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간의 구조와 기능
1. 간의 구조
2. 간의 기능
II. 간염의 역사
III.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IV. 극증성 간염(劇症性 肝炎)
V. 만성 간염
VI. 한방 및 민간요법
결론
1. 간의 구조
2. 간의 기능
II. 간염의 역사
III.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IV. 극증성 간염(劇症性 肝炎)
V. 만성 간염
VI. 한방 및 민간요법
결론
본문내용
주 마시는지, 상용 약물, 체중 등
4) virus maker - 바이러스성 만성 간염의 경우
6. 치료
-간경화증 이전이면 만성 간염의 치료는 가능하다.
1) 간손상의 원인제거
(1) 간을 손상케 하는 물질 - 약물의 장기복용, 음주
(2) 스트레스, 과로
2) 정기적인 혈액검사
3)식이
- 정상인과 동일하게 식사.
(1) 균형있는 식단
(2) 충분한 칼로리 섭취 - 2000cal/일
(3) 비타민과 광물질도 충분히 섭취
(4) 한꺼번에 먹지 않고 여러 차례 나누어 섭취.
(5) 찌꺼기 물질을 많이 섭취하여 변비 피함.
VI. 한방 및 민간요법
1.한방
1)간에 대한 고찰
(1)간의 기능
. 피를 저장하고, 순환하는 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
. 방어.해독기능
. 정신 사유활동과 일정한 관계 - '간에서 지략이 나온다.'
『황제내경』간은 장군과 같아서 적군이 쳐들어왔을 때 꾀를 내는 작용을 한다.
. 힘줄과 뼈마디의 운동 기능 주관
. 눈과 밀접한 관계
. 승발소설(昇發疎泄)기능- 승발이란 상승하고 발산한다는 뜻. 소설이란 소통하고 배설한다는 뜻.
① 정서 활동과 관련
② 소화기능과 관련
③ 여서의 월경과 관련
. 담과 표리 관계에 있으므로 생리적.병리적으로 밀접한 관계
. 손톱.발톱과 밀접한 관계
(2) 정서와 간의 관계 - 분노가 심하면 간을 상한다.
(3) 간과 사지의 기능과의 상관 관계
+--------+--------+
| 오장 | 간 |
| 부 | 담 |
| 오행 | 목(木) |
| 색깔 | 파랑 |
| 맛 | 신맛 |
| 감정 | 화냄 |
| 냄새 | 누린내 |
| 분비물 | 눈물 |
|감각기관| 눈 |
| 기운 | 바람 |
|주관부위| 힘줄 |
+--------+--------+
(4)간경맥
. 간경맥은 엄지발가락의 바깥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리를 따라 위로 올라와
. 허벅지 안쪽을 지나 외부 생식기를 통과하여 아랫배에 이르러 속으로 들어감.
. 속으로 들어간 경맥은 이 경맥이 속한 위를 지나 간에 들러가서,표리 관계인 담에 연결되고,
. 계속 올라사 횡격막, 목, 아래턱을 지나 안구뒤로 갔다가 이마로 나와 정수리로 감.
그리고 눈에서 한 가지가 나와 뺨을 지나 입술로 감.
. 간에 연결된 경맥에서 또 가지가 나와 위로 올라사 페에 연결됨. 이렇게 함으로써 처음 폐에서 시작되었던 경맥이 한 바퀴를 돌아 다시 폐로 들어감.
2. 한방요법- 만성 간염 치료
(1) 탕약
① 흉협고만(胸脇苦滿)- 늑골 및 가슴과 배의 경계부분을 누르면 북처럼 팽팽하든가,단단.
그곳을 세게누르면 숨이 막히도록 아픔.
면역의 이상, 즉 결합섬의 이상 때문이라고 봄.
대시호탕(大柴胡湯) : 좌우 늑골 아래에 흉협고만 있음.
소시호탕(小柴胡湯) : 한 쪽 늑골에만 흉협고만 있음.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 : 흉협고만이 확실하지 않음.
사역탕(四逆湯) : 흉협고만 강, 복직근의저항 있음.
억간산(抑肝散) : 흉협고만, 흥분상태 있음.
시호계지건장탕(柴胡桂枝乾姜湯) : 흉협고만이 없음.
② 어혈(瘀血) -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혈(古血)이 고이는 것.
계지복령환(桂枝茯笭丸)
도해승기탕(挑楷承氣湯)
③ 수독(水毒) 제거 - 몸 속의 수분대사가 잘 되지 않는 것.
오령산(五岺酸)
(2) 침구
① 우곡천(右曲泉) - 바른 쪽 무릎 관절의 안쪽
② 우기문(右期門)
③ 우일월(右日月) - 基門의 1cm 아래.
④ 우장문(右章門)
⑤ 우장문(右章門)
⑥ 우천종(右天宗) - 바른쪽 견압골의 중앙 패인 곳.
⑦ 우간유(右肝兪)
⑧ 우담유(右 兪)
2) 민간요법
(1) 간염이 급성기 일때
【처방】물푸레나무껍징(진피) 15g, 생단쑥(인진) 50g, 민들레(포공영),장군풀 뿌리 5g.
【용법】물에 달여서 하루에 2회 먹는다.
(2) 간염에 걸렸을 때
① 【처방】생당쑥(인진) 50 g, 대추 10알, 배추뿌리 50g, 조뱅이(소계) 25g, 감초 10g
【용법】물에 달여서 하루에 2회 먹는다.
② 【처방】조뱅이(소계) 100g, 대추 3개
【용법】물에 달여서 한 번에 먹되 하루에 3회 먹는다.
③ 【처방】꿀풀(하고초) 50g, 돼지살고기 100g
【용법】물에 달여서 수시로 먹는다.
【금기】닭고기를 먹지 않는다.
3) 만성간염에 걸렸을 때
① 【처방】오미자 적당량
【용법】부드럽게 가루내어 한 번에 3g씩 하루에 3회먹되 연속 3개월간 먹는다.
② 【처방】생당쑥(인진) 2, 솔잎 1, 대추 1의 비례
【용법】물에 달여 수시로 먹는다.
③ 【처방】조뱅이(소계) 60g
【용법】물 500ml를 두고 250∼300ml 되게 달여서 사탕가루를 적당히 두고 한 번에 50∼ 100ml씩 하루에 3회 식후에 먹는다. 25∼30일을 한 치료주기로 한다.
④ 【처방】미나리 적당량
【용법】미나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한 번에 30∼50ml씩 하루에 2∼3회 식간에 먹는다.
⑤ 【처방】생당쑥(인진)을 달인 엿 500g, 녹두가루 100g, 돼지얼(?) 10개
【용법】한데 고루 섞어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10∼15g씩 하루에 2∼3회 먹는다.
⑥ 【적응증】만성간염으로 간장 부위가 아프거나 간기능의 변화가 심하거나 배가 불어날 때
【처방】관람근 30g, 포공영 25g, 오미자 15g, 맥아 25g, 울금 15g.
【용법】물에 달여서 하루에 2회 먹는다.
- 결론 -
위에서 바이러스성 간염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를 알아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B형 간염을 앓는 사람이 많으므로 간염에 걸릴 위험도가 높다.
간염을 피할 가장 좋은 예방법은 예방접종을 하고, B형 간염의 경우 예방 접종의 유효기간이 사람마다 다르므로 1년마다 혈액검사를 해보는 것이라 하겠다. 요즘 헌혈을 하면 GOT, GPT수치 또한 나오는데 정기적으로 헌혈을 하여 혈액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급성 간염에 걸린 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휴식이다. 만일 자신이 급성 간염에 걸린 것을 안 사람은 회복기의 기간을 길게 잡아 만성 간염이 되지 않도록하고, 만성 간염 환자의 경우에는 간세포의 손상과 회복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므로 휴식과 식이를 잘 조절하여 간경화가 되지 않도록 해야겠다.
-26-
4) virus maker - 바이러스성 만성 간염의 경우
6. 치료
-간경화증 이전이면 만성 간염의 치료는 가능하다.
1) 간손상의 원인제거
(1) 간을 손상케 하는 물질 - 약물의 장기복용, 음주
(2) 스트레스, 과로
2) 정기적인 혈액검사
3)식이
- 정상인과 동일하게 식사.
(1) 균형있는 식단
(2) 충분한 칼로리 섭취 - 2000cal/일
(3) 비타민과 광물질도 충분히 섭취
(4) 한꺼번에 먹지 않고 여러 차례 나누어 섭취.
(5) 찌꺼기 물질을 많이 섭취하여 변비 피함.
VI. 한방 및 민간요법
1.한방
1)간에 대한 고찰
(1)간의 기능
. 피를 저장하고, 순환하는 피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
. 방어.해독기능
. 정신 사유활동과 일정한 관계 - '간에서 지략이 나온다.'
『황제내경』간은 장군과 같아서 적군이 쳐들어왔을 때 꾀를 내는 작용을 한다.
. 힘줄과 뼈마디의 운동 기능 주관
. 눈과 밀접한 관계
. 승발소설(昇發疎泄)기능- 승발이란 상승하고 발산한다는 뜻. 소설이란 소통하고 배설한다는 뜻.
① 정서 활동과 관련
② 소화기능과 관련
③ 여서의 월경과 관련
. 담과 표리 관계에 있으므로 생리적.병리적으로 밀접한 관계
. 손톱.발톱과 밀접한 관계
(2) 정서와 간의 관계 - 분노가 심하면 간을 상한다.
(3) 간과 사지의 기능과의 상관 관계
+--------+--------+
| 오장 | 간 |
| 부 | 담 |
| 오행 | 목(木) |
| 색깔 | 파랑 |
| 맛 | 신맛 |
| 감정 | 화냄 |
| 냄새 | 누린내 |
| 분비물 | 눈물 |
|감각기관| 눈 |
| 기운 | 바람 |
|주관부위| 힘줄 |
+--------+--------+
(4)간경맥
. 간경맥은 엄지발가락의 바깥쪽 끝에서 시작하여 다리를 따라 위로 올라와
. 허벅지 안쪽을 지나 외부 생식기를 통과하여 아랫배에 이르러 속으로 들어감.
. 속으로 들어간 경맥은 이 경맥이 속한 위를 지나 간에 들러가서,표리 관계인 담에 연결되고,
. 계속 올라사 횡격막, 목, 아래턱을 지나 안구뒤로 갔다가 이마로 나와 정수리로 감.
그리고 눈에서 한 가지가 나와 뺨을 지나 입술로 감.
. 간에 연결된 경맥에서 또 가지가 나와 위로 올라사 페에 연결됨. 이렇게 함으로써 처음 폐에서 시작되었던 경맥이 한 바퀴를 돌아 다시 폐로 들어감.
2. 한방요법- 만성 간염 치료
(1) 탕약
① 흉협고만(胸脇苦滿)- 늑골 및 가슴과 배의 경계부분을 누르면 북처럼 팽팽하든가,단단.
그곳을 세게누르면 숨이 막히도록 아픔.
면역의 이상, 즉 결합섬의 이상 때문이라고 봄.
대시호탕(大柴胡湯) : 좌우 늑골 아래에 흉협고만 있음.
소시호탕(小柴胡湯) : 한 쪽 늑골에만 흉협고만 있음.
시호계지탕(柴胡桂枝湯) : 흉협고만이 확실하지 않음.
사역탕(四逆湯) : 흉협고만 강, 복직근의저항 있음.
억간산(抑肝散) : 흉협고만, 흥분상태 있음.
시호계지건장탕(柴胡桂枝乾姜湯) : 흉협고만이 없음.
② 어혈(瘀血) -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고혈(古血)이 고이는 것.
계지복령환(桂枝茯笭丸)
도해승기탕(挑楷承氣湯)
③ 수독(水毒) 제거 - 몸 속의 수분대사가 잘 되지 않는 것.
오령산(五岺酸)
(2) 침구
① 우곡천(右曲泉) - 바른 쪽 무릎 관절의 안쪽
② 우기문(右期門)
③ 우일월(右日月) - 基門의 1cm 아래.
④ 우장문(右章門)
⑤ 우장문(右章門)
⑥ 우천종(右天宗) - 바른쪽 견압골의 중앙 패인 곳.
⑦ 우간유(右肝兪)
⑧ 우담유(右 兪)
2) 민간요법
(1) 간염이 급성기 일때
【처방】물푸레나무껍징(진피) 15g, 생단쑥(인진) 50g, 민들레(포공영),장군풀 뿌리 5g.
【용법】물에 달여서 하루에 2회 먹는다.
(2) 간염에 걸렸을 때
① 【처방】생당쑥(인진) 50 g, 대추 10알, 배추뿌리 50g, 조뱅이(소계) 25g, 감초 10g
【용법】물에 달여서 하루에 2회 먹는다.
② 【처방】조뱅이(소계) 100g, 대추 3개
【용법】물에 달여서 한 번에 먹되 하루에 3회 먹는다.
③ 【처방】꿀풀(하고초) 50g, 돼지살고기 100g
【용법】물에 달여서 수시로 먹는다.
【금기】닭고기를 먹지 않는다.
3) 만성간염에 걸렸을 때
① 【처방】오미자 적당량
【용법】부드럽게 가루내어 한 번에 3g씩 하루에 3회먹되 연속 3개월간 먹는다.
② 【처방】생당쑥(인진) 2, 솔잎 1, 대추 1의 비례
【용법】물에 달여 수시로 먹는다.
③ 【처방】조뱅이(소계) 60g
【용법】물 500ml를 두고 250∼300ml 되게 달여서 사탕가루를 적당히 두고 한 번에 50∼ 100ml씩 하루에 3회 식후에 먹는다. 25∼30일을 한 치료주기로 한다.
④ 【처방】미나리 적당량
【용법】미나리를 짓찧어 즙을 내어 한 번에 30∼50ml씩 하루에 2∼3회 식간에 먹는다.
⑤ 【처방】생당쑥(인진)을 달인 엿 500g, 녹두가루 100g, 돼지얼(?) 10개
【용법】한데 고루 섞어 알약을 만들어 한 번에 10∼15g씩 하루에 2∼3회 먹는다.
⑥ 【적응증】만성간염으로 간장 부위가 아프거나 간기능의 변화가 심하거나 배가 불어날 때
【처방】관람근 30g, 포공영 25g, 오미자 15g, 맥아 25g, 울금 15g.
【용법】물에 달여서 하루에 2회 먹는다.
- 결론 -
위에서 바이러스성 간염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를 알아보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B형 간염을 앓는 사람이 많으므로 간염에 걸릴 위험도가 높다.
간염을 피할 가장 좋은 예방법은 예방접종을 하고, B형 간염의 경우 예방 접종의 유효기간이 사람마다 다르므로 1년마다 혈액검사를 해보는 것이라 하겠다. 요즘 헌혈을 하면 GOT, GPT수치 또한 나오는데 정기적으로 헌혈을 하여 혈액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급성 간염에 걸린 환자의 치료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휴식이다. 만일 자신이 급성 간염에 걸린 것을 안 사람은 회복기의 기간을 길게 잡아 만성 간염이 되지 않도록하고, 만성 간염 환자의 경우에는 간세포의 손상과 회복이 동시에 일어나고 있으므로 휴식과 식이를 잘 조절하여 간경화가 되지 않도록 해야겠다.
-26-
추천자료
bacteriophage
졸업논문-반추동물 및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프리온 질병과 광우병에 대한 고찰
포유류 세포 벡터로 이용되는 바이러스
간호학 주관식 문제 풀이 2
[광우병]광우병(광우병의 개념, 광우병의 증상), 구제역(구제역의 원인, 증상, 구제역의 예방...
면역 결핍증 - AIDS(에이즈 HIV), 알레르기, 과민반응, 자가면역증
산부인과 실습 자궁암 case study
(조류인플루엔자) 조류독감 완벽정리 (정의, 발병원인, 증상, 예방 및 치료방법)
(조류인플루엔자) 조류독감 완벽정리 (정의, 발병원인, 증상, 예방 및 치료방법)
신증후군(Nephrotic syndrome Nephrosis)
급성사구체 신염과 만성 사구체 신염
국민의 알 권리에 대하여
결핵성 흉수(pleural effusion) 문헌고찰,정의,원인,증상,치료,간호,참고문헌
[면역] 면역계의 구조와 기능(특이적 면역반응 및 비특이적 면역반응), 면역반응의 영양적 조절