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目 次
서 논
본 논
Ⅰ. 금강류역의 범위
Ⅱ. 주구묘
1. 주구묘의 입지
2. 주구묘의 구조
1) 분구
2) 평면형태
3) 매장시설
3. 주구묘와 주구토광묘의 비교
Ⅲ. 수혈식석곽분
1. 수혈식석곽분의 입지
2. 수혈식석곽분의 구조분석
3. 수혈식석곽분의 매장양식
Ⅳ. 횡구식석곽분
1. 횡구식석곽분의 유형분류
2. 횡구식석곽분의 변화과정
1) 제Ⅰ유형의 특징
2) 제Ⅱ유형의 특징
Ⅴ. 횡혈식석실분
1. 횡혈식석실분의 입지
2. 횡혈식석실분의 구조
1) 분구
2) 평면상태
3) 석실위치
4) 천장형태
5) 바닥시설
6) 연도
3. 횡혈식석실분의 유형분류
4. 횡혈식석실분의 전개과정
1) Ⅰ期 (도입기)
2) Ⅱ期 (정착기)
3) Ⅲ期 (확산기)
4) Ⅳ期 (쇠퇴기)
결 논
첨 부 (도표 1, 2)
참고문헌
서 논
본 논
Ⅰ. 금강류역의 범위
Ⅱ. 주구묘
1. 주구묘의 입지
2. 주구묘의 구조
1) 분구
2) 평면형태
3) 매장시설
3. 주구묘와 주구토광묘의 비교
Ⅲ. 수혈식석곽분
1. 수혈식석곽분의 입지
2. 수혈식석곽분의 구조분석
3. 수혈식석곽분의 매장양식
Ⅳ. 횡구식석곽분
1. 횡구식석곽분의 유형분류
2. 횡구식석곽분의 변화과정
1) 제Ⅰ유형의 특징
2) 제Ⅱ유형의 특징
Ⅴ. 횡혈식석실분
1. 횡혈식석실분의 입지
2. 횡혈식석실분의 구조
1) 분구
2) 평면상태
3) 석실위치
4) 천장형태
5) 바닥시설
6) 연도
3. 횡혈식석실분의 유형분류
4. 횡혈식석실분의 전개과정
1) Ⅰ期 (도입기)
2) Ⅱ期 (정착기)
3) Ⅲ期 (확산기)
4) Ⅳ期 (쇠퇴기)
결 논
첨 부 (도표 1,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제속성을 충실히 가지고 축조된다. 이는 초기유형이 도입되는 단계에서 지역의 土着墓制 영향아래 축조되는 양상과 전혀 다르다.
3)Ⅲ期 (擴散期)
제Ⅲ기는 왕릉지역인 扶餘 陵山里에서 전축분의 영향으로 사비 1식이 출현하지만, 짧은 기간 축조되다가 사비 2식으로 변화되어 정형을 이룬다. 사비 2식 분포범위가 백제 전지역으로 넓어지고 군집을 이루고 있는 예도 확인된다. 고분 구조의 제속성은 중앙과 지방의 것들이 공통적인데 다만 규모면에서 차이가 있어 신분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에서는 사비 2식의 영향으로 웅진 3유형과 사비 3식이 축조되어 이들 세유형이 공반하는 예가 많다. 웅진3유형은 細長된 평면, 뒷벽에 板石을 垂直으로 세워 축조하는 수법, 그리고 축조석재에서 판석으로 이행하는 점 등은 모두 사비유형에서 영향을 받고 있지만, 고분의 일차적인 속성인 연도의 위치 곧 偏在연도의 전통은 웅진유형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사비3식은 사비2식과 달리 축조석재를 괴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지역적 특색이 나타나고 있다.
4)Ⅳ期 (衰退期)
Ⅳ기에 陵山里에서는 사비 2식의 제속성을 계승한 사비 4식이 축조된다. 두 유형의 차이는 천장형태가 괴임식에서 平天障으로 변화되는 간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武王陵이라 전해지는 益山 雙陵은 전형적인 사비 2식으로 陵山里의 왕릉급 고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곧 중앙의 중심묘제 전통이 고수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중앙과 달리 사비 2식의 연도부가 축약 간략화되어 변화가 이루어져 제Ⅱ유형 횡구식석곽분이 등장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분포양상은 사비 2식과 사비 3식, 웅진 3식과 공존하고 있는 예가 많으며, 구조적인 면에서 보면 공존하는 횡혈식석실분의 축조석재나 수법에서는 유사하나 연도부분에 해당하는 입구를 횡구부로 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 된다.
곧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전통은 7세기 중반경에 縮約과 退化단계를 거쳐 횡구식석곽분이 다시 발생하며 이러한 전통은 統一新羅를 거쳐 高麗時代까지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 添附) 圖表2. 錦江流域 百濟古墳 展開過程
結 論
한강유역에서 성장한 백제는 고구려 세력에 밀려 금강유역인 공주와 부여로 천도하면서 정치·문화의 중심지는 한강에서 금강유역으로 옮겨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단편을 문화적 전통성이 강한 '고분'이라는 고고학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살펴본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백제시대의 고분문화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錦江流域이 백제에 편입되기 이전에는 서해안을 중심으로 周溝墓, 내륙지역에서는 周溝土壙墓가 일반적인 墓制로서 馬韓勢力에 의해 築造되고 있었다. 주구묘는 3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세력의 팽창으로 더 이상 축조되지 않고 이를 축조한 집단은 백제에 편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榮山江流域에서는 주구묘의 전통을 계승하여 대형 분구묘로 변화 발전된다. 이러한 사실은 두 묘제간의 제속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금강유역에는 수혈식석곽분이 자리잡는다. 華城 馬 里 지역의 조사결과를 보면 수혈식석곽분은 주구토광묘에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 군집을 이루고 있는 수혈실석곽분 내부에서 社會分化에 따른 位階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세력은 한강유역의 백제세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토기를 통해서 알 수 있고, 백제의 공주천도 기반세력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공주천도를 계기로 횡혈식석실분은 백제 지배층의 主墓制로 채택된다. 중앙묘제인 횡혈식석실분의 지방확산은 곧 백제 중앙세력의 지방통합을 의미하는데 지역에 따라 시간적인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횡혈식석실분의 영향으로 수혈식석곽분지대에서는 橫口式石槨墳이라는 두 묘제의 속성을 공통으로 가지는 유형이 나타난다. 횡구식석곽분은 횡혈식석실분의 영향인 제Ⅰ유형도 있지만, 횡혈식석실분의 退化·縮約에서 비롯된 제Ⅱ유형이 다시 출현하는데, 이는 연도를 제외한 諸屬性이 횡혈식석실분과 동일하다. 5세기중반 이후 금강유역에서 주묘제로 횡혈식석실분이 사용되며, 6세기중반 이후는 백제 전지역에 확산되게 된다. 이후 금강유역 뿐아니라 백제 대부분의 지역에서 土着墓制를 대신해 횡혈식석실분을 채용하는데, 이는 백제의 완전한 지방통치를 알 수 있게 하는 考古學的 證據인 것이다.
參 考 文 獻
1. 發掘報告書
文化財硏究所, 『益山 笠店里古墳 發掘調査報告書』, 1989
尹世英·李弘種, 『寬倉里 周溝墓』, 高麗大學校 埋葬文化硏究所·(株)大宇, 1997
이근욱, 「華城 馬 里古墳群 發掘調査槪要」, 『第 40回 全國 歷史學大會 考古學分野 發表要旨』, 1997
韓永熙·咸舜燮, 「天安 淸堂洞 第 4次 發掘調査報告」, 『淸堂洞』, 國立博物館 古蹟 調査報告 第 25冊, 1993
咸舜燮·金在弘, 『淸堂洞Ⅱ』, 國立博物館 古蹟調査報告 第 27冊, 1995
湖巖美術館 發掘團, 『96 華城 馬 里古墳群 發掘調査 中間報告』, 1996
2. 著書
姜仁求, 『百濟古墳 硏究』, 一志社, 1977
金基雄, 『古墳』 빛깔있는 책들 37, 대원사, 1997
李南奭, 『百濟石室墳硏究』, 學硏文化社, 1995
3. 論文
姜仁求, 「周溝土壙墓의 몇 가지 問題」, 『精神文化硏究』17-3, 通卷 56互, 1994
金元龍, 「百濟古墳에 대한 몇 가지 觀察」, 『百濟硏究』特輯號, 忠南大學校 百濟硏究 所, 1982
成正鏞, 「3∼5世紀 錦江流域 馬韓·百濟墓制의 樣相」, 『韓國考古學會 第 22回 韓國考 古學 全國大會 發表要旨』, 1998
李南奭, 「百濟竪穴式石室墳 -變遷과 橫口式의 發生-」, 『韓國考古學會 第 5回 發表要 旨』, 1993
李南奭, 「百濟橫穴式石室墳 硏究」, 『百濟論業』 第 4輯, 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94
李南奭, 『百濟 石室墳墓制의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4
林永珍, 「榮山江流域의 異形墳丘」, 『湖南考古學會 第 4回 學術大會 發表要旨』, 1996
林永珍, 「咸平 禮德里 萬家村古墳과 榮山江流域 古墳의 周溝」, 『第 30回 歷史學大會 發表要旨』, 1996
全榮來, 「古墳(2) -湖南地方-」, 『韓國史論』15, 國史編纂委員會, 1985
崔完奎, 『錦江流域 百濟古墳의 硏究』, 崇實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7
3)Ⅲ期 (擴散期)
제Ⅲ기는 왕릉지역인 扶餘 陵山里에서 전축분의 영향으로 사비 1식이 출현하지만, 짧은 기간 축조되다가 사비 2식으로 변화되어 정형을 이룬다. 사비 2식 분포범위가 백제 전지역으로 넓어지고 군집을 이루고 있는 예도 확인된다. 고분 구조의 제속성은 중앙과 지방의 것들이 공통적인데 다만 규모면에서 차이가 있어 신분상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지방에서는 사비 2식의 영향으로 웅진 3유형과 사비 3식이 축조되어 이들 세유형이 공반하는 예가 많다. 웅진3유형은 細長된 평면, 뒷벽에 板石을 垂直으로 세워 축조하는 수법, 그리고 축조석재에서 판석으로 이행하는 점 등은 모두 사비유형에서 영향을 받고 있지만, 고분의 일차적인 속성인 연도의 위치 곧 偏在연도의 전통은 웅진유형을 고수하고 있다. 한편 사비3식은 사비2식과 달리 축조석재를 괴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지역적 특색이 나타나고 있다.
4)Ⅳ期 (衰退期)
Ⅳ기에 陵山里에서는 사비 2식의 제속성을 계승한 사비 4식이 축조된다. 두 유형의 차이는 천장형태가 괴임식에서 平天障으로 변화되는 간략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武王陵이라 전해지는 益山 雙陵은 전형적인 사비 2식으로 陵山里의 왕릉급 고분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곧 중앙의 중심묘제 전통이 고수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방에서는 중앙과 달리 사비 2식의 연도부가 축약 간략화되어 변화가 이루어져 제Ⅱ유형 횡구식석곽분이 등장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분포양상은 사비 2식과 사비 3식, 웅진 3식과 공존하고 있는 예가 많으며, 구조적인 면에서 보면 공존하는 횡혈식석실분의 축조석재나 수법에서는 유사하나 연도부분에 해당하는 입구를 횡구부로 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 된다.
곧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전통은 7세기 중반경에 縮約과 退化단계를 거쳐 횡구식석곽분이 다시 발생하며 이러한 전통은 統一新羅를 거쳐 高麗時代까지 지속된 것으로 추정된다.
- 添附) 圖表2. 錦江流域 百濟古墳 展開過程
結 論
한강유역에서 성장한 백제는 고구려 세력에 밀려 금강유역인 공주와 부여로 천도하면서 정치·문화의 중심지는 한강에서 금강유역으로 옮겨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의 단편을 문화적 전통성이 강한 '고분'이라는 고고학 자료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살펴본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백제시대의 고분문화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錦江流域이 백제에 편입되기 이전에는 서해안을 중심으로 周溝墓, 내륙지역에서는 周溝土壙墓가 일반적인 墓制로서 馬韓勢力에 의해 築造되고 있었다. 주구묘는 3세기 중엽을 전후한 시기에 백제세력의 팽창으로 더 이상 축조되지 않고 이를 축조한 집단은 백제에 편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榮山江流域에서는 주구묘의 전통을 계승하여 대형 분구묘로 변화 발전된다. 이러한 사실은 두 묘제간의 제속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금강유역에는 수혈식석곽분이 자리잡는다. 華城 馬 里 지역의 조사결과를 보면 수혈식석곽분은 주구토광묘에서 변화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 군집을 이루고 있는 수혈실석곽분 내부에서 社會分化에 따른 位階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세력은 한강유역의 백제세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토기를 통해서 알 수 있고, 백제의 공주천도 기반세력이 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공주천도를 계기로 횡혈식석실분은 백제 지배층의 主墓制로 채택된다. 중앙묘제인 횡혈식석실분의 지방확산은 곧 백제 중앙세력의 지방통합을 의미하는데 지역에 따라 시간적인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횡혈식석실분의 영향으로 수혈식석곽분지대에서는 橫口式石槨墳이라는 두 묘제의 속성을 공통으로 가지는 유형이 나타난다. 횡구식석곽분은 횡혈식석실분의 영향인 제Ⅰ유형도 있지만, 횡혈식석실분의 退化·縮約에서 비롯된 제Ⅱ유형이 다시 출현하는데, 이는 연도를 제외한 諸屬性이 횡혈식석실분과 동일하다. 5세기중반 이후 금강유역에서 주묘제로 횡혈식석실분이 사용되며, 6세기중반 이후는 백제 전지역에 확산되게 된다. 이후 금강유역 뿐아니라 백제 대부분의 지역에서 土着墓制를 대신해 횡혈식석실분을 채용하는데, 이는 백제의 완전한 지방통치를 알 수 있게 하는 考古學的 證據인 것이다.
參 考 文 獻
1. 發掘報告書
文化財硏究所, 『益山 笠店里古墳 發掘調査報告書』, 1989
尹世英·李弘種, 『寬倉里 周溝墓』, 高麗大學校 埋葬文化硏究所·(株)大宇, 1997
이근욱, 「華城 馬 里古墳群 發掘調査槪要」, 『第 40回 全國 歷史學大會 考古學分野 發表要旨』, 1997
韓永熙·咸舜燮, 「天安 淸堂洞 第 4次 發掘調査報告」, 『淸堂洞』, 國立博物館 古蹟 調査報告 第 25冊, 1993
咸舜燮·金在弘, 『淸堂洞Ⅱ』, 國立博物館 古蹟調査報告 第 27冊, 1995
湖巖美術館 發掘團, 『96 華城 馬 里古墳群 發掘調査 中間報告』, 1996
2. 著書
姜仁求, 『百濟古墳 硏究』, 一志社, 1977
金基雄, 『古墳』 빛깔있는 책들 37, 대원사, 1997
李南奭, 『百濟石室墳硏究』, 學硏文化社, 1995
3. 論文
姜仁求, 「周溝土壙墓의 몇 가지 問題」, 『精神文化硏究』17-3, 通卷 56互, 1994
金元龍, 「百濟古墳에 대한 몇 가지 觀察」, 『百濟硏究』特輯號, 忠南大學校 百濟硏究 所, 1982
成正鏞, 「3∼5世紀 錦江流域 馬韓·百濟墓制의 樣相」, 『韓國考古學會 第 22回 韓國考 古學 全國大會 發表要旨』, 1998
李南奭, 「百濟竪穴式石室墳 -變遷과 橫口式의 發生-」, 『韓國考古學會 第 5回 發表要 旨』, 1993
李南奭, 「百濟橫穴式石室墳 硏究」, 『百濟論業』 第 4輯, 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94
李南奭, 『百濟 石室墳墓制의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4
林永珍, 「榮山江流域의 異形墳丘」, 『湖南考古學會 第 4回 學術大會 發表要旨』, 1996
林永珍, 「咸平 禮德里 萬家村古墳과 榮山江流域 古墳의 周溝」, 『第 30回 歷史學大會 發表要旨』, 1996
全榮來, 「古墳(2) -湖南地方-」, 『韓國史論』15, 國史編纂委員會, 1985
崔完奎, 『錦江流域 百濟古墳의 硏究』, 崇實大學校 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