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모델교체 주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모델 싸이클과 경쟁력

모델교체 주기의 실태

제품개발력이 관건

미일 자동차산업의 제품개발력 비교(1980년대)

모델교체 주기의 연장

주기 연장의 한계

본문내용

-------------+----+----
자료: T.Fujimoto et al, "Product Development Benchmarking", IMVP. 1995.
구미기업들의 제품개발력이 강화된 것은 그 자체로도 구미차의 경쟁력이
강화된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공급측면에서 모델교체 주기를 단축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모델교체 주기의 연장을 검토하고 있는
일본기업들을 긴장시키기에 충분하다.
▶ 結論 및 示唆點 ◀
결론적으로 일본 자동차산업에서 논의되고 있는 모델교체 주기의 연장은 그
필요성이 크지만 전면적 실시에는 현실적 제약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자동차산업의 4년주기 모델교체는 린 생산방식과 더불어 일본 자동차산업이
오늘날 세계 최고수준의 경쟁력을 보유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지만 한편으로는
높은 개발투자비 부담으로 인해 동산업의 수익성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 사실이다. 지금과 같은 낮은 수익구조로는 세계적 추세의 대체에너지차
개발은 물론 안전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투자비 확보와 만성적인 노동력 부족
해소를 위한 자동화 투자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점에서 주기 연장의
타당성은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수익성 악화가 반드시 짧은 모델교체
주기에만 그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며, 무엇보다도 주기 연장이 처음
제기되었던 1990년대 초반과는 달리 생산성과 품질, 제품개발력, 부품조달 등
구미국가와의 경쟁력 격차가 크게 축소된 현실이 고려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4년주기를 연장하려는 배경에는 5년 또는 6년 주기로도 세계시장에서
여전히 우월적 지위를 가질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나 마쯔다의
경영권 상실에서 볼 수 있듯이 이제 세계시장에서 지배적 위치는 크게
약화되었다. 더욱이 제품개발력이 크게 강화된 구미기업들이 오히려 모델
싸이클을 단축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점도 주기 연장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일본기업들은 구미기업들의 모델 전략과 경쟁력 동태를
보아가며 주기연장의 완급을 조절할 것으로 보인다. 경우에 따라서는 모델 수의
삭감(모델 베리에이션의 축소), 부품 공통화 등 다른 합리화 조치를 강화하는
대신 모델교체는 현행의 4년주기를 그대로 유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개발
코스트를 줄이는 데 있어서 모델 싸이클의 연장보다 모델 베리에이션의 축소가
더욱 효과적인 점, 세단 형의 모델은 사실상 과잉이며 이것이 개발로드의
과부하, 부품의 소롯트 생산, 부품재고 누적은 물론 조립 생산성까지를
떨어뜨린다는 주장(藤本隆宏:1994)도 이와 같은 전망의 근거가 된다.
우리나라 자동차업체들은 지난해 현대가 엘란트라의 후속모델인 아반떼와
신모델인 마르샤를 내 놓은 데 이어 금년에는 쏘나타Ⅲ를 페이스 리프트 하였고
기아와 대우 역시 지난해와 금년에 각각 크레도스와 신형 프린스를 출시하는 등
독자모델을 크게 늘리고 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의 제품개발력이 강화된
결과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국내 자동차시장이 공급자 시장에서 수요자 시장으로
바뀌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더욱이 지난해 한미 자동차협상이후 국내
자동차시장은 사실상 개방된 것이나 마찬가지며 얼마후면 일본차 수입까지
허용될 전망이어서 국내기업들은 외국차와도 경쟁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우리기업들은 국산차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한편 모델교체 주기와 다양성에
관한 경쟁전략에 대해서도 연구가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일본
자동차산업에서의 주기연장 논의와 그 한계는 우리산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參考文獻>
기아경제연구소, 『자동차경제』, 각호. --------------(번역:1995),
『자동차산업 21세기 시나리오』, 경영참고자료.
오규창(1995), 『자동차산업 제품개발과 부품조달체제의 국제비교』,
연구보고서 제 364호, 산업연구원. ------(1991), 일본 자동차산업의
모델교체주기 ,『산업동향』, 제9권 11호.
アイア-ルツ(1993), 『モデルチェンヅの 實態と將來計劃』, 特別企劃調査.
藤本隆宏·武石彰(1994), 『自動車産業 21世紀へのツナリオ』.
FOURIN, 『自動車 調査月報』, 1991. 8.
Clark, K. and Fujimoto, T.(1991),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Strategy, Organization, Management in the world Auto Industry.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and Wheelwright, S(1975), The
Product development Challenge: Competing through Speed, Quality and
Creativity.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Deschamps, J. and Nayak, P.(1995), Product Juggernauts: How Companies
Mobilize to Generate a Stream of Market Winners.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Fujimoto, T and Elison, D(1995), "Product Development Benchmarking",
IMVP Research Briefing Paper, 1995.
Nobeoka, K. and Cusumano, M.(1993), Multi-Project Management, IMVP
Research Briefing Paper.
Oh, K(1996), "Korea's Automotive Industry:A Study on the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Production System", KIET Occasional Paper.
Wester, G, "Vehicle Product Cycles and Their Market Effects", DRI U.S.
Review, 1993.12.
【Copyright ⓒ 1996 by Kia Economic Research Institute】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1.07.07
  • 저작시기20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