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1. 교권이란 무엇인가?
2. 교권의 실추와 그 실태
3. 교권 실추의 원인
4. 교권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
나오는 말
1. 교권이란 무엇인가?
2. 교권의 실추와 그 실태
3. 교권 실추의 원인
4. 교권 신장을 위한 개선 방안
나오는 말
본문내용
어진 사건이 아니라해도 학생이 교사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하는 것은 아주 오래전 부터 있어왔던 일이다. 그러한 교권의 실추가 왜 일어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내 나름대로 진단해 보았다. 교총에서는 교권 침해가 늘어난 것은 99년 체벌 금지 조치에 이어 학생, 학부모 등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 강조된 반면 일반 교사들은 존경을 받지 못하는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이것은 우리의 사회적 풍토가 조장한 또 다른 사회문제중 하나일 수도 있다. 공부잘하는 사람만이 대우받는 세상, 그 속에서 죽기살기로 경쟁하며 받는 스트레스가 교사, 학생, 학보모, 국가 등간의 상호존중과 사랑을 잃게 되어 발생하는 것이다.
'선생'와 '스승'은 같은 것 같으면서도 매우 다른 말이다. 누구나 선생는 될 수 있지만 스승이 되기는 어렵다. 스승으로서의 인품을 갖추지 못한 선생들이 특정과목에 대한 교습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해서 그들이 모두 스승인 것은 아닐 것이다. 스승은 교과에 대한 지식적 존경 이외에도 인격적으로 존경받는 대상인 것이다. 이전에는 스승이 많았지만 지금은 스승보다는 선생이 많다. 현대의 사회에서는 스승이 필요하다. 교사 스스로가 학생들 모두를 독립적 인격체로 인식하고 지식 전달 뿐만이 아니라 인격형서을 위한 안내자로서 나설 때만이, 교사에 대한 견고한 교권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 믿는다. 선생이라는 말로 칭해지기 보다는 스승이라는 말이 낫지 않을까?
교육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교사들의 권위는 당연히 확힙되고 신장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기연찬과 능력개발이 필요하며, 교원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처우가 개선되고 제도와 관습에 의한 합법성과 합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 스스로가 학생들을 탓하고 현실을 탓하기 전에 스스로 인격과 자질을 갖추고 나서야 한다. 다만, 대입이라는 무거운 짐에 눌려 그런 낭만을 생각하기 쉽지않은 학생과 그들의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교사들의 처신이 힘든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교사에 대한 믿음과 함께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열심히 가르치는 교사의 노력에 대해 모두가 존경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마당21 2001.11, 교육인적자원부
동아일보
새교육 2001년 10월호, 한국교육신문사
중등 우리교육· 2001· 11, 우리교육
중앙일보
정진곤 교수의 교육 논단
http://web.edunet4u.net/~inja/mun006.htm
'선생'와 '스승'은 같은 것 같으면서도 매우 다른 말이다. 누구나 선생는 될 수 있지만 스승이 되기는 어렵다. 스승으로서의 인품을 갖추지 못한 선생들이 특정과목에 대한 교습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해서 그들이 모두 스승인 것은 아닐 것이다. 스승은 교과에 대한 지식적 존경 이외에도 인격적으로 존경받는 대상인 것이다. 이전에는 스승이 많았지만 지금은 스승보다는 선생이 많다. 현대의 사회에서는 스승이 필요하다. 교사 스스로가 학생들 모두를 독립적 인격체로 인식하고 지식 전달 뿐만이 아니라 인격형서을 위한 안내자로서 나설 때만이, 교사에 대한 견고한 교권을 형성하게 될 것이라 믿는다. 선생이라는 말로 칭해지기 보다는 스승이라는 말이 낫지 않을까?
교육을 책임지고 이끌어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교사들의 권위는 당연히 확힙되고 신장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자기연찬과 능력개발이 필요하며, 교원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처우가 개선되고 제도와 관습에 의한 합법성과 합리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또한 교사 스스로가 학생들을 탓하고 현실을 탓하기 전에 스스로 인격과 자질을 갖추고 나서야 한다. 다만, 대입이라는 무거운 짐에 눌려 그런 낭만을 생각하기 쉽지않은 학생과 그들의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교사들의 처신이 힘든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교사에 대한 믿음과 함께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열심히 가르치는 교사의 노력에 대해 모두가 존경하고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교육마당21 2001.11, 교육인적자원부
동아일보
새교육 2001년 10월호, 한국교육신문사
중등 우리교육· 2001· 11, 우리교육
중앙일보
정진곤 교수의 교육 논단
http://web.edunet4u.net/~inja/mun006.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