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올림픽 마케팅의 도입과 변천
2. 올림픽의 비즈니스 모델
3.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2. 올림픽의 비즈니스 모델
3.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본문내용
censing)
- 올림픽 개최지 내에서 올림픽과 관련한 의류, 기념품 등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여 활동하는 대가로 지불
·시드니에는 총 73개 기업이 참여했고 전체 금액은 6,900만 달러 (1개 기업 당 95만 달러)
□ 시드니의 경기장 입장수입은 총 6,900만 달러로 추정
개최국의 흑자달성이 용이한 구조
□ 올림픽 마케팅을 통한 수입은 IOC 차원이 70%, 개최국 조직위원(OCOG)차원이 30% 정도를 차지
□ 올림픽 마케팅 수익금이 가장 많이 배분되는 곳은 개최국 조직위원회
-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개최국 조직위원회가 총 수입금의 68.1%인 18.1억 달러를 배분 받았다.
□ 올림픽 마케팅으로 창출되는 수익의 68%가 개최국 조직위원회에 배분되어 개최국이 상당히 유리한 구조
- 개최국 입장에서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인프라 투자 및 경비 지출의 효율성을 기한다면 흑자 달성이 용이
·시드니의 경우 인프라 투자 및 경비지출을 18억 달러 미만으로 줄일 수 있으면 흑자 실현
3.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개최지 경제에 미치는 효과
□ 올림픽은 생산유발과 관광수입 증대 등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유발
- 단기적으로 경기시설 및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생산을 유발하며 파생적으로 타 부문의 소득과 고용을 증대
- 대회기간 중 관광수입과 이에 따른 기타 산업의 파급효과도 상당 수준
□ 무형의 효과를 유발하고 이는 장기적으로 경제적 효과를 발생
- 개최 지역 및 국가의 국제적 위상 제고와 교역기회 증대
·개도국, 낙후지역의 경우 올림픽을 개최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
□ 올림픽 개최는 기회비용 등 일부 부정적 효과도 야기
- 올림픽 관련 투자에 집중함으로써 기타 분야에 대한 투자기회가 상실되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발생
- 대회조직위원회가 흑자를 내더라도 개최지 지역정부나 중앙정부는 막대한 재정적자를 경험할 수 있음
·1992년 바르셀로나 대회조직위원회는 3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나 자치단체는 21억 달러, 스페인정부는 40억 달러의 부채를 떠 안았다.
□ 시드니 대회는 호주 경제에 65억 달러의 파급효과가 있고 총 9만 명의 직접적인 고용을 창출한 것으로 추정(앤더슨 컨설팅)
- 시드니 대회가 확정된 1994년 후반부터 올림픽 이후 2006년 상반기까지 12년 동안 호주 경제활동이 0.12% 늘어남을 의미
- 관광객 150만 명 증가와 27억 달러의 관광수입 증가도 예상
□ 88년 서울 올림픽의 경우 1조 8,000억 원의 소득유발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
- 당시 환율로 환산하면 26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GNP대비 0.4% 수준)
- 1984년 LA 대회의 경제적 효과는 14억 달러, 1996년 애틀랜타 대회의 경제적 효과는 35억 달러로 추정
- 고용창출 효과는 LA 대회가 7만5천명, 애틀랜타 대회가 8만3천명으로 추산되며 서울대회는 간접적 효과를 포함하여 33만6천명으로 추정
참가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
□ 기업들의 NOC 스폰서십 참가 등을 통해 스포츠 관련 산업 활성화
- 현재 40여개국의 NOC가 자국의 기업과 스폰서십을 활용
- 올림픽 관련 마케팅 전략으로 상품에 대한 수요를 환기
- 스포츠 분야의 관심 제고로 관련 산업 활성화
□ 각국은 올림픽에 참가하여 돈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무형의 효과를 거둠
- 국가의 존재와 국력을 과시함으로써 통상 외교 및 이미지 강화
·이번 시드니 대회 개막식에서 남북한 동시 입장 등
- 올림픽기간 중 국민의 관심과 열정을 결집시키고 자긍심을 고취
□ 특히 국가가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국민에게 희망을 줌
- 타임지가 역대 가장 훌륭한 올림피안으로 선정했던 파모 누르미는 러시아로부터 독립(1917년)한 직후의 핀란드 국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
·누르미는 1924년 파리대회, 1928년 암스테르담 대회에서 모두 9개
의 금메달과 3개의 은메달을 획득
- 1937년 베를린 대회에서 거둔 손기정 선수의 마라톤 금메달은 식민지 한국인의 자부심을 높였음
- 1952년 헬싱키 대회와 1956년 멜버른 대회에서 거둔 일본 수영 선수들의 선전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침체되어 있던 일본인들을 결집시켰음
□ 올림픽은 인류의 축제로서 국가, 지역, 인종 등 관련 이슈를 부각시키고 그 개선을 유도하기도 함
- 1972년 뮌헨 대회 당시 남자 육상 400m에서 1, 2위를 한 흑인 선수들이 검은 장갑을 끼고 시상대에 올라 인종차별에 대해 시위
-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상업성을 자제하고 환경 테마를 강조
- 올림픽 개최지 내에서 올림픽과 관련한 의류, 기념품 등을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획득하여 활동하는 대가로 지불
·시드니에는 총 73개 기업이 참여했고 전체 금액은 6,900만 달러 (1개 기업 당 95만 달러)
□ 시드니의 경기장 입장수입은 총 6,900만 달러로 추정
개최국의 흑자달성이 용이한 구조
□ 올림픽 마케팅을 통한 수입은 IOC 차원이 70%, 개최국 조직위원(OCOG)차원이 30% 정도를 차지
□ 올림픽 마케팅 수익금이 가장 많이 배분되는 곳은 개최국 조직위원회
-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개최국 조직위원회가 총 수입금의 68.1%인 18.1억 달러를 배분 받았다.
□ 올림픽 마케팅으로 창출되는 수익의 68%가 개최국 조직위원회에 배분되어 개최국이 상당히 유리한 구조
- 개최국 입장에서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인프라 투자 및 경비 지출의 효율성을 기한다면 흑자 달성이 용이
·시드니의 경우 인프라 투자 및 경비지출을 18억 달러 미만으로 줄일 수 있으면 흑자 실현
3. 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개최지 경제에 미치는 효과
□ 올림픽은 생산유발과 관광수입 증대 등 직접적인 경제적 효과를 유발
- 단기적으로 경기시설 및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생산을 유발하며 파생적으로 타 부문의 소득과 고용을 증대
- 대회기간 중 관광수입과 이에 따른 기타 산업의 파급효과도 상당 수준
□ 무형의 효과를 유발하고 이는 장기적으로 경제적 효과를 발생
- 개최 지역 및 국가의 국제적 위상 제고와 교역기회 증대
·개도국, 낙후지역의 경우 올림픽을 개최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
□ 올림픽 개최는 기회비용 등 일부 부정적 효과도 야기
- 올림픽 관련 투자에 집중함으로써 기타 분야에 대한 투자기회가 상실되는 구축효과(crowding-out effect)가 발생
- 대회조직위원회가 흑자를 내더라도 개최지 지역정부나 중앙정부는 막대한 재정적자를 경험할 수 있음
·1992년 바르셀로나 대회조직위원회는 3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으나 자치단체는 21억 달러, 스페인정부는 40억 달러의 부채를 떠 안았다.
□ 시드니 대회는 호주 경제에 65억 달러의 파급효과가 있고 총 9만 명의 직접적인 고용을 창출한 것으로 추정(앤더슨 컨설팅)
- 시드니 대회가 확정된 1994년 후반부터 올림픽 이후 2006년 상반기까지 12년 동안 호주 경제활동이 0.12% 늘어남을 의미
- 관광객 150만 명 증가와 27억 달러의 관광수입 증가도 예상
□ 88년 서울 올림픽의 경우 1조 8,000억 원의 소득유발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
- 당시 환율로 환산하면 26억 달러의 경제적 효과(GNP대비 0.4% 수준)
- 1984년 LA 대회의 경제적 효과는 14억 달러, 1996년 애틀랜타 대회의 경제적 효과는 35억 달러로 추정
- 고용창출 효과는 LA 대회가 7만5천명, 애틀랜타 대회가 8만3천명으로 추산되며 서울대회는 간접적 효과를 포함하여 33만6천명으로 추정
참가국 경제에 미치는 효과
□ 기업들의 NOC 스폰서십 참가 등을 통해 스포츠 관련 산업 활성화
- 현재 40여개국의 NOC가 자국의 기업과 스폰서십을 활용
- 올림픽 관련 마케팅 전략으로 상품에 대한 수요를 환기
- 스포츠 분야의 관심 제고로 관련 산업 활성화
□ 각국은 올림픽에 참가하여 돈으로 측정할 수 없는 무형의 효과를 거둠
- 국가의 존재와 국력을 과시함으로써 통상 외교 및 이미지 강화
·이번 시드니 대회 개막식에서 남북한 동시 입장 등
- 올림픽기간 중 국민의 관심과 열정을 결집시키고 자긍심을 고취
□ 특히 국가가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국민에게 희망을 줌
- 타임지가 역대 가장 훌륭한 올림피안으로 선정했던 파모 누르미는 러시아로부터 독립(1917년)한 직후의 핀란드 국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
·누르미는 1924년 파리대회, 1928년 암스테르담 대회에서 모두 9개
의 금메달과 3개의 은메달을 획득
- 1937년 베를린 대회에서 거둔 손기정 선수의 마라톤 금메달은 식민지 한국인의 자부심을 높였음
- 1952년 헬싱키 대회와 1956년 멜버른 대회에서 거둔 일본 수영 선수들의 선전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침체되어 있던 일본인들을 결집시켰음
□ 올림픽은 인류의 축제로서 국가, 지역, 인종 등 관련 이슈를 부각시키고 그 개선을 유도하기도 함
- 1972년 뮌헨 대회 당시 남자 육상 400m에서 1, 2위를 한 흑인 선수들이 검은 장갑을 끼고 시상대에 올라 인종차별에 대해 시위
-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상업성을 자제하고 환경 테마를 강조
추천자료
중국의 WTO 가입 및 올림픽개최가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및 대응방안
중국의 WTO 가입 및 올림픽 유치가 우리기업에 미치는 영향
2000년 시드니 환경 올림픽
인라인 탈만한 장소- 올림픽공원
장애인 스포츠 장애인 올림픽을 중심으로
장애인 체육 -장애인 올림픽을 중심으로-
[페럼림픽] 장애인올림픽(페럼림픽)의 기원과 발전과정 및 현실과 문제점 방안
[국제행정론]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노력의 거버넌스적 의미
중국의 반한감정 - 2008 베이징 올림픽으로 본 반한감정
[스포츠] 『장애인올림픽의 역사(패럴림픽)』에 대하여
[국제행정론]평창동계올림픽 유치와 관련 글로벌 거버넌스와 로컬 거버넌스 차원의 해석
[독후감] 오쿠다 히데오의 <올림픽의 몸 값>을 읽고
국제사회스포츠의 역사 (올림픽 역사)
국제사회스포츠의 역사 (올림픽의 역사) 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