장 질환이 없다면 1일 2L 이상의 수분섭취를 하도록 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몸의 회복을 돕도록 한다.
-고체온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에 방문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체온 정상 범위 내에서 측정된다.
2.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이다.
3.대상자는 퇴원 시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4.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체온 조절을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을 인식하고 적절히 수행한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8시간 안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 측정된다.
2.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오한, 오심, 구토 증상 중 2가지 이상 호전되었다고 말한다.
3.대상자는 3일 안에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감소한다.
4.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비약물적 방법 1가지 이상 수행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조동숙 외 (2012),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최순희 외(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중증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박순영 외 1명
· 근거 중심의 패혈증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정현
· 패혈증의 치료 동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패혈증과 다장기 부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약제팀a
주기적으로 대상자의 안위를 확인하여 필요 시 추가적인 도움을 드렸다.
간호수행
교육적 수행
15.패혈증으로 인한 고체온은 감염과 염증 반응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염이 혈류를 통해 퍼지면서 체내 면역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염증 매개체가 방출되어 열이 발생하는데, 고체온은 체내 수분 및 전해질 균형을 깨뜨리고, 심장, 뇌, 간, 신장 등 주요 장기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혼란, 경련, 의식 저하, 부정맥, 심부전, 호흡 곤란, 신부전, 간 기능 저하 및 소화기 장애 등의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의심스러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16.대상자에게 고체온 시 비약물적인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땀을 잘 흡수하는 소재 및 가볍고 통기성 좋은 옷을 입도록 한다.
-몸을 식히기 위해 찬물 샤워를 하거나 시원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도록 한다.
-얼음주머니를 겨드랑이 부위에 적용하도록 한다.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동을 최소로 유지하도록 한다.
-균형 잡힌 식단으로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한다.
-탈수를 예방하기 위해 심장과 신장 질환이 없다면 1일 2L 이상의 수분섭취를 하도록 한다.
-충분한 휴식과 수면을 취해 몸의 회복을 돕도록 한다.
-고체온이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병원에 방문하도록 한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1.대상자는 입원기간 동안 체온 정상 범위 내에서 측정된다.
2.대상자는 퇴원 시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정상이다.
3.대상자는 퇴원 시 고체온과 관련된 합병증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4.대상자는 퇴원 시 스스로 체온 조절을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을 인식하고 적절히 수행한다.
단기목표
1.대상자는 8시간 안에 활력징후가 정상범위 내 측정된다.
2.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오한, 오심, 구토 증상 중 2가지 이상 호전되었다고 말한다.
3.대상자는 3일 안에 감염과 관련된 혈액검사 수치가 감소한다.
4.대상자는 3일 안에 발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비약물적 방법 1가지 이상 수행한다.
참고문헌
·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202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사례기반의 학습자 참여 중심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2019), 포널스출판사
· 조동숙 외 (2012),여성건강간호학1,2 .수문사
· 고일선 외 (2021),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8 2020, 학지사메디컬
· 최순희 외(2019), 간호과정의 실제, 현문사
· 박은영 외 (2023),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중증 패혈증과 패혈쇼크의 치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박순영 외 1명
· 근거 중심의 패혈증 치료에 대한 최신 지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최정현
· 패혈증의 치료 동향,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폐질환연구소
· 패혈증과 다장기 부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 약제팀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