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size of heart)
2) Problem list
① 기도개방 유지불능
② 영양결핍
3) 간호진단
①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날짜
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10/22
주관적 사정: "가래가 많아서 답답하고 숨쉬기가 힘들어"
객관적 사정:얕은 호흡을 하며 힘들어 보임.
호흡수 증가(32회/분)
단기목표:10/22일부터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으로 객담을 쉽게 배출 할 것이다.
장기목표:10/27일부터 객담이 거의 나오지 안정적으로 호흡을 할 것 이다.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반좌위를 취해 준다.
*객담의 양상과 양을 관찰한다.
*처방된 경구용 약물을 투여한다.
*심호흡 및 기침을 하도록 도와준다.
*기관지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면 기관지 배액이 필요하다.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체위배액, 타진, 진동법을 실시한다.
*호흡수 체크 결과 10/22일 AM11시 32회 였고 3/15일 24회, 3/19일 22회로 체크되었다.
*침대에 계실 때 반좌위 자세로 있도록 격려하였다.
*처방된 약물 코데날과 론펙트정을 경구 투여했다.
*객담양상 관찰 결과 처음에는 점액성 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묽어졌고 양이 줄었다.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깊게 흡기 한 후 호기 하도록 하였다.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반좌위는 폐확장을 크게 하며 횡격막에 대한 복부 장기의 압력을 감소 시킨다.
*수분은 객담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 하게 한다.
*효과적인 기침과 심호흡을 통해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은 폐내에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효율적인 기침과 호흡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대상자는 교육을 받은 후부터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하였고 10/27일이 되자 객담이 거의 나오지 않았으며 호흡이 20회/분 로 안정적이었다.
아직 완치된 것이 아니므로 추후관리가 필요하다.
②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결핍날짜
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10/23
주관적 사정:"일주일 전부터 입맛이 없어서 밥을 못 먹었어."
객관적 사정: 원래 체충보다 3kg 감소 하였다.
(76kg→73kg)
단기목표:10/24일에 대상자는 영양결핍의 위험요인을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10/27일부터는 기존양의 음식을 섭취 할 것이다.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정기적으로 체중 측정한다.
*적절한 영양을 제공한다.
*기호식품을 파악가 있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가스형성 음식을 피한다.
*필요시 처방된 비경구용 비타민제를 투여한다.
*뜨겁거나 찬음식을 피한다.
*필요시에는 영양사와 상담한다.
*구강간호를 자주 실시한다.
*식사환경이 즐거운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영양상태를 사정한 결과 대상자는 일주일 동안 음식 섭취를 거의 못하고 죽만 조금 드신 상태였다.
*10/27일이 되자 환자의 체중은 47kg이 되었다.
*대상자의 기호 식품은 빵이었으나 가스를 형성 할 수 있으므로 병원 밥을 제공하였다.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교육 하였다.
*처방된 비타민제 삐콤헥사주와 아스코르빈산주를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영양결핍의 위험요인을 교육하였다.
*양치를 잘 하고 항상 입안을 깨끗이 하도록 교육하였다.
*에너지 소모가 많으므로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한다.
*횡격막 운동을 제한하고 복부호흡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극한 온도변화는 경축성 기침을 촉진한다.
*구강이 청결하면 식욕을 돋구어 준다.
교육 후 대상자는 영양결핍의 위험요인을 말할 수 있었다.
3/27일부터는 대상자의 기존 섭취량 만큼의 음식을 섭취 할 수 있었다.
Ⅲ. 결론
○○병원은 복합병동으로 하나의 병동에 100개의 bed로 구성 되어 있다. 대부분의 환자가 노인분 들이었는데 호흡기 질환을 가진 분들이 많이 있었다. 그중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진단명이 기관지염 이었다. 기관지염은 처음에는 헛기침이 나고 가래가 나오기 시작한다. 점액 모양의 가래도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노란색이나 갈색의 고름 같은 가래가 많이 나오게 되고, 심한 기침과 함께 가래에 피가 섞이는 수도 있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기관지보다 더 깊은 곳에 세기관지로 염증이 확장되어 고열이 나고, 온몸이 나른해지며, 호흡이 곤란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세기관지염이나 폐렴이 생길 수도 있다. 미세먼지가 기관지나 폐로 들어오게 되면, 그것들이 점막을 자극한다. 그렇게 되면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은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안개가 심하게 낄 때는 마스크를 쓰거나 물을 자주 마시고, 집에 돌아오면 반드시 손발을 씻어야 한다. 수증기가 많은 강가에서는 안개가 오후까지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노약자를 동반한 산책이나 심한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다.
일교 차가 10 도 이상 커지고, 하루종일 남아 있는 안개 속에 건강에 해로운 대기오염 물질이 함께 녹아 있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아진다. 특히 짙은 안개 속에 수증기와 결합한 미세먼지를 들이 마시면, 습도가 높아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에 달라 붙으면서 호흡기의 기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급성기관지염의 케이스를 하면서 지난번 성인 시험을 봤던 것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바로 지난 기말고사였기 때문에 더 기억이 잘 났고,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그리고 책으로 열 번 보는 것보다 실제로 한 번 보는 게 훨씬 이해가 잘 가는 것을 느낌으로서 실습의 중요성을 느꼈다. 그러나 약을 상품명으로 외우지 않아서 그런지 생소한 게 많았다. 케이스를 잡음으로서 약에 대해서도 더 알게 되어 좋았고, 질병에 대해서도 깊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참고문헌
전시자 외 공저 성인 간호학-상, 현문사 2005
고일선 외 편저,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9
전미양 외 공저, 기본간호 수기 현문사 2003
http://www.cmc.or.kr/cmcservice
http://blog.daum.net/mediterms
http://myhome.hitel.net
http://www.kimsonline.co.kr
2) Problem list
① 기도개방 유지불능
② 영양결핍
3) 간호진단
①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기도개방 유지불능
날짜
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10/22
주관적 사정: "가래가 많아서 답답하고 숨쉬기가 힘들어"
객관적 사정:얕은 호흡을 하며 힘들어 보임.
호흡수 증가(32회/분)
단기목표:10/22일부터 효과적인 심호흡과 기침으로 객담을 쉽게 배출 할 것이다.
장기목표:10/27일부터 객담이 거의 나오지 안정적으로 호흡을 할 것 이다.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반좌위를 취해 준다.
*객담의 양상과 양을 관찰한다.
*처방된 경구용 약물을 투여한다.
*심호흡 및 기침을 하도록 도와준다.
*기관지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면 기관지 배액이 필요하다.
*적절한 수분을 공급한다.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체위배액, 타진, 진동법을 실시한다.
*호흡수 체크 결과 10/22일 AM11시 32회 였고 3/15일 24회, 3/19일 22회로 체크되었다.
*침대에 계실 때 반좌위 자세로 있도록 격려하였다.
*처방된 약물 코데날과 론펙트정을 경구 투여했다.
*객담양상 관찰 결과 처음에는 점액성 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묽어졌고 양이 줄었다.
*기침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깊게 흡기 한 후 호기 하도록 하였다.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하였다.
*반좌위는 폐확장을 크게 하며 횡격막에 대한 복부 장기의 압력을 감소 시킨다.
*수분은 객담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 하게 한다.
*효과적인 기침과 심호흡을 통해 의식적으로 호흡을 조절하는 방법은 폐내에 공기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며 비효율적인 기침과 호흡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를 줄인다.
대상자는 교육을 받은 후부터 효과적으로 객담을 배출하였고 10/27일이 되자 객담이 거의 나오지 않았으며 호흡이 20회/분 로 안정적이었다.
아직 완치된 것이 아니므로 추후관리가 필요하다.
②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결핍날짜
사정
목표
계획
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10/23
주관적 사정:"일주일 전부터 입맛이 없어서 밥을 못 먹었어."
객관적 사정: 원래 체충보다 3kg 감소 하였다.
(76kg→73kg)
단기목표:10/24일에 대상자는 영양결핍의 위험요인을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목표:10/27일부터는 기존양의 음식을 섭취 할 것이다.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정기적으로 체중 측정한다.
*적절한 영양을 제공한다.
*기호식품을 파악가 있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한다.
*가스형성 음식을 피한다.
*필요시 처방된 비경구용 비타민제를 투여한다.
*뜨겁거나 찬음식을 피한다.
*필요시에는 영양사와 상담한다.
*구강간호를 자주 실시한다.
*식사환경이 즐거운 분위기가 되도록 한다.
*영양상태를 사정한 결과 대상자는 일주일 동안 음식 섭취를 거의 못하고 죽만 조금 드신 상태였다.
*10/27일이 되자 환자의 체중은 47kg이 되었다.
*대상자의 기호 식품은 빵이었으나 가스를 형성 할 수 있으므로 병원 밥을 제공하였다.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도록 교육 하였다.
*처방된 비타민제 삐콤헥사주와 아스코르빈산주를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영양결핍의 위험요인을 교육하였다.
*양치를 잘 하고 항상 입안을 깨끗이 하도록 교육하였다.
*에너지 소모가 많으므로 고단백, 고열량 식이를 한다.
*횡격막 운동을 제한하고 복부호흡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극한 온도변화는 경축성 기침을 촉진한다.
*구강이 청결하면 식욕을 돋구어 준다.
교육 후 대상자는 영양결핍의 위험요인을 말할 수 있었다.
3/27일부터는 대상자의 기존 섭취량 만큼의 음식을 섭취 할 수 있었다.
Ⅲ. 결론
○○병원은 복합병동으로 하나의 병동에 100개의 bed로 구성 되어 있다. 대부분의 환자가 노인분 들이었는데 호흡기 질환을 가진 분들이 많이 있었다. 그중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진단명이 기관지염 이었다. 기관지염은 처음에는 헛기침이 나고 가래가 나오기 시작한다. 점액 모양의 가래도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노란색이나 갈색의 고름 같은 가래가 많이 나오게 되고, 심한 기침과 함께 가래에 피가 섞이는 수도 있다.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기관지보다 더 깊은 곳에 세기관지로 염증이 확장되어 고열이 나고, 온몸이 나른해지며, 호흡이 곤란한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세기관지염이나 폐렴이 생길 수도 있다. 미세먼지가 기관지나 폐로 들어오게 되면, 그것들이 점막을 자극한다. 그렇게 되면 기관지가 약하신 분들은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안개가 심하게 낄 때는 마스크를 쓰거나 물을 자주 마시고, 집에 돌아오면 반드시 손발을 씻어야 한다. 수증기가 많은 강가에서는 안개가 오후까지 오래 남아있기 때문에 노약자를 동반한 산책이나 심한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다.
일교 차가 10 도 이상 커지고, 하루종일 남아 있는 안개 속에 건강에 해로운 대기오염 물질이 함께 녹아 있기 때문에 호흡기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아진다. 특히 짙은 안개 속에 수증기와 결합한 미세먼지를 들이 마시면, 습도가 높아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에 달라 붙으면서 호흡기의 기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급성기관지염의 케이스를 하면서 지난번 성인 시험을 봤던 것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바로 지난 기말고사였기 때문에 더 기억이 잘 났고, 아는 만큼 보인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다. 그리고 책으로 열 번 보는 것보다 실제로 한 번 보는 게 훨씬 이해가 잘 가는 것을 느낌으로서 실습의 중요성을 느꼈다. 그러나 약을 상품명으로 외우지 않아서 그런지 생소한 게 많았다. 케이스를 잡음으로서 약에 대해서도 더 알게 되어 좋았고, 질병에 대해서도 깊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좋았다.
※참고문헌
전시자 외 공저 성인 간호학-상, 현문사 2005
고일선 외 편저,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9
전미양 외 공저, 기본간호 수기 현문사 2003
http://www.cmc.or.kr/cmcservice
http://blog.daum.net/mediterms
http://myhome.hitel.net
http://www.kimsonline.co.kr
추천자료
신체질환환자 자족간호
소아과(med)
Acute bronchiolitis
Mycoplasma pneumonia 케이스
학교보건
약리학 약물에 관한 질문 답변
MICU case study - COPD 만성폐쇄성 폐질환
보건교육 계획안(흡연)
[폐렴][폐렴의 의미][폐렴의 분류][폐렴의 원인][폐렴의 증상][폐렴과 폐암][폐렴의 치료 방...
기관지 천식 (Asthmatic bronchiolitis) case study
소아과 실습 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만성신부전(Chronic Kidney disease)
약물요법 (Opioid) (Opioid analgesics(마약성 진통제)의 특징. Clinical use of opioid(마약...
베이비부머세대의 건강한 노후 준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