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홍 역
2. 풍 진
3. 선천성 풍진 증후군
2. 풍 진
3. 선천성 풍진 증후군
본문내용
의 감염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예 방
임신 초기에 이환되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예방 접종을 하며, 생후 15개월에 홍역, 풍진, 볼거리에 흔합 백신(MMR)으로 풍진 생백신을 접종한다. 예방접종후에 항체 생성률은 95%으로 이상으로 확실치는 않으나 항체는 아마도 평생 동안 지속한다. 예방접종의 부작용은 발진, 발열 및 림프절 종대가 접종 후 7∼10일경에 소수에서 관찰되며 일시적으로 관절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임신 초기 3개월, 특히 임신 첫달에 산모가 풍진에 이환되면 태내 감염을 일으켜서 신생아의 30∼60% 정도가 선천성 기형을 초래하기 쉽다.
▶ 임 상 증 상
가장 흔한 임상 증상으로는 자궁 내 발육 부전으로, 간비 종대, 전신적 림프절 종팡,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간염, 황달, 뇌수막염 등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백내장이 출생시부터 나타날 수 있고, 귀머거리, 심장 질환, 특히 동맥관 개존, 폐동맥 협착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지능 박약을 동반하느 소두증이 발생한다.
▶ 진 단
임상증상과 바이러스 분리 및 신생아 혈청에서 풍진 IgM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풍진 IgM 항체는 대부분 생후 6개월 까지 존재하며, 드물게 생후 2년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 감 별 진 단
임상 증상과 바이러스 분리 및 신생아 혈청에서 풍진 IgM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풍진 IgM 항체는 대부분 생후 6개월까지 존재하며, 드물게 생후 2년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 치 료 및 예 방
선천성 풍진에 대한 치료는 대증 요법과 교정 치료를 필요로 한다. 임신부가 풍진에 노출된 경우에는 혈청 내 풍진 항체를 검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임신부가 풍진 항체를 가지고 있으면 위험이 없으므로 안심해도 된다. 풍진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3주 후에 다시 검사를 하여 풍진 항체가 검출되면 감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두 번째 검사에도 항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3주 후에 세 번째 검사를 하여 그 때에도 풍진 항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안심하고 임신을 지속시키고 검출되면 감염된 것으로 인정한다. 감염이 되었다고 인정되면 임신 중절을 유도하고, 임신 중절이 채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근육용 면역 글로불린을 즉시 주사하나 예방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 예 방
임신 초기에 이환되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예방 접종을 하며, 생후 15개월에 홍역, 풍진, 볼거리에 흔합 백신(MMR)으로 풍진 생백신을 접종한다. 예방접종후에 항체 생성률은 95%으로 이상으로 확실치는 않으나 항체는 아마도 평생 동안 지속한다. 예방접종의 부작용은 발진, 발열 및 림프절 종대가 접종 후 7∼10일경에 소수에서 관찰되며 일시적으로 관절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 (Congenital rubella syndrome)
임신 초기 3개월, 특히 임신 첫달에 산모가 풍진에 이환되면 태내 감염을 일으켜서 신생아의 30∼60% 정도가 선천성 기형을 초래하기 쉽다.
▶ 임 상 증 상
가장 흔한 임상 증상으로는 자궁 내 발육 부전으로, 간비 종대, 전신적 림프절 종팡, 혈소판 감소증, 용혈성 빈혈, 간염, 황달, 뇌수막염 등이 동반되어 나타난다.
백내장이 출생시부터 나타날 수 있고, 귀머거리, 심장 질환, 특히 동맥관 개존, 폐동맥 협착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지능 박약을 동반하느 소두증이 발생한다.
▶ 진 단
임상증상과 바이러스 분리 및 신생아 혈청에서 풍진 IgM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풍진 IgM 항체는 대부분 생후 6개월 까지 존재하며, 드물게 생후 2년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 감 별 진 단
임상 증상과 바이러스 분리 및 신생아 혈청에서 풍진 IgM 항체를 검출함으로써 진단할 수 있다. 풍진 IgM 항체는 대부분 생후 6개월까지 존재하며, 드물게 생후 2년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
▶ 치 료 및 예 방
선천성 풍진에 대한 치료는 대증 요법과 교정 치료를 필요로 한다. 임신부가 풍진에 노출된 경우에는 혈청 내 풍진 항체를 검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임신부가 풍진 항체를 가지고 있으면 위험이 없으므로 안심해도 된다. 풍진 항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3주 후에 다시 검사를 하여 풍진 항체가 검출되면 감염된 것으로 간주한다. 두 번째 검사에도 항체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3주 후에 세 번째 검사를 하여 그 때에도 풍진 항체가 검출되지 않으면 안심하고 임신을 지속시키고 검출되면 감염된 것으로 인정한다. 감염이 되었다고 인정되면 임신 중절을 유도하고, 임신 중절이 채택되지 않는 경우에는 근육용 면역 글로불린을 즉시 주사하나 예방 효과는 확실하지 않다.
키워드
추천자료
AGE(acute gastroenteritis) 급성위장염
[문헌고찰]AGE 급성위장염
AGE case study(급성위장염)
[성인간호학]급성기관지염(AcuteBrochitis)
AGE(acute gstroenteritis) 급성 위장염
[아동간호학] 급성편도염 Acute Tonsilitis 실습 케이스스터디
[아동케이스] 사구체신염 <급성 사구체 신염 (Acute post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 :...
[아동간호학] 급성기관지염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폐렴 환자 사례 보고서 - 의학적 진단...
[아동간호학] 급성간염(acute hepatitis) 케이스스터디
간염, hepatitis, 급성간염, Acute hepatitis, 만성간염, Chronic hepatitis, 기타간염, Othe...
[2016/09]급성인두편도염
케이스 (APT 정의/원인, APT 증상/... 한방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 급성 횡단성 척수염(Acute transverse myelitis)
생활과건강 2017년+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생활과건강 제2형 당뇨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