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rsitaires Scientifiques et Techniques)를 취득하게 된다. 진급 시험에 합격해야만 1학년에서 2학년으로의 진급이 가능한데 외국인에게는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다. 프랑스 학생들조차도 이 과정을 3년동안에 겨우 끝내는 경우가 빈번한데, 한국 학생의 경우 고등학교 졸업의 자격으로 입학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학에 들어가기는 쉽게 보이지만, 수업을 따라가는 과정에서 상당한 실력을 요하므로 불어에 정말 자신이 있거나 학문에 대한 열정과 실력이 없이는 학위를 취득하기가 어렵다.
나) 제2기 과정(Deuxieme Cycle)
DEUG(DEUST) 학위를 취득했거나 한국에서 대학 2년 이상의 과정을 수료한 학생은 대학측의 서류 심사를 거쳐 제2기 과정 입학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는 학사(Licence), 석사(Maitrise), 과학기술.경영학.경영전산학의 특수 석사(MST . MSG . MIAGE), 마쥐스떼르(Magistere) 과정이 있다
다) 제3기 과정(Troisieme Cycle)
석사(Maitrise) 학위 취득 후 진학하는 3기 과정은 크게 전문 특수 학위 DESS (Diplome d'Etudes Superieures Specialisees)와 박사(Doctorat)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DESS 학위는 석사 취득 후 1년에 걸쳐 취득하는 학위 과정으로 전문 직업인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박사 과정은 1985년 이래로 첫 1년의 DEA(Diplome d'Etudes Approfondies) 과정을 통과해야만 논문 등록이 가능하다. DEA 과정은 논문을 준비하기 전에 학생의 객관적인 실력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설된 학위로 수업 내용은 향후의 논문 주제와 크게 관련 없이 연간 4~5과목을 필히 이수해야 할 뿐 아니라 이와 병행하여 논문 주제와 관련된 개인 연구를 계속하여 학년 말에는 석사논문과 비슷한 양의 소논문 이나 자세한 논문 계획서, 혹은 논문의 일부를 제출하여 교수회의 심사를 통과해야만 학위를 취득할 수 있고, 이 이후에야 비로소 논문 과정에 등록할 수 있으며 그후 2~4년 안에 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DEA 첫 해에 학위 취득에 실패할 경우 1년에 한해 재등록이 가능하다.
(2) 그랑제꼴(Grandes ecoles)에서의 장기 고등교육
프랑스만의 독특한 고등교육시스템인 그랑제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랑스의 고등교육제도가 우리나라의 것과 다른 면을 우선 알아둘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교 졸업 후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대학으로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프랑스의 경우는 우리의 대학 기능이 대학, 에꼴 및 그랑제꼴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고등교육을 받기 원하는 학생들은 장래의 인생 설계 및 자신의 현재 상황에 따라 적절한 곳으로 진학하게 도니다. 대학과 그랑제꼴의 차이점은 지원자격, 선발방법, 수업연한, 교육방법 및 졸업 후의 진로 등 여러 가지를 열거할 수 있다. 그랑제꼴은 3년제 또는 4년제로 운영되므로 졸업하려면, 바깔로레아 이후 최소 3년, 보통은 5-6년이 걸린다. 일반대학 졸업생보다 학업연한이 2-3년 길고 교육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실제적인 교육세 치중하는 것이 특징이다. 졸업생들은 대체로 관공서나 기업체의 고급 간부 및 엔지니어가 되게 된다. 따라서 우수한 학생들은 자연히 일반대학보다 그랑제꼴을 지망하게 되며 이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교육이 실시됨으로써 그랑제꼴은 프랑스 엘리트를 산출하는 본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 특징 : 3년간 지속되는 고급수준의 교육으로 여러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실무 교육을 위주로 향후 직업 분야와 긴밀한 연결을 갖고, 산업분야의 고위 실무자들이 교수진으로 참여한다. 기업에서의 인턴쉽, 산학협동연구 활발히 이루어진다.
소수 정원제로 각 학교마다300-800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 응용 연구분야를 접하는 기회를 갖게 한다. 국제화를 도모하는 여러 활동과 프로그램이 있다.
200개 이상의 공학계열 그랑제꼴과 50개이상의 경영계열 그랑제꼴은 프랑스 고등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에 의해 공인된 학위를 수여한다.
(3) 전문특수학교(Ecoles)에서의 고등교육
일반대학과 그랑제꼴 이외에 다른 학교들을 전문 특수학교라고 일컫는데 주로, 예술, 건축, 농업, 법,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실무적이고 실질적인 직업교육을 위주로 하는 교육기관들로 국립에꼴과 사립에꼴이 있다.
나) 제2기 과정(Deuxieme Cycle)
DEUG(DEUST) 학위를 취득했거나 한국에서 대학 2년 이상의 과정을 수료한 학생은 대학측의 서류 심사를 거쳐 제2기 과정 입학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는 학사(Licence), 석사(Maitrise), 과학기술.경영학.경영전산학의 특수 석사(MST . MSG . MIAGE), 마쥐스떼르(Magistere) 과정이 있다
다) 제3기 과정(Troisieme Cycle)
석사(Maitrise) 학위 취득 후 진학하는 3기 과정은 크게 전문 특수 학위 DESS (Diplome d'Etudes Superieures Specialisees)와 박사(Doctorat) 과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DESS 학위는 석사 취득 후 1년에 걸쳐 취득하는 학위 과정으로 전문 직업인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박사 과정은 1985년 이래로 첫 1년의 DEA(Diplome d'Etudes Approfondies) 과정을 통과해야만 논문 등록이 가능하다. DEA 과정은 논문을 준비하기 전에 학생의 객관적인 실력을 확고히 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설된 학위로 수업 내용은 향후의 논문 주제와 크게 관련 없이 연간 4~5과목을 필히 이수해야 할 뿐 아니라 이와 병행하여 논문 주제와 관련된 개인 연구를 계속하여 학년 말에는 석사논문과 비슷한 양의 소논문 이나 자세한 논문 계획서, 혹은 논문의 일부를 제출하여 교수회의 심사를 통과해야만 학위를 취득할 수 있고, 이 이후에야 비로소 논문 과정에 등록할 수 있으며 그후 2~4년 안에 논문을 제출할 수 있다. DEA 첫 해에 학위 취득에 실패할 경우 1년에 한해 재등록이 가능하다.
(2) 그랑제꼴(Grandes ecoles)에서의 장기 고등교육
프랑스만의 독특한 고등교육시스템인 그랑제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랑스의 고등교육제도가 우리나라의 것과 다른 면을 우선 알아둘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교 졸업 후 학생들이 고등교육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대학으로 진학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프랑스의 경우는 우리의 대학 기능이 대학, 에꼴 및 그랑제꼴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고등교육을 받기 원하는 학생들은 장래의 인생 설계 및 자신의 현재 상황에 따라 적절한 곳으로 진학하게 도니다. 대학과 그랑제꼴의 차이점은 지원자격, 선발방법, 수업연한, 교육방법 및 졸업 후의 진로 등 여러 가지를 열거할 수 있다. 그랑제꼴은 3년제 또는 4년제로 운영되므로 졸업하려면, 바깔로레아 이후 최소 3년, 보통은 5-6년이 걸린다. 일반대학 졸업생보다 학업연한이 2-3년 길고 교육수준이 높을 뿐 아니라 실제적인 교육세 치중하는 것이 특징이다. 졸업생들은 대체로 관공서나 기업체의 고급 간부 및 엔지니어가 되게 된다. 따라서 우수한 학생들은 자연히 일반대학보다 그랑제꼴을 지망하게 되며 이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도 깊은 교육이 실시됨으로써 그랑제꼴은 프랑스 엘리트를 산출하는 본산지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 특징 : 3년간 지속되는 고급수준의 교육으로 여러 목적에 부합하는 프로그램을 갖고 있으며, 실무 교육을 위주로 향후 직업 분야와 긴밀한 연결을 갖고, 산업분야의 고위 실무자들이 교수진으로 참여한다. 기업에서의 인턴쉽, 산학협동연구 활발히 이루어진다.
소수 정원제로 각 학교마다300-800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과 응용 연구분야를 접하는 기회를 갖게 한다. 국제화를 도모하는 여러 활동과 프로그램이 있다.
200개 이상의 공학계열 그랑제꼴과 50개이상의 경영계열 그랑제꼴은 프랑스 고등 교육과 연구를 담당하는 정부 부처에 의해 공인된 학위를 수여한다.
(3) 전문특수학교(Ecoles)에서의 고등교육
일반대학과 그랑제꼴 이외에 다른 학교들을 전문 특수학교라고 일컫는데 주로, 예술, 건축, 농업, 법,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실무적이고 실질적인 직업교육을 위주로 하는 교육기관들로 국립에꼴과 사립에꼴이 있다.
추천자료
근대공교육제도의 수립
[교육행정] 교육제도와 행정조직, 장학행정
[교육]중국의 교육제도
교육제도
교육예산제도
[캐나다][캐나다문화][캐나다의 문화]캐나다의 역사, 캐나다의 지형 및 지질, 캐나다의 기후,...
북한교육제도와 정치
교육제도 문제점
2008년 2학기 문화와교육 중간시험과제물 B형(다른나라의 교육제도)
[교육사]고려와 조선의 교육제도
평생교육제도의 유형과 개혁 방향
기업 IBM (한국 IBM의 업적평가제도, IBM의 급여 체제, 성과평가와 관련된 IBM의 교육제도)
다문화 - 다문화가정을 위한 교육제도 (다문화의 이해, 해외의 다문화 사례, 다문화 가정과 ...
외국국가 중 한 국가를 선택하여 평생교육제도와 정책을 정리 - 평생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