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묘호란 丁卯胡亂, 인조5년(1627)
2. 병자호란 丙子胡亂, 인조14년(1636)
2. 병자호란 丙子胡亂, 인조14년(1636)
본문내용
이괄(李适)은 인조 반정에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 공신에 봉해지고, 그 뒤 평안도 병마 절도사로 좌천되어 불만을 가지고 있었는데, 거기다 반역을 꾀한다는 모함을 받아 아들이 잡혀 가자 부하인 기익헌 등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한때 서울을 점령하고, 인조는 공주로 피난했으나 서울 점령 하루 만에 정부군에 패하여 이괄은 부하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그러나 그 잔당들이 후금으로 달아나 선동함으로써 정묘호란이 일어나는 계기를 만들었다. 광해군을 몰아 내고 즉위한 인조가 친명 배금 정책을 쓰고, 명나라 장군 모문룡이 철산의 가도에 진을 치고 요동 회복을 꾀하자, 중국 대륙으로의 진출을 꾀하던 후금이 그들의 배후를 위협하는 조선을 먼저 침입했다.
추천자료
마틴기어의 귀향 (중세 프랑스의 모습과 당시 여성의 위치와 인식에 관한 고찰) 영화?
역사의 의미
과학 독후감
외경- 솔로몬의 지혜서
노인의 인생에 관한 인터뷰(노인과문화)
황석영 - 손님
REBT(인지정서행동치료)의 성격론, REBT(인지정서행동치료)의 A-B-C 이론, REBT(인지정서행동...
발해 건국과정의 복원
중학생 독서지도안
중학교 2학년 사회 교과서 분석- Ⅱ. 서양 근대사회의 발전과 변화 중 3.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연극과 희곡의 이해] ‘동승’
연극과 희곡의 이해 - ‘동승’ 작품 분석
세상읽기와 논술2학년 C형)최근 교학사 역사 교과서 문제를 둘러싼 논란들을 정리해보고 자신...
[범죄학] 유영철 소개, 유영철 범행 소개, 범죄 원인, 범행 원인, 범행 수법, 수법을 통한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