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베이스의 기본 개념과 시스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데이터 베이스의 기본 개념
1.1.1 데이터 베이스의 정의
1.1.2 데이터 베이스 구축의 목적
1.2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1.2.1 스키마(구조)
1.2.2 데이터 베이스 언어
1.2.3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1.2.4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본문내용

language)
- 사용자로 하여 주어진 데이터 모형에 근거하여 조직된 데이터를 접근하거나
조작하도록 지원하는 언어
① 절차 DML : 일시에 1개의 레코드만 처리, 응용에 삽입되어 사용
② 비절차 DML : 일시에 다수 레코드 처리, 대화식사용 - 질의어
3) 데이터 제어어(data control language)
- 공용 데이터 베이스를 위한 자료제어 연산 기술
4) 질의어(query language) : 자료 검색어
- 단말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언어
- 비절차어의 일종으로 자연어로 되어 있음
- 일반적으로 데이터 조작언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
1.2.3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1) 정의
-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모든 요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각 단계별의 구조와 이들 사이의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 베이스 언어로 구성된 소프
트웨어
(2) 기능
- 데이터 베이스 정의 기능, 데이터 베이스 조작 기능, 데이터 베이스 제어 기능
(3) 구성요소
1) 파일 관리자(file manager) - 데이터 구조를 관리
2) 데이터 관리자(data manager) - 질의어와 저장 자료와의 인터페이스 제공
3) 질의 처리기(query processor) - 사용자 질의를 변환
4) 데이터 조작어 프리컴파일러(DML precompiler) - 호스트 언어를 질의어로 변환
5) 데이터 정의어 컴파일러(DDL compiler) - 데이터 정의어를 자료사전에 저장
6) 데이터 베이스 - 디스크 장치속에 구축된 파일
7) 데이터 사전 - 데이터 베이스의 구조에 관한 정보를 저장
1.2.4 데이터 베이스 사용자
(1)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 전체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권한을 수행하는 사람 또는 집단
- 업무
1) 데이터 베이스 설계와 운영
- DB의 구성요소 결정, 스키마 정의, 저장구조와 접근방법 선정, 보안정책 수립,
권한부여, 유효성 검사, 백업,회복절차의 수립, DB의 무결성유지, 성능향상,
DB의 재구성, 자료사전의 유지관리
2) 행정 및 불평 해결
3) 시스템 감시 및 성능 분석
# 자료사전(data dictionary)
-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의 도구
- 시스템내의 모든 객체들에 대한 정의나 명세에 대한 정보 수록
- 시스템 카탈로그(system catalog)
(2) 응용 프로그래머
- 컴퓨터 이용 전문가
(3) 일반 사용자
-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사람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1.04.15
  • 저작시기20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